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Korea Mythology in Korea Subculture Contents

한국 서브컬처 콘텐츠에서 한국 신화에 대한 연구

  • 윤영석 (애니뉴스, 네이버카페 애니큐어)
  • Received : 2015.11.01
  • Accepted : 2015.12.05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e Korean society was forcefully merged with the invasion of Japan in 20th century, and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was damaged severely by colonization from Japan. After liberation, Korean society experienced drastic social change with Korean War, and industrial economy and democratic system developed as modernization and democratization occurred. However, Korean traditional culture dissolved more severely as Korean society developed industrial economy and democracy. As criticism of existing Western center of society and the emphasis of cultural identity of non-western regions and third-world, world society preferred exchange of culture of diverse nations and people with each other in advent of postmodernism thoughts in mid-late 20th century. If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 was dissolving meanwhile, it was needed to be recovered again. Despite the research in Korean history, language, art, architecture was performed to recover cultural identity of Korea, it did not go in-depth with Korean mythology, for Korean mythology is considered as superstition or savage. Mythology shows subconscious group psychology of people who live in certain specific region. Studying Korean mythology is one of the ways to rediscover cultural identity of Korea. In order for Korean mythology to be known to many people, its stories should be told by media. There were movies, plays, drama, and novels produced based on existing Korean mythology as introduction, then these mythical stories are appear in subculture contents such as recent comics, animation, webtoon, games, and light novels. Then population of game players and webtoon readers increased as dissemination of PC and smart phones, and increasing market scale of subculture contents increased a population of consumers of comics, animation, and light novel. Consumers of sub-culture contents were interested as many of these contents were created, base on Korean mythology. Therefore, this paper is written as research on Korean mythology and its signification in sub-cultural contents which were produced base on Korean mythology.

20세기 한국사회는 일제의 침략에 따라 강제로 병합되었으며, 일제의 식민정책에 따라 한국의 전통문화가 심하게 훼손되었다. 광복 이후 한국사회는 한국전쟁으로 급격한 사회적 변화를 맞이하였고, 근대화와 민주화를 통해 산업경제와 민주주의제도가 발전하였다. 그러나 한국사회가 산업경제와 민주주의가 발전하면 할수록 한국의 전통문화가 더 심하게 해체되었다. 20세기 중후반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이 도래하면서 기존 서구사회 중심에 대한 비판과 비서구권 및 제3세계의 문화적 정체성이 강조되면서 국제사회에서는 획일적인 문화적 가치보다는 다양한 국가와 민족의 문화가 서로 교류하기를 추구했다. 그동안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이 해체되고 있었다면, 이제는 반대로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되찾을 필요가 있었다.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되찾기 위해 한국의 역사, 언어, 예술, 건축, 문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으나, 한국의 신화에 대해서는 깊이 다루지는 않았다. 근대화 이후 한국의 신화는 미신으로 여기거나 미개한 것으로 취급당했기 때문이다. 신화는 어느 특정한 지역에 살고 있는 인간들의 무의식적인 집단 심리를 보여준다. 한국 신화를 연구하는 것은 한국인 문화적 정체성을 새롭게 찾을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이다. 한국의 신화가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서는 신화가 가지고 있는 이야기를 매체로 전달해야 할 것이다. 기존 한국 신화를 소재로 제작된 것으로 영화, 연극, 드라마, 소설 등이 대중문화로 소개되었으나, 최근 만화, 애니메이션, 웹툰, 게임, 라이트노벨 등과 같은 서브컬처 콘텐츠에서 등장하고 있다. PC, 인터넷,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른 게임 및 웹툰 이용자들이 증가했으며, 서브컬처 콘텐츠 시장규모 증가는 만화, 애니메이션, 라이트노벨 이용자들을 증가시켰다. 서브컬처 콘텐츠가 한국 신화를 소재로 제작되면서 서브컬처 콘텐츠 이용자들은 한국 신화에 대하여 관심과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신화를 소재로 만든 서브컬처 콘텐츠에 등장하는 한국 신화와 그 의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만길 외, 일본과 서구의 식민통치 비교, 선인, 2004
  2. 강태준 외, 사신전, 대원, 1995
  3. 김윤아 외, 신화, 영화를 만나다, 아모르문디, 2015
  4. 김익두, 한국 신화, 한국문화사, 2005
  5. 김정신 외, 단군.단군신화.단군신앙, 199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6. 박기수, 애니메이션 서사 구조와 전략, 논형, 2004
  7. 서정오, 우리 신화, 현암사, 2005
  8. 설중환, 다시 읽는 단군신화, 정신세계사, 2009
  9. 아즈마 히로키, 이은미 역, 동물화된 포스트모던, (주)문학동네, 2007
  10. 야마구치 야스오, 김기민 역, 일본 애니메이션 역사, 미술문화, 2005
  11. 오세정, 설화와 상상력, 제이앤씨, 2008
  12. 오세정, 신화, 제의, 문학, 제이앤씨, 2007
  13. 오세정, 한국 신화의 생성과 소통원리, 한국학술정보(주), 2005
  14. 주호민, 신과 함께, 애니북스, 2010
  15. 최병두, 환경갈등과 불평등, 한울, 1999
  16. 카넬 외, 나와 호랑이님, D&C미디어(주), 2010
  17. 한창완, 저패니메이션과 디즈니메이션의 영상전략, 도서출판 한울, 2006
  18. 한흥구, 대한민국사, 한겨레출판, 2003
  19. 이길용, 의 구원관 연구 : '인류보완계획'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19호, 2010, pp 1-16
  20. <고스트메신저>(Ghost Messenger, 2014)
  21. <신세기 에반게리온>(Neon Genesis Evangelion, 1995)
  22. <아키라>(Akira, 1988)
  23.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The End of Evangelion, 1997)
  24. http://www.daejonggyo.or.kr(대종교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