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Composite Multilayer Insulation by Applciation of Heat Storage Tank

축열조용 복합 다층 단열재의 단열 성능 연구

  • 최규홍 (국민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 ;
  • 황승식 (국민대학교 기계시스템공학부) ;
  • 신동훈 (국민대학교 기계시스템공학부) ;
  • 박우성 (경동나비엔(주) 기술연구소) ;
  • 박대웅 (경동나비엔(주) 기술연구소) ;
  • 손승길 (경동나비엔(주) 기술연구소) ;
  • 정태용 (국민대학교 기계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14.07.18
  • Accepted : 2014.09.15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MLI(Multi-layer Insulation) is widely used to get highly insulating on cryogenic system in order to reduce heat loads. MLI for satellites thermal performance is changed by materials and laminated method. In this study, a composite multilayer insulation by application of heat stroage tank performance were compared with materials and laminated to change the way. Experimental methods of the KS C 9805 was used, the composite multilayer insulation and EPS was compared with the insulation performance. A method for analysis of experimental results is the equivalent thickness about CMI and the insulation performance were used to compare thermal conductance. As a results, the equivalnet thickenss and the thermal conductance of the composite multilayer insulation were smaller than the EPS and the thermal performance are more excellent.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osite multilayer insulation materials and laminated method varies depending on the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was confirmed.

적층 단열재(multi-layer insulation, MLI)는 초전도 마그넷과 초전도 전력 케이블과 같은 초전도 응용기기의 냉각에 사용되는 저온유지장치(cryostat)에 외부 열침입을 차단하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적층 단열재는 인공위성에 사용되는 단열재로 적층단열재를 구성하는 자재의 종류와 적층층수 등에 따라 단열 성능이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적층 단열재의 원리를 이용한 축열조용 복합 다층 단열재(composite multilayer insulation, CMI)의 구성 재질 종류를 변경하고 적층 방식을 바꿈으로서 단열 성능이 바뀌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은 KS C 9805의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복합 다층 단열재의 단열 성능 확인을 위해 동일한 조건의 축열조에 스티로폼을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실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 단열재에 대한 등가 두께를 비교하고 type별 CMI의 열전도율을 구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복합 다층 단열재의 등가 두께는 스티로폼 보다 작아 동일 두께인 경우 스티로폼 보다 단열성능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복합 다층 단열재의 구성 소재 및 적층 방식에 따라 전도, 대류 및 복사와 관련된 값들의 변화가 총괄 열전달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원묵, 김동락, 양형석, 이병섭, 황시돌, 적층단 열재의 단열성능 실험적 고찰, 대한기계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5, 2524-2528
  2. 현범석, 김희경, 최준민. 다층박막단열재 열해석 방법 비교 연구, 대학기계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2003, 290-295
  3.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표준원장, 가정용 축열식 전기보일러 및 저탕식 전기 온수기, KS C 9805, 2013
  4. Gilmore, D., Satellite Thermal Control Handbook, Aerospace Corporation Press, E1 Segundo, California, 1994
  5. 정태용, 박복춘, 박형구, 부준홍, 서정세, 열전달, 교보문고, 2007
  6. 강병하, 피창헌, 김석현. 단열재가 부착된 수직 벽 표면의 온도제어 해석, 설비공학논문집 제24 권 4호, 2012, 323-329
  7.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표준원장, 보온 보랭 공사 의 시공 표준, KS F 2803,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