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ents' Perception of Smart Learning in Distance Higher Education

스마트러닝에 대한 원격대학 학습자의 인식

  • Received : 2013.07.15
  • Accepted : 2013.08.26
  • Published : 2013.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students' perception of smart learning focusing on its definitions, roles and values in distance higher education. In the online survey, 1,950 students of 'A' open university were particip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viewed the smart learning to be more 'absorbing', 'interactive' and 'collaborative' than the existing e-learning, as it compiles their experiences into learning. However, the respondents' perceptions of smart learning varied among different age groups: more students in their 40s and 50s responded that smart learning was 'customized', 'humanlike', 'interactive', 'comfortable', 'stable', 'familiar', 'unstressful', and 'practical' than students in their 20s and 30s, and they tend to view the main feature of smart learning to be the compilation of learner experiences.

이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자를 위한 스마트러닝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 원격대학의 성인학습자가 스마트러닝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격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950명이 응답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스마트러닝을 현재의 원격학습에 비해 '몰입이 가능'하고, '쌍방향적'이며, '협력적'이라고 인식하였으며, '경험의 결합'을 주요 특성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40 50대의 학습자가 20 30대에 비해 스마트러닝을 '맞춤형', '인간적', '쌍방향적', '편안한', '안정적', '익숙한', '피로하지 않은', '실제적'인 것으로 인식하였고, '경험의 결합'이 스마트러닝의 특성이라 인식하는 경향이 더욱 컸다. 이는 스마트러닝에서의 학습 목적이 연령별로 다르기 때문이라 유추할 수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성인학습자의 연령과 특성에 따른 스마트러닝 목적과 학습유형, 전략의 논의가 필요함을 암시한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 관점에서 스마트러닝의 개념과 특성을 재조직화하고 이에 대한 논의의 초석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 임병노, 박정영, "'스마트 러닝'의 개념적 구성과 교수학습 전략 탐색", 교육방법연구, 제24권, 제2호, pp.238-303, 2012.
  2. 곽덕훈, 스마트러닝과 스마트러닝 포럼의 의미, 스마트러닝포럼 창립세미나 자료집, 2011.
  3. 교육과학기술부,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실행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11.
  4. 김돈정, 스마트러닝을 위한 스마트워크 국가 전략, 한국이러닝산업협회 2010 스마트러닝 리더스 세미나 자료집, 2010.
  5. 김미용, 배영권, "스마트교육의 교수학습도구로서 3D 콘텐츠 제작 및 활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483-496, 2012.
  6. 김미용, 배영권, "스마트교육 수업 설계 모형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467-48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467
  7. 김성우, "N-Screen과 클라우드 컴퓨팅 패러다임에서의 지속가능한 UX 생태계 구축에 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제29권, 제4호, 2010.
  8. 김성태, 스마트코리아를 향한 스마트워크 국가전략,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워크 국가전략세미나 자료집, 2010.
  9. 김용겸, "기술수용모형 관련 요인들간 관계에 대한 통합적 이론모형", 산업경제연구, 제25권, 제2호, pp.1639-1670, 2012.
  10. 노규성, 주성환, 정진택,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구현 조건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9권, 제2호, pp.79-88, 2011.
  11. 설문규, 손창익, "초등학교에서 스마트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활용 인식 조사",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제16권, 제3호, pp.309-318, 2012.
  12. 신호균, 김영애, "스마트러닝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학습 시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pp.93-105, 2011.
  13. 우영희, 최효선, 정효정, 김성우, "대학간 네트워크 기반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러닝 환경 구축방안",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정책과제 12-02.
  14. 이수희, 스마트러닝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이러닝산업협회 2010 스마트러닝 리더스 세미나 자료집, 2010.
  15. 이정환, 장현준, 한영도, "중소기업의 직무교육 혁신을 위한 스마트러닝 선호 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지, 제14권, 제3호, pp.647- 663, 2011.
  16. 임걸, "스마트러닝 교수학습설계전략 연구", 컴퓨터교육, 제14권, 제2호, pp.33-45, 2011.
  17. 임병노, 임정훈, 정영란, 최미나, 성은모, 정효정, 조용상, 스마트교육 콘텐츠 및 프로그램 품질인증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RRC 2012-1.
  18. 임정훈,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혁신방안으로서의 스마트러닝, 2012 인적자원개발 컨퍼런스발표자료집, 2012.
  19. 임희석, 디지털 네이티브를 위한 스마트 교육, 글로벌 교육 심포지엄 발표자료, 2011.
  20. 장상현, 교육 3.0과 스마트러닝,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정보화 수요포럼자료집, 2011.
  21. 장재경, 상황인지 기반 스마트러닝 모형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2. 허희옥, 이현우, 김현진, 임규연, 강의성, "스마트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201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동계 학술발표 논문지, 제17권, 제1호, pp.3-7, 2013.
  23. A. P. Rovai, "Building Sense of Community at a Distance,"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ance Learning, Vol.3, No.1, 2002.
  24. C. Haythornthwaite, Michelle M. Kazmer, Jennifer Robins, "Community Development Among Distance Learners: Temporal and Technological Dimension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6, No.1, 2000.

Cited by

  1. Effects of Modality and Smart Device on Learner's Interaction Experience in Online Learning vol.15, pp.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507
  2. Introduction and Activation Strategies for Smart Training of Corporate vol.9, pp.5, 2018, https://doi.org/10.13106/ijidb.2018.vol9.no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