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 분야 창의적 산물 발현과정 연구: 과학자의 주관적 경험이 객관적 지식으로 발현하는 자기조직화 과정의 사례 분석

Research of Emerging Process on Scientific Creative Products: Case Study of Self-Organization Process on Emerging of objective knowledge from Subjective Experience of Scientists

  • 투고 : 2014.02.01
  • 심사 : 2014.02.25
  • 발행 : 2014.02.28

초록

본 연구는 세계 과학 기술 분야를 이끌어 가는 창의적 산물의 생성과정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과학 분야 창의적 산물이 발현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으며, 이를 통해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과학인재를 발굴, 양성하는 과학영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과학 기술 분야에서 과학자의 주관적 경험이 새로운 객관적 지식으로 창출되는 지적 성장과정, 그리고 과정별로 주요하게 작용하는 요소 및 변인들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창의적 산물 생성 과정 연구는 지식의 진화론, 지식의 생명체설, 그리고 자기조직화 등의 학문적 배경에 토대를 두고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세계 과학 기술 분야(12개 영역으로 구분)에 크게 기여한 창의적 산물과 이를 창출한 한국인 과학자 12인에 대한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 결과, 과학 기술 분야 창의적 산물은 네 단계-(1) 지식토대단계, (2) 지식 탐색단계, (3) 지식구성단계, (4) 지식발현단계-를 거쳐 발현되며, 각 단계는 상부 시스템, 하부시스템, 그리고 하위변인들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the process of emerging for creative products to lead world science and technology. The aim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emerging process of scientific creative products, and is to provide the direction of gifted education that discovers and trains globally competitive science talents through this. To discuss the emerging process of creative products, this study has academically discussed the creativity of the complexity of dealing with theory of evolution, the real life settings, and self-organization of experience etc., and has methodologically adopte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rough a case study to look at the structures and processes. Data collection has been formed through a discussion with 12 Korean scientists who have created selected creative products, greatly contributed for the world science and technology(12 areas). The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by the latter part positivist methods. As a result, the emerging process of creative product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were separated into four steps: (1)the foundation stage of knowledge, (2)the exploration stage of knowledge, (3)the construction stage of knowledge, and (4)the emerging stage of knowledge. Each stage has been revealed growing up through the macro-system and the self-organization of each micro-system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정하 (2007). 과학적 창의성과 예술적 창의성: 지식의 성장으로서의 창의성에 대한 사례 연구 및 과학적 창의성의 타당화.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 강정하, 최인수 (2008). 과학적 창의성: 지식의 성장으로서의 창의성에 대한 사례 연구. 교육심리연구, 22(3), 537-562.
  3. 강정하, 최인수 (2009). 과학적 창의성의 발달: 창의적 한국인 사례에 대한 전기적 연구. 영재교육연구, 19(3), 529-563.
  4. 최무영 (2008).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 서울: 책갈피.
  5. Campbell, D. T. (1960). Blind variation and selective retention in creative thought as in other knowledge processes. Psychological Review, 67(6), 380-400. https://doi.org/10.1037/h0040373
  6.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New York: Harper.
  7. Cahan, E. D. (2004). 제5장 존 듀이의 인간발달. R. D. Parke, P. A. Ornstein, J. J. Rieser, & C. Zahn-Waxler (엮음), 발달심리학 거장들의 핵심이론 연구 (pp. 181-207). [이민희, 정태연, 역]. 서울: 학지사. (원본출간년도: 1994).
  8. Darwin, C. (2006). 다윈의 비글호 항해기. [장순근 역]. 서울: 가람기획. (원본출간년도: 1962).
  9. Davidson, J. E.(1995). Ch4. The suddenness of insight. In J. E. Davidson & R. J. Sternberg, The nature of insight (pp.125-155). Cambridge, MA: The MIT Press.
  10. Davis, G. A. (2004). Creativity is forever (5th). Dubuque, Iowa: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11. Denzin, N. K. (1989). Intertretive Biograhpy. Newbury Park, CA: Sage.
  12. Gruber, H. E. (1981). Darwin on man: A psychological study of scientific creativity (2n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3. Gruber, H., & Davis, S. (1988). Inching our way up Mount Olympus: The evolving-systems approach to creative thinking.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pp. 243-270).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Gruber, H. (2005). Creativity, psychology and the history of science. In H. Gruber, & K. Bodeker (Eds.). Springer: The Netherlands.
  15. Hatch, J. A. (2008). 교육상황에서 질적연구 수행하기. [진영은 역]. 서울: 학지사. (원본출간년도: 2002).
  16. Miller, A. (2001). Einstein.Picasso. New York, NY: Basic Books.
  17. Nicolis, G., & Prigogine, I. (1989). Exploring complexity. New York, NY: Freeman and Company.
  18. Popper, K. (2006). 삶은 문제해결의 연속이다. [허형은 역]. 서울: 부글북스. (원본출간년도: 1994).
  19. Reed, H. (1991). 예술이란 무엇인가. [윤일주 역]. 서울: 을유문화사.
  20. Prigogine, I. (1997). 확실성의 종말. [이덕환 역]. 서울: 사이언스북스. (원본출간년도: 1996).
  21.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5). An Investment perspective on creative insight. In J. E. Davidson, & R. J. Sternberg, The nature of insight (pp. 535-558). Cambridge, MA: The MIT Press.
  22. Tashakkori, A., & Teddlie, C. (2001). 통합연구방법론. [염시창 역]. 서울: 학지사. (원본출간년도: 1998).
  23. Wallas, G. (1926). The art of thought. New York: Harcourt Brace.
  24. Weisberg, R. W. (1993). Creativity: Beyond the Myth of Genius. New York, NY: Freeman and Company.
  25. Wertheimer, M. (1959). Productive thinking (2nd). New York: Harper & Brothers Publ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