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mbodiment in Digital Animation in Relation to Media Aesthetics

디지털 애니메이션 체현에 관한 매체미학적 고찰

  • 전혜현 (아시아문화전당 문화창조원 매체담론랩)
  • Received : 2015.11.01
  • Accepted : 2015.11.26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e environment of images in VR-based animation is constructed to generate and promote interactivity between the images and the viewer without any physical space like a screen, or a monitor. In this process, the images and the viewer are combined as a complex through the media technology, that is, an interface. And it is far more in the case of the animation consisted of the bio-feedback interface closely connecting with the body of viewer. As a result, the viewer experiences a permeable interaction between ego and images world, namely virtual reality. That is different from the way of seeing and interpreting the images from a distance. So it needs to analyse the perception of viewer in the world of virtual images. This paper examines the complex phenomena of both the VR-based animation and the viewer mediated by the interface in light of Media Aesthetics. Media Aesthetics is effective in analysing the phenomena of VR-based animation, for it is concerned with the perception of viewer mediated by the media technology. The perception in VR-based animation is a full-body immersion, or embodied immersion, and it is different from the contemplative immersion in that it is remediated continuously by the technological apparatus. The viewer as an immersant, especially with a bio-feedback interface, can immediately touch and control the images in VR-based animation. Such an immersion, therefore, is new every single moment. And the world of VR-based animation is ultimately constructed through the viewer's full-body, or embodied immersion crossing between the virtual and the real. So the animation is not interpreted, but embodied. And the meaning of it is 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by the viewer's embodied immersion as an immersant. Here, a new frame of animation more oriented to the viewer's participation as an full-body immersant can be created.

가상현실 기반의 디지털 애니메이션에서는 이미지와 이미지 수용자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촉발시키기 위해 모니터나 스크린 중심의 고정된 물리적 공간을 탈피하는 환경이 모색된다. 그 과정에서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수용자와 이미지 사이의 경계가 사라지거나 혹은 융합되는 양상이 벌어지며, 이는 특히 수용자의 신체와 이미지가 직접 연계되는 바이오-피드백 장치들이 결부될 경우에 더욱 강화된다. 이제 이미지 수용자는 이미지 공간 내부에서 자신과 이미지 사이의 상호침투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는 가운데 가상의 이미지 세계, 즉 가상현실에 깊이 연루된다. 따라서 이미지와 거리를 두고 이미지를 바라보는 구조, 그리고 그에 따라 이미지와 수용자가 분리되어 수용자가 이미지 해석에 주력하게 되는 기존의 방식과 달리, 이미지와 수용자가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이미지 공간 내부에서의 수용 방식에 대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기술 장치에 의해 매개되는 애니메이션 이미지와 수용자의 통합적인 양상을 매체미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이성적 관념 중심의 전통미학과 달리, 매체미학은 기술 매체의 매개와 그에 따른 이미지 수용자의 감각적 지각작용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가상현실 기반의 애니메이션 수용 과정을 분석하는 데에 매우 유효하다. 이미지와 수용자의 상호작용을 도모하는 가상현실의 애니메이션에서는 수용자가 이미지 속에서 자신의 신체 전체를 개입시켜 온몸으로 몰입하는 체현적 몰입이 발생하게 된다. 이 체현적 몰입은 이미지와 수용자를 한데 융합하는 인터페이스에 의해 매개되는 현상으로, 그로 인해 이미지를 지각하는 매순간마다 이미지 체현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는 애니메이션에 대한 해석이 아닌, 애니메이션의 체현을 통해 그 의미를 수용자가 직접 구성해나간다는 점에서, 체현적 몰입자로서 수용자 중심의 새로운 애니메이션 구조가 열리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애니메이션에 대한 매체미학적 고찰은 애니메이션을 감상이나 해석 차원으로부터 나아가 감각적 지각에 의한 참여의 차원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노르베르트 볼츠, 윤종석 역, 구텐베르크-은하계의 끝에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상황들, 문학과지성사, 2000.
  2. 레프 마노비치, 서정신 역,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 나무, 2004.
  3. 볼프강 벨쉬, 심혜련 역, 미학의 경계를 넘어: 현대미학의 새로운 시나리오, 진단, 전망, 향연, 2005.
  4. 제이 데이비드 볼터.리처드 그루신, 이재현 역, 재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5. 석혜정, 인터랙티브 애니메이션의 기호학적 분석을 통한 이야기의 상호작용 요소,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37호 (2014), pp. 83-106.
  6. Fredric Jameson, Postmodernism: Or the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1991.
  7. Jeffrey Shaw, "Modalities of Interactivity and Virtuality," in T. W. Gaehtgens (ed.), Artistic Exchange, Berlin, 1993, pp. 295-300.
  8. Kenny K. N. Chow, Animation, Embodiment, and Digital Media: Human Experience of Technological Liveliness, Palgrave Macmillan, 2013.
  9. Lev Manovich, "The Camera and the World: New Works by Tamas Waliczky," in Continental Drift: Four Frontiers, Prestel-Verlag, Munich/New York, 1998.
  10. Mark B. N. Hansen, New Philosophy for New Media, Cambridge, MA: MIT Press, 2004.
  11. Meredith Bricken, "Virtual Worlds: No Interface to Design,"in M. Benedikt (ed.), Cyberspace: First Steps, Cambridge, MA: MIT Press, 1992, pp. 363-382.
  12. Myron W. Krueger, "Responsive Environments," in AFIPS 46 National Computer Conference Proceedings, Montvale, NJ: AFIPS Press, 1977, pp. 424-433.
  13. Nathaniel Stern, "The Implicit Body as Performance: Analyzing Interactive Art," Leonardo, Vol. 44, No. 3 (June 2011), pp. 233-238. https://doi.org/10.1162/LEON_a_00168
  14. Oliver Grau, Virtual Art: From Illusion to Immersion, G. Custance (trans.), Cambridge, MA: MIT Press, 2003.
  15. Steven Holtzman, Digital Mosaics: The Aesthetics of Cyberspace, New York: Simon & Schuster, 1997.
  16. Tamas Waliczky, "The Garden (Amateur Film of the 21st Century)," in K. P. Denker (ed.), Interface 2, Hamburg, 1995.
  17. http://vimeo.com/138790270, Glen Keane, , 2015년 10월 27일.
  18. http://www.mediaartnet.org/works/the-garden/, Tamas Waliczky, , 2015년 10월 27일.
  19. http://www.waliczky.net/pages/waliczky_forest1-HTML5.html, Tamas Waliczky, , 2015년 10월 30일.
  20. http://www.digitalartarchive.at/database/general/work/the-forest.html, Tamas Waliczky, , 2015년 10월 30일.
  21. http://www.waliczky.net/pages/waliczky_forest2-HTML5.html, Tamas Waliczky, , 2015년 10월 30일.
  22. http://www.c3.hu/scca/butterfly/Waliczky/project.html, Tamas Waliczky, , 2015년 10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