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어머니,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에 대한 유아의 인식과 자아개념

Preschooler's Perception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heir Self Concepts: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with Mother, Teacher, and Peers

  • 신수희 (인하대학교대학원 아동복지학전공) ;
  • 이완정 (인하대학교 아동학과)
  • 투고 : 2014.06.15
  • 심사 : 2014.10.05
  • 발행 : 2014.10.31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만 5세반 유아 93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취학 직전 시기 주변인과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유아가 인식한 어머니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및 또래와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그림도구를 제작하였다. 유아의 자아개념도 그림도구로 측정하였으며, 개별 면접을 통해 유아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만 5세 유아는 미시체계에서의 자신의 주변인과의 관계를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인식은 유아의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변인과의 관계 중 유아-교사 간 갈등에 대한 유아의 인식이 이들의 자아개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와 주변인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본 선행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주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유아의 인식을 직접 측정해 보았다는 점, 그리고 유아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용 그림도구를 제작하여 유아와의 일대일 면접을 실시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argeted 93 full 5-year-old preschoolers was to examine young children's recognition of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mothers, teachers, and peer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children's recognition on their self-concept. Children's recognition of the relationships with the people around and their self-concepts were measured by use of picture diagrams to help children's understanding and their replies. Data analysis showed that young children recognize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people around positively, and that children's conflict recognition with their teachers influence negatively on their self-concep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rectly researched preschooler's cognition of the relationships with the people around themselves from situation in the lack of preceding research that it comprehensively studied about relationships with the preschooler and others, and it executed one-to-one interview with preschooler using the picture tool for preschooler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in order to measure the preschooler's cogni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슬기 (2011). 유아-교사 관계와 유아의 자아존중감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 고진영 (2004). 발달단계별 자아개념 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권도영 (2003).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나림 (1995). 유아의 또래간 인기도에 따른 스트레스 행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남희 (2005).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남희 (2011). 유아그림기초학습능력검사 도구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205-233.
  7. 김수옥 (2002). 유아의 기질과 사회인지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숙영 (2009). 어머니의 성취동기와 양육행동 및 유아의 자아개념간의 관계.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윤하 (2006). 유아의 또래 인기도에 따른 자아개념 및 사회적 기술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박경희 (2004). 유아의 자기통제와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초기대상관계 유형 간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박성혜 (2002).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미시체계 변인탐색.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박수윤 (2004). 유아의 기질 및 자아개념과 교사-유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정자 (2005).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아개념.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박화윤, 마지순, 안라리 (2011).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관계, 유아 자아개념 및 리더십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1(6), 75-95.
  15. 서정아 (2011). 양육태도에 대한 엄마-자녀간의 지각차이가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송인섭 (1997). 자아개념 발달경향 분석. 교육심리연구, 11(1), 121-156.
  17. 안현지 (1999).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 지능의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오세연 (1993).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아개념과의 관계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윤보영 (2012). 단짝친구 유무에 따른 유아의 자아개념과 감정조망수용 능력의 차이 및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이경화, 고진영 (2006). 자아개념검사 (SCI). 서울: 학지사.
  21. 이명숙 (2006). 또래관계에서 유아 리더십 양상과 성 및 인기도와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85-106.
  22. 이사라 (2000). 부모와 또래가 아동의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3. 이숙 (1988).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이진희 (2011). 유아의 외로움과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 어머니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5. 이현주 (1999).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아개념과의 관계.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임효진 (201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아개념간의 관계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정대현, 지성애 (2006).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유아-교사관계, 다중지능과 초등학교 적응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6(3), 201-222.
  28. 정승민 (2005).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개념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정옥분 (2003). 아동발달의 이론. 서울: 학지사.
  30. 정옥분, 정순화 (2008). 부모교육. 서울: 학지사.
  31. 최주애 (2012).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교사-유아관계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최현미 (2011).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외적변인에 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3. 최현미, 신동주 (2012). 유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외적 변인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2(1), 133-159.
  34. 한미현 (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5. Asher, S. R., Singleton, L. C., Tinsley, B. R., & Hymel, S. (1979). A reliable sociometric measure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15(4), p.443-444. https://doi.org/10.1037/0012-1649.15.4.443
  36. Birch, S. H., & Ladd, G. W.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1), 61-80. https://doi.org/10.1016/S0022-4405(96)00029-5
  37.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ssachusetts : Harvard University Press.
  38. Dubow, E. F., & Ullman, D. G. (1989).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Journal of Child Clinical Psychology, 18(1), 52-64.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1801_7
  39. Mantzicopoulos, P., & Neuharth-Pritchett, S.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to assess head start children's appraisals of teacher suppor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1(6), 431-451. https://doi.org/10.1016/j.jsp.2003.08.002
  40. Pianta, R. C., & Steinberg, M. (1992).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the process of adjustment to school.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57, 61-80.
  41. Schaefer, E. S. (1965). Children's reports of parental behavior: An inventory. Child Development, 36, 413-423. https://doi.org/10.2307/1126465

피인용 문헌

  1.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vol.10, pp.6,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6.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