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청소년 창의발명인재 유형별 특성 비교: 청소년 기업영재의 특성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Between Different Types of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and Innovation: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olescent Entrepreneurial Gifted

  • 투고 : 2014.02.07
  • 심사 : 2014.02.24
  • 발행 : 2014.02.28

초록

기업영재에 대한 연구는 최근 새롭게 떠오른 분야로 날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기업 영재의 개인적 특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영재의 개인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기업영재의 정의 및 개념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허청이 주관하는 '지식재산기반 차세대영재기업인 육성사업' 참여 학생을 기업영재로 정의하고, 이들의 특성을 발명영재 및 발명장학생과 비교함으로써 기업영재의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전국의 발명영재, 발명장학생, 그리고 차세대영재기업인 중 현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226명의 학생이 총 다섯 가지 자료 영역, 즉, 청소년의 주요 정의적 지적 교육 진로(미래 포부) 영역, 생애 목표 및 목표 인식, 창업관련 특성, 발명관련 특성, 기타 개인 및 환경 정보에 관해 332문항에 걸친 자기보고식 설문에 참여하였다. 그 결과, 차세대영재기업인, 즉 기업영재는 발명인재들이 나타내는 특성을 전반적으로 보유하면서, 기업적 능력 및 특성을 추가적으로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영재는 발명영역 및 기타 개인 정보에서는 타 창의발명인재들과 유사한 특성을 보였으나, 창업 영역과 지적 영역에서는 발명인재보다 뛰어나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논의에서는 이 연구가 기업영재 및 창의적 인재 개발 분야에서 갖는 함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Despite recent attention to entrepreneurial gift, there has been minimal empirical research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entrepreneurial gif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pecify and conceptualiz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ial gift from systematic empirical investigation. We operationalized the entrepreneurial gift as students participating in 'intellectual property based future creative entrepreneurs' administered by Korean patent office, and compared characteristics of the entrepreneurial gift with those of the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A total 22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as the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intention scholars, or future creative entrepreneurs by Korean patent offic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survey was designed to measure major adolescent areas such as psychological, intellectual, educational, vocational areas, life purpose and its perception area, innovation-related area, invention-related area, and personal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The result showed that entrepreneurial gift has higher score in entrepreneurial potential,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talented students in invention has. Entrepreneurial gift has similar characteristics in the area of invention-related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while they showed higher ability in terms of invention-related area and intellectual area. Implications, limit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석만 (2011). 인간의 긍정적 성품: 긍정 심리학의 관점. 서울: 학지사.
  2. 김대업, 성창수 (2013). 잠재적 창업가의 에비 창업행동과 사회적 책임의식 간의 관계: 마이스터고 학생들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35(1), 25-46.
  3. 김미숙, 전경남, 이희현, 조선희, 최경희, 최영기 (2009). 청장년시기(15-45세) 과학기술인재발달 및 육성 종합 전략 연구 I: 과학고등학교 입학자의 현황 파악과 관련 정채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 김양분, 임현정, 신혜숙, 남궁지영, 신종호, 홍세희 (2010).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VI). 한국교육개발원.
  5. 김양분 (2012).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VIII). 한국교육개발원.
  6. 류한구 (2005).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I): 예비조사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7. 박현정 (2007). KEDI 종합검사도구 개발연구 III. 한국교육개발원.
  8. 서울경제신문 (2013). 기업가정신이 창조경제 만든다: <10> 창업DNA 되찾아야.
  9. 신종호, 서은진, 이유경 (2011). 생애목표검사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5(2), 255-276.
  10. 유병재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1, 109-129.
  11. 육근철 외 (2011). 2012년도 발명영재 선발도구 개발 연구. 서울: 특허청.한국발명진흥회.
  12. 이영자 (1996).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13. 이재호 (2012). 2013년도 발명영재 선발도구 개발 최종보고서. 서울: 특허청.한국발명진흥회.
  14. 이병욱, 이경표, 박기문, 이윤조, 이규녀 (2012). 창의발명인재 육성 사업 추진 현황 및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서울: 특허청.
  15. 이성진 (2005). 한국인의 성장 발달: 30년 종단적 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16. 이자영, 남숙경, 이미경, 이지희, 이상민 (2009).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 문항수준 타당도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173-189.
  17. 이찬 (2009). 차세대 영재기업인 선발모형 개발 및 육성체계 구축. 서울: 특허청.한국발명진흥회.
  18. 이현숙, 백민정 (2012). 청소년의 개인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관적 규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15(2), 65-84.
