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ulting Method and Its Applied Case to Improve Management Capability of Agricultural Firms Based on the Multi-contingency Organization Theory

다중조직이론 기반의 농업경영체 경영관리능력 향상을 위한 컨설팅 기법과 사례

  • Jang, Ikhoo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 Moon, Junghoo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e, Young Cha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장익훈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
  • 문정훈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
  • 최영찬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 Received : 2014.09.30
  • Accepted : 2014.11.11
  • Published : 2014.12.30

Abstract

Nowadays, many farmers use online management diagnosis tool developed by Rural development agency(RDA) for the purpose of self-diagnosis of their farm management. Database(DB) was created using the diagnosis results and has been used for agri-firm management consulting. However, the amount of diagnosis data in the DB has been decreasing year by year. This means that the diagnosis tool of RDA did not reach farmers' expec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consulting tool which is applicable for various types of agri-firm management. This study introduces a management diagnosis tool and consulting method based on multi-contingency organization theory and value chain model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existing tools and methods. The consulting method based on multi-contingency organization theory shows the core strategy of agri-firms by two different ways such as "efficiency-oriented" direction and "effectiveness-orientated" direction. Also, this method emphasizes that the performance of firm can be achieved when subelements of firm activities follow the same direction with the orientation of core strategy. The important thing is the right firm management activity fitted to its strategic direction. Through this action, limited firm resources can be optimized. In order to make itself understand, this study shows a practical example applied by this method from actual agri-firms.

현재 국내에서 많은 농가가 이용하는 경영진단방법 중 하나는 농촌진흥청 농업경영정보시스템 내의 농가경영컨설팅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경영표준진단표로, 진단결과는 DB화하여 농가경영컨설팅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연도별 농가경영 진단결과 DB화 실적을 살펴보면 매년 실적이 조금씩 감소함을 알 수 있는데, 경영진단을 하는 농가 수의 감소는 농가가 경영진단을 통한 실질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거나, 지속적으로 진단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는 등의 불만족 요인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농가의 다양한 유형과 규모를 포괄하여 쓸 수 있는 컨설팅 기법의 개발과 실증사례의 발굴이 절실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농가 중심의 농업경영체 경영진단 및 컨설팅 방법에서 부족한 요소들을 보완하고 기업형 농업경영체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경영전략 이론에서 사용되는 다중조직이론과 가치사슬모형을 적용한 경영진단 및 컨설팅기법을 소개한다. 다중조직이론 기반의 컨설팅 기법의 특징은 농업경영체의 경영전략은 크게 효율성추구와 효과성추구의 두 가지 방향이 있으며 경영체의 하부요소들이 경영 전략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적합성(fit)을 맞추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경영체의 전략적 방향에 맞는 경영활동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한정된 자원의 분배를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제시된 컨설팅 기법은 농업현장의 경영체들에 실제로 컨설팅을 수행하여 현장실증한 사례를 보여줌으로써 컨설팅 기법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전문행정연수원. (2003). 농업인력육성담당공무원교육교재. 28-31.
  2. 김사균, & 최영찬. (2005). 우수농업경영체 발굴육성 전략의 발전적 제언.농촌지도와 개발, 12(2), 243-255.
  3. 김석은. (2006). 양돈농가 컨설팅이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농업경영정책연구, 33(3), 777-788.
  4. 농촌진흥청. (2011a). (농업경영교재 11-01) 농업경영진단과 처방.
  5. 농촌진흥청. (2011b). (ppt발표자료) 강소농의 첫걸음 농업경영진단과 처방.
  6. 민승규, & 양주호. (2008). 글로벌시대 한국농업이 나아갈 길 경쟁력 있는 농업경영체 육성. 삼성경제연구소.
  7. 박성희, 안경아, 김민정, 최영찬, & 문정훈. (2013). IT 지원 조직의 조직 적합성에 관한 연구 : 농촌 IT 지원조직의 사례. 한국IT서비스학회지, 12(1), 15-32 https://doi.org/10.9716/KITS.2013.12.1.015
  8. 박평식, 정호근, & 이상덕. (2001). 농가의 경영진단기법 이용현황과 과제. 농업경영정책연구, 28(3), 540-555.
  9. 이두희, & 김재홍. (2003). 농가의 컨설팅 수용태도에 따른 특성 분석. 농업과학연구, 30(1), 102-113.
  10. 황만길. (2009). 농업생산자조직 컨설팅의 방향과 과제. 지역과농업, 4, 105-124.
  11. 황영모. (2009). 농업생산자조직 컨설팅, 어떻게 할 것인가? 지역과농업, 4, 69-104.
  12. Burton, R. M., & B. Obel. (2004). Strategic organization diagnosis and design: The dynamics of fit, 3ed.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3. Burton, R. M., B. Obel, & G. DeSanctis. (2011). Organizational design: A step-bystep approach. New York : Cambridge Univ Press.
  14. Hickson, D. J, C. R. Hinings, C. A. Lee, R.E. Schneck, & M. Pennings. (1971). A strategic contingencies' theocy of intraorganizational power.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6(2), 216-229. https://doi.org/10.2307/2391831
  15. Klaas, P. (2004). Towards a concept of dynamic fit in contingency theory. 22nd International System Dynamics Society Conference. Oxford, England.
  16. Lawrence, P., & J. Lorsch. (1967).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Boston: Harvard Business Press.
  17. Porter, M. E (1985). Competitive Advantage: Creating and sustaining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Simon and Schuster.
  18. Scott, W. (2003). Organizations: Rational, natural and open system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Cited by

  1. 청년농업인의 농업경영 특성과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vol.26, pp.3, 2019, https://doi.org/10.12653/jecd.2019.26.3.0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