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rection and Task of the Oecentralization of Power

지방분권의 방향과 과제

  • Received : 2014.04.24
  • Accepted : 2014.05.20
  • Published : 2014.07.28

Abstract

This paper with Korean to promote decentralized countries, consider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ecentralization. Next, with target scholars and professionals looked at the evaluation of the degree of decentralization and the direction. Last deduced the task of decentralization. The decentralization task is first, expansion of organizational autonomy. The organization of local government determined based on the content of the job is desirable. Second, the personnel operating is secured autonomy.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staff is independent and uniformly control. And it is necessary to recruit such as checks and supervision of the relevant local councils and civil society. Third, the financial decentralization is the expansion. The expansion of fiscal decentralization First, determined the expansion of municipal law prescribed by the regulations within the scope of local autonomy. Next, the local switch through national expansion of fiscal decentralization is necessary. In addition, the expansion of fiscal decentralization need the expansion of the local income tax and the expansion of local consumption tax.

지방분권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권한과 책임을 합리적으로 배분하는 것으로 본 논문은 한국형 분권국가 추진을 위해 우선, 분권화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학자나 전문가를 대상으로 지방분권 정도의 평가와 분권방향 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지방분권을 위한 과제를 도출하였다. 지방분권 과제는, 첫째, 조직구성의 자율성 확대이다. 지방자치단체의 조직구성은 지방의 직무의 내용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인사운영(정원운영)의 자율권 확보이다. 지방자치단체의 정원과 인력관리는 중앙이 획일적으로 통제하기보다는 지방이 주체적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이에 대한 견제와 감독은 당해 지방의회와 시민단체, 지역 주민에게 맡기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재정분권 확대이다. 재정분권 확대는 우선, 자치재정권의 확충으로 법률이 정하는 범위 내에서 조례에 의해 자율적으로 세율을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국세의 지방세 전환을 통한 재정분권 확대 등이 필요하다. 또한 재정분권의 확대를 위해 지방소득세와 지방소비세의 확대가 필요하다. 지방분권은 어느 한 분야의 분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조직, 인사, 재정 등 다양한 분야의 기능을 이양하는 등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종관, "지방분권의 방향과 과제: 기능이양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동계학술대회 자료집, pp.334-372, 2013,
  2. 김병국, 지방분권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도 기능재조정 방향,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2003,
  3. 김성호, "지방분권형 국가운영체제 구축을 위한 정책과제", CFE Report. 99, 자유기업원, 2009.
  4. 김익식, "중앙과 지방정부간 권한배분의 측정-지방분권이론의 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행정학보, 제24권, 제3호, 1990.
  5. 홍준현, 하혜수, 최영출, "지방분권수준 측정을 위한 지방분권 지표의 개발", 한국지방자치학회 동계세미나발표논문집, 2005.
  6. 금창호, "참여정부의 지방분권정책 평가와 향후 발전과제", 지방행정연구, 제23권, 제1호, 2009.
  7. 민현정, 형시영, "광역자치단체의 새로운 역할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2권, 제2호, 2005.
  8. 조성호,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방분권전략 연구, 경기개발연구워 연구보고서, 2005.
  9. 김성배, 진영환, "분권형 지역발전체제 구축",국토연구, 제49권, 2006.
  10. 신도철, "광역분권형 국가운영의 필요성과 제도개편방향", 선진화정책연구, 제1권, 제2호, 2008.
  11. 박혜자, "시.도의 자치조직권과 인사권 강화방안", 전국 시.도지사협의회토론회 자료집, pp.1-25, 2003.
  12. 행정안전부, 2010년도 지방자치단체예산개요, 2010.
  13. 이기우, 지방자치이론, 학현사, 1996.
  14. 안성호, "자치계층 및 구역의 개편을 우려한다," 부산분권혁신본부토론회자료집, 지방분권의 평가와 새로운 도전, 2006.
  15. 조성호, 윤태웅, "지역정부 구축을 위한 지방분권에 관한 연구", 지역정책연구, 제22권, 제2호, 2011.
  16. 손희준, "지방분권을 위한 지방소득.소비세의 도입방안과 과제",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자료집, 2009.
  17. 전동흔, "지방소득세의 구조와 적용", 한국지방재정공제회, 2010.
  18. 장덕희, "지방소비세제도의 발전방안", 한국지방재정학회세미나자료,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