  19. 정대용, 한관섭 (2013). 창업활동이 성장의도를 매개로 창업결과만족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34(1), 97-119.
  20. 조석희 (2004). 영재성의 발달 및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종단연구(2004-2018): 1차년도 연구(검사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1. 조석희 (2005). 영재성의 발달 및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종단연구(2004-2018): 2차년도(조사대상자 선정 및 횡단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2. 조선미 (2011). 영재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들: 자기결정성, 학습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1(3), 611-630.
  23. 최민경 (2013). 기업영재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영재교육연구, 23(6), 1117-1145. https://doi.org/10.9722/JGTE.2013.23.6.1117
  24. 최민경, 이경표 (2013). 기업영재 종단연구의 이론적 제안 및 고찰. 영재교육연구, 23(5), 793-815. https://doi.org/10.9722/JGTE.2013.23.5.793
  25. 최민경, 이행은 (2013). 청소년 기업영재의 기질 및 성격 특성. 영재교육연구, 23(1), 89-107.
  26. 현주, 김양분, 류한구, 박현정, 김태은 (2005). KEDI 종합검사 도구 개발 연구(I): 예비 검사 개발, 실시 및 결과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5-19.
  27. 현주 외 (2006). KEDI 종합검사도구 개발연구(II): 가정특성과 학교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8. Athayde, R. (2009). Measuring enterprise potential in young people.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3(2), 481-500. https://doi.org/10.1111/j.1540-6520.2009.00300.x
  29. Ajzen, I. (2000).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elf 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2, 665-683.
  30. BarNir, A., Watson, W. E., & Hutchins, H. M. (2011). Medi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among role models, self-efficacy,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 and gender.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41(2), 270-297. https://doi.org/10.1111/j.1559-1816.2010.00713.x
  31. Bird, B. (1988). Implementing entrepreneurial ideas: The case for inten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 442-454.
  32. Bonnett, C., & Furnham, A. (1991). Who wants to be an entrepreneur? A study of adolescentsinterested in a young enterprise scheme.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12(3), 465-478. https://doi.org/10.1016/0167-4870(91)90027-Q
  33. Carter, N. M., Gartner, W. B., Shaver, K. G., & Gatewood, E. (2003). The career reasons of nascent entrepreneur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8, 13-39. https://doi.org/10.1016/S0883-9026(02)00078-2
  34. Chell, E., & Athayde, R. (2009). The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innovative characteristics of young people. NESTA Research Report.
  35. Covin, J. G., & Slevin, D. P. (2002) The entrepreneurial imperatives of strategic leadership. In M. A. Hitt, R. D. Ireland, S. M. Camp, & D. L. Sexton (Eds.), Strategic entrepreneurship: Creating a new mindset (pp. 309-327). Oxford: Blackwell Publishers.
  36. Edelman, L. F., Brush, C. G., Manolova, T. S., & Greene, P. G. (2010), Start-up motivations and growth intentions of minority nascent entrepreneur.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48(2), 174-196. https://doi.org/10.1111/j.1540-627X.2010.00291.x
  37. Gatewood, E. J., Shaver, K. G., Powers, J. B., & Gartner, W. B. (2002). Entrepreneurial expectancy, task effort, and performance.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27(2), 187-206. https://doi.org/10.1111/1540-8520.00006
  38. Katz, J. Z., & Gartner, W. B. (1988). Properties of emerging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 429-441.
  39. Krueger, N. F. (1993). The impact of prior entrepreneurial exposure on perceptions of new venture feasibility and desirability.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8(1), 5-21. https://doi.org/10.1177/104225879301800101
  40. Robinson, A., & Clinkenbeard, P. R. (1998). Giftedness: An exceptionality examined.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9, 117-139.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49.1.117
  41.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42. Shavinina, L. V. (2006). Micro social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giftedness: The case of Richard Branson. High Ability Studies, 17(2), 225-235. https://doi.org/10.1080/13598130601121482
  43. Shavinina, L. V. (2007). Early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giftedness. Proceedings of Annual conference of Administrative Sciences Association of Canada (pp. 178-186). Ottawa, Ontario.
  44. Shavinina, L. V. (2008). Early signs of entrepreneurial giftedness. Gifted and Talented International, 23(1), 9-15. https://doi.org/10.1080/15332276.2008.11673508
  45. Timmons, J. A., & Spinelli, S. (2004). New venture creation: Entrepreneurship for the 21st century. New York, NY: McGraw-Hill/Irw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