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Analysis of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s on the Graduates from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those from General High School selected by the University Admissions Officer System

입학사정관전형 특성화고와 일반고 졸업자의 대학 학업성취도 비교 분석

  • Received : 2014.02.09
  • Accepted : 2014.03.24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s on the high school graduate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selected by the university admissions officer system.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mprove development of university admission through the analysis of university admission achievements and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admission factors and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selected by admission officer system in 2011 and have enrolled in the university for 6 semesters at A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it comes to the grades of university admission factors, graduates from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utperformed those from general high school. Second, when it comes to the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s and university admission factors, graduates from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lightly outperformed those from general high school. Third, when it comes to the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s and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s, graduates from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howed poorer performance than those from general high school in overall courses and liberal arts courses. However, in major courses, graduates from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utperformed those from general high school. Finally, when it comes to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s, both of them showed a tendency of being improved as they advanced through school.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everal implications can be mad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pplication ratio and application method of university admission factors. Second, it is required to provide preparatory courses of university to help graduates from specialized high school get adapted to university course of study.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전형 특성화고와 일반고 졸업자로 입학한 학생의 대학 학업 성취도를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학 입학전형요소와 대학 학업성취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대학 학업성취도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대학 입학전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2011학년도 A대학교 입학사정관전형으로 입학하여 3년간 재학한 학생 104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입학전형요소의 성적은 특성화고 졸업자가 일반고 졸업자보다 우수하였다. 둘째, 대학 학업성취도와 대학 입학전형요소의 상관관계는 특성화고 졸업자가 일반고 졸업자보다 다소 높았다. 셋째, 대학 학업성취도는 전체교과와 교양교과에서 특성화고 졸업자가 일반고 졸업자에 비해 낮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반면 전공교과에서 특성화고 졸업자가 일반고 졸업자에 비해 높은 대학 학업성취도를 보였다. 넷째, 학년별 대학 학업성취도 추이는 특성화고와 일반고 졸업자 모두 학년이 올라갈수록 대학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띠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입전형에서 대학 입학전형요소의 비율과 적용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특성화고 졸업자가 대학 교육과정에 적응할 수 있는 예비 대학 준비과정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무봉 외(2011). 입학사정관제 발전방안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 김안나, 김성훈(2009). 대입 전형유형별 학업성취도의 차이와 그 의미. 교육사회학연구, 19(2), 91-106.
  3. 김지하, 정동욱(2007). 내신성적과 수학 능력시험성적이 대학진학 및 대학성취도 선행지표에 주는 영향력 비교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5(4), 585-609.
  4. 김현철(2004). 대학생의 학업성취(1):대입전형요소와 학업동기의 예측력 비교. 비교교육학연구, 42(4), 343-348.
  5. 부재율(2007). 2008학년도 대학입시 제도에서 전형자료들의 당락에 대한 영향력과 학업성취도 예측력 변화에 대한 분석. 교육평가연구, 20(3), 57-79.
  6. 송일근(2007). 대입전형요소와 대학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7. 신정철, 정지선, 신택수(2008).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그 영향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6(1), 287-313.
  8. 신준식, 김기용, 이도영(2005). 입학전형요소 성적과 대학 성적의 상관 관계 분석. 교육연구, 22, 225-239.
  9. 안병만(2012).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를 통한 교육 개혁. THE HRD REVIEW, 15(4), 2-5.
  10. 임지영, 유일영, 오순남(2001). 일 대학교 간호대학생의 성격유형과 입학성적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1(5), 835-845.
  11. 오석영(2012).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결정요인 분석: 서울지역 진로결정 집단별 비교. 직업교육연구, 31(3), 135-151.
  12. 우정민, 정다운(2012). 입학 전형요소와 학업성취도 관계 분석을 통한 대학입학사정관제도 실효성 고찰. 입학전형연구, 1, 153-179.
  13. 윤옥수(2013). 경로분석을 활용한 입시전형요소들과 취업률 및 GPA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4. 이병욱 외(2013). 특성화고 진학 및 조업 후 진로에 대한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인식 비교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8(2), 48-67.
  15. 전미애(2013). 이공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의 관계,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8(2), 240-266.
  16. 조동헌, 황홍익(2011). 입학사정관전형에 대한 특성화고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상업교육연구, 25(1), 27-42.
  17. 조동헌, 김혜원, 박삼철(2012). 입학사정관전형 준비 여부에 따른 고등학생의 진로 자아인식과 진로성숙도 및 진로진학결정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31(4), 1-23.
  18. 조동헌, 김기수(2013). 특성화고교졸업자전형 입학생의 대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대학입학전형요소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3), 133-148.
  19. 조장식(2010). 학업성취도에 대한 대입전형 요인들의 영향력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1, 729-736.
  20. 지은림(2001). 대학입학전형의 다양화를 위한 전형자료들의 예측타당도 평가, 교육평가연구, 4(2), 155-172.
  21. 최동선(2010). 특성화고 취업지원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2. 최동선(2012). 고졸 취업자의 후진학 계속교육 지원 방안. THE HRD REVIEW, 15(1), 32-47.
  23. 최현석, 하정철(2012). 입학전형요소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3(2), 343-351.
  24.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09). 입학사정관제 운영사례.
  25.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12). 2013학년도 대학입학 전형계획 주요사항.
  26.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13a). 2014학년도 대학입학 전형계획 주요사항.
  27.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13b). 2015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 보도자료.
  28.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2011학년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종합고 현황.
  29. A대학교(2010). A대학교 2011학년도 수시 1차.2차 신입생 모집요강.
  30. A대학교(2013). 내부자료.
  31. Davis, J. A. (1971). Elementary survey analysis. Englewood, NJ: Prentic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