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tent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Career Counseling: Focused on competency components for career counseling professionals

진로상담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진로상담전문가 역량 요소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4.02.24
  • Accepted : 2014.03.24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xtbooks of career counseling which are written or translated in Korean so as to understand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 on the usage of career counseling textbook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contents are included in textbooks of career counseling? 2) what are the differences of content rates among textbooks of career counseling? 10 textbooks of career counseling were analysed(6 textbooks: introduction to career counseling, 4 textbooks: focused on career counseling skills and techniques) based on the competency components for career counseling professionals presented by Yoo(2009). Results indicated that 1) 6 textbooks of introduction to career counseling have the most content of 'category1: theories and concepts related to career counseling'. In comparison, 4 textbooks focused on career counseling skills and techniques have the most content of 'category4: career counseling competency'. 2) Based on the unit of analysis chapter, the highest rates are 'category4: career counseling competency(33.33%)' and 'category1: theories and concepts related to career counseling(28.15%)'. 3) It is hard to fin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knowledge and skills of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category 2), the competencies of network, problem solving, peer counselor feedback, administration, ethic(category 8,9,10,11,13), the growth and self-management as professionals(category 12,1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로 집필 번역된 진로관련 교재의 내용을 분석하여 진로 상담전문가 역량 개발을 위해 이러한 교재들을 활용할 때의 유용성과 제한점을 제시해보고, 향후 진로관련 교재 집필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는데, 첫째, 진로상담교재는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둘째, 진로상담교재의 구성 내용 비율은 교재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다. 분석대상은 10권의 진로상담관련 교재(6권은 진로상담개론서에 해당하는 교재, 4권은 진로상담기법에 초점을 두고 있으나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는 교재)였고, 국내 선행연구(유현실, 2009)에서 제시한 진로상담전문가 역량 요소를 수정 보완하여 분석범주를 설정하였으며, 분석단위는 장(chapter)으로 하였다. 주요결과는 첫째, 진로상담개론서에 해당하는 교재들은 모두 '범주1. 진로관련 이론 및 주요개념에 대한 이해'에 해당하는 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고, 그 다음 많은 내용은 '범주 4. 진로상담 역량'에 해당하는 내용이었다. 이에 비해 진로상담기법에 초점을 두고 있는 교재들은 '범주 4. 진로상담역량'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범주5. 진로검사 및 평가 역량', '범주3. 개인차 및 다양성 이해'에 대한 내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분석단위로 사용한 장(chapter)의 전체 개수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범주4. 진로상담 역량'(33.33%)과 '범주1. 진로관련 이론 및 주요개념'(28.15%)의 비중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부분의 교재에서 다루어지지 않는 내용은 개인 및 집단상담 진행에 필요한 지식과 기법(범주2), 상담자들이 실제 기관에서 전문상담자로 일할 때 필요한 타 기관과의 연계, 문제해결, 동료피드백, 행정, 윤리(범주8,9,10,11,13), 그리고 전문가로서의 성장과 자기관리에 대한 내용(범주12, 14)등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한국어로 집필 번역된 교재를 진로상담전문가 교육에서 활용할 때, 기본적인 진로상담진행과 진로관련 이론 및 주요개념에 대한 지식은 다루어줄 수 있으나 그 외 진로상담전문가 역량에 해당하는 요인, 특히 기관의 직원으로서의 역할에 필요한 역량(타 기관과의 연계, 문제해결, 동료피드백, 행정, 윤리 등)과 전문가로서의 성장과 자기관리에 대한 역량은 별도의 방법으로 보완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영(2013). 상담기법 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지, 5(1), 91-99.
  2. 권충훈, 조흥순(2012). '교직실무' 교재내용 분석 및 교재 집필 방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9), 512-521.
  3. 권희영 외(2011). 상담학개론 대학교재의 분석: 대도시 7개 대학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2(2), 621-634.
  4. 김봉환 외(2013). 진로상담. 학지사.
  5. 김봉환, 정철영, 김병석(2006).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6. 김석우, 최태진(2007). 교육연구방법론. 학지사.
  7. 김수향, 탁진국(2011). 진로 및 직업 상담자의 역량진단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일반, 30(2), 461-481.
  8. 김진실(2008). 산업교육교재연구의 동향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0(1), 119-146.
  9. 김충기, 장선철(2006). 진로상담. 태영출판사.
  10. 유길상, 강혜영, 이은영(2008). 고용-학습-복지 연계 전문가 양성을 위한 HRD 프로그램 개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연구센터 용역과제 보고서.
  11. 유현실(2009). 진로상담전문가의 역량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2. 유현실, 김창대(2011). 진로상담전문가의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2(2), 241-268.
  13. 윤형한(2009). 직업상담자의 전문성 발달과정과 영향요인.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4. 이신동(1994). 교육심리학 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및 한.미 비교 연구(1954-1988), 교육심리연구, 8(2), 69-86.
  15. 이은경, 양남미, 서은경(2007). 한국에서의 상담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587-607.
  16. 이현림(2007). 진로상담. 양서원.
  17. 이현림 외(2013). 새롭게 보는 진로상담. 교육과학사.
  18. 지용근 외(2009). 진로상담의 이해. 동문사.
  19. 충청남도 교육연수원(2013). 중등 진로진학상담교사 부전공자격 하계연수 자료집. 비매품.
  20. 한국고용정보원(2007). 중등교원 진로지도 전문교육 자료집. 비매품.
  21.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3). 진로진학상담교사 심화연수 자료집. 비매품.
  2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3). 일반교사 특별연수 자료집: 청소년상담의 이해와 상담기법. 비매품.
  23. Amundson, N. E., Harris-Bowlsbey, J., & Niles, S. G. (2009). Essential Elements of Career Counseling: Process and Techniques(2nd.) Pearson. 이동혁, 황매향, 임은미 공역(2013). 진로상담 과정과 기법. 학지사.
  24. Brown, D., & Brooks, L. (1991). Techniques of career counseling. Allyn & Bacon. 김충기, 김희수(역)(2003). 진로상담의 기술. 시그마프레스.
  25. Cheetham, G, & Chivers, G. (1996). Towards a holistic model of professional competence.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20, 20-30.
  26. Gysbers, N.C., Heppner, M. J., & Johnston, J. A. (1998). Career counseling: process, issues, and techniques. 김봉환 역(2003). 진로상담의 실제. 학지사.
  27. Gysbers, N.C., & Moore, E. J.(1987). Career counseling skills and techniques for practitioners. Allyn and Bacon. 김충기, 김병숙 공역(1995). 진로상담: 기술과 기법. (주)현민시스템.
  28. McClelland, D. C.(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 1-14. https://doi.org/10.1037/h0034092
  29. Rychen, D. S., & Salganik, L. H. (2003). A holistic model of competence. In D.S. Rychen & L. H. Salganik, (Eds.).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Cambridge, MA:Hogrefe & Huber Publisher, 41-62.
  30. Spencer, L., & Spencer, S.(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민병모, 박동건, 박종구, 정재창 역(1998).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 서울: P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