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영재의 자유탐구를 안내하는 연구단계별 질문목록 개발

Development of a Question List in Accordance with Stage of Research, Which Guides Open Inquiry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 투고 : 2014.01.16
  • 심사 : 2014.02.24
  • 발행 : 2014.02.28

초록

자유탐구는 영재학습자를 위한 대표적인 교수학습 방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자유탐구는 매우 복합적인 학습과정이기 때문에 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영재들은 다양한 영역에 걸친 복합적인 역량들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과학영재들이 자유탐구를 통해 보다 전문가 수준에 가까운 연구역량을 키우고, 차별화된 산출물을 내놓는 과정에서 비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단계별 질문목록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론, 학술적 글쓰기, 탐구와 관련된 학습 연구 등 자유탐구와 관련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문헌들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유탐구를 인지적, 초인지적, 사회문화적 과정으로 규정하여 질문목록의 개발발향을 설정하였다. 이어서 자유탐구의 목표를 상세화한 후에 연구의 단계를 범주화하는 모형을 개발하고, 각 연구단계별로 탐구의 성공적인 수행에 도움이 되는 주요 질문들을 개발하였다. 끝으로 본 질문목록을 활용하여 영재 학생의 자유탐구를 지도할 때 유의할 점들을 논의하였다.

The open inquiry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learning approaches for gifted students. However, a gifted student should develop various complicated competencies to succeed in the open inquiry because of its complexity. This study develops a question list in accordance with each stage of inquiry so that the list could provide scaffolding in the process of open inquiry and students develop near-professional competencies and produce distinguished outcomes. For the purpose, we have reviewed various literatures related to research methodologies, academic writings, and learning of inquiry. Based on the review, we identified the open inquiry as cognitive, metacognitive, and sociocultural processes and set up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question list. We also have elaborated the goals of the open inquiry, provided a model of the stage of inquiry, and developed the guiding question list belonging to each stage. As a discussion, we provided several noteworthy issues in the situation of when the list is used in the teaching of the open inquiry for the gif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성주, 김현주, 이길재, 권영식, 김명희, 김연숙, 김윤화, 신호심, 임희영, 하지희 (2009). R&E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영재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626-638.
  2. 교육과학기술부 (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3. 김경대, 심재영 (2008).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인식: KAIST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282-290.
  4. 김미경, 오희균, 박종원 (1996). 물리 탐구 실험의 평가를 위한 도구의 개발과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1), 51-60.
  5. 김순옥, 김봉선, 서혜애, 김영민, 박종석 (2011). 문제발견 및 가설설정 능력 신장 과학영재 교육프로그램 개발: 멘델의 과학적 사고과정 적용, 영재교육연구, 21(4), 1033-1053.
  6. 김효준, 송진웅 (2012). 개방형 과학 탐구를 위한 효과적인 지도 전략의 탐색: 과학고등학교의 KYPT 문제 해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0), 1489-1501.
  7. 김희경, 송진웅 (2004). 학생의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과학탐구활동 모형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16-1234.
  8. 박재용, 이기영 (2012). 요인 분석을 통한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 및 기능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204-1221.
  9. 변선미, 김현주 (2011). 자유 탐구 활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자유 탐구 활동이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10-224.
  10. 신광문, 강영창, 이성묵, 이재봉 (2011). 대학생들의 물리실험에서 측정 활동 분석틀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115-127.
  11. 신형기, 정희모, 이재성, 김성수, 박권수, 유현재, 한경희, 박진영, 김현주 (2006).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 글쓰기. 서울: 사이언스 북스.
  12. 우종옥, 김범기, 한안진, 허명 (1998). 국가 수준의 과학탐구능력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4), 617-626.
  13. 이혜정, 심규철 (2011).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적 가설에 대한 이해. 영재교육연구 21(1), 193-207.
  14. 임성만, 양일호, 김순미, 홍은주, 임재근 (2010). 초등 예비교사들이 자유 탐구 활동 중에 겪은 어려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91-313.
  15. 정우경, 이준기, 오상욱 (2011). 중학교 학생들의 자유 탐구활동 중 주제선정단계에서 나타난 어려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199-1213.
  16. 정현철, 채유정, 김경대 (2012).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R&E) 운영 현황 및 실태 분석. 영재교육연구, 22(3), 597-617.
  17. 최승언, 김은숙, 전미란, 유희원 (2012), 자율학습자 모형에 기반한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인식 연구. 영재교육연구, 22(3), 575-596. https://doi.org/10.9722/JGTE.2012.22.3.575
  18. Booth, W., Colomb, G., & Williams, J. (2012). 학술논문 작성법 [양기석, 신순옥, 역]. 서울: 나남. (원본출간년도: 2008).
  19.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8. https://doi.org/10.1002/sce.10001
  20. Collins, A. (2006). Cognitive Apprenticeship. In R. K. Sawyer (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the learning science (pp. 47-6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Etkina, E., Heuvelen, A. V., White-Brahmia, S., Brookes, D. T., Gentile, M., Murthy, S., Rosengrant, D., & Warren, A. (2006). Scientific abilities and their assessment. 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Physics Education Research, 2, 020103. https://doi.org/10.1103/PhysRevSTPER.2.020103
  22. Johnsen, S. K., & Goree, K. (2010). 영재학습자의 자율 연구 [전미란, 역]. 서울: 아카데미 프레스. (원본출간년도: 2005).
  23. Kung, R. L. (2005). Teaching the concepts of measurement: An example of a concept-based laboratory course. American Journal of Physics, 73(8), 771-777. https://doi.org/10.1119/1.1881253
  24. Moriarty, M. F. (2008). 비판적 사고와 과학 글쓰기 [정희모, 김성수, 이재성, 역]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원본출간년도: 1997).
  25. Sadler, T. D., Burgin, S., McKinney, L., & Ponjuan, L. (2010). Learning science through research apprenticeships: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3), 235-256.
  26. Schraw, G. (1998). Promoting general metacognitive awareness. Instructional Science, 26, 113-125. https://doi.org/10.1023/A:1003044231033
  27. Schraw, G., Criooen, K. J., & Hartley, K. (2006). Promoting self-regulation in sceicne education: Metacognition as part of a broader perspective on learning.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6, 111-139. https://doi.org/10.1007/s11165-005-3917-8
  28. Williams, J., & Colomb, G. (2008). 논증의 탄생 [윤영삼, 역] 서울: 홍문관. (원본출간년도: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