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rchival Turning Postmodernism and Korean National Archives System since 1999(2)

기록의 전회 <포스트1999>를 전망하며(2)

  • 이영남 (한신대학교 한국사학과)
  • Received : 2014.01.22
  • Accepted : 2014.04.25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This essay focused on mapping out the next archiving model during 15 years. This metaphorical 'JINGU PROJECT' is titled from Shinto relation in Japan rebuilding every 20 years. We need some kinds of self sustainable growth archiving model. It means that it's time to say about our archiving experiences in field for archiving technics and knowledges. We should know the fact that a few thousands archivists have been acting ih fields. Since 1999, we have tried to build up the best practices in public offices. So far, So good. However, we need another wing for better flying from now on. I believe in the power of silences in field because they will speak up their voices.

'의미의 각축장'으로 떠난 기록여행을 떠나 보았다. 그리고 각주의 계보학이 아니라 재활용의 미학을 실험해보았다. 재활용은 무엇을 재활용하자는 것일까? 지난 15년을 비판하기보다는 향후 15년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래서 향후 15년을 이세신궁 프로젝트로 명명해보았다. 이제 우리에게도 자생적 아카이브를 말할 시점이 된 것 같다. 서구의 기록문화를 열심히 받아들이고 교류하는 것을 넘어서 자생적 아카이브를 고민해야 할 것 같기 때문이다. 이제 수천 명의 사람들이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자기경험을 쌓았다면 충분히 그럴 시점이 되었다고 본다. 또한 이 글에서는 기록의 상대성과 기록의 장소성을 살펴보았다. 공공기관 아카이빙이 중요하다고 하더라도 이제는 기록의 중심적 위치에서 내려와야 할 것 같다. 아래로부터 아카이빙이 있고, 일상과 커뮤니티 아카이빙이 있고, 기호학적 접근이 있기 때문이다. 비관주의에 반대한다. 침묵의 힘을 신뢰한다.

Keywords

Cited by

  1. 사건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vol.51, pp.None, 2014, https://doi.org/10.20923/kjas.2017.51.175
  2. 기억, 기록, 아카이브 정의(正義) vol.89, pp.None, 2014, https://doi.org/10.20923/kjas.2019.59.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