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미술영재 교육과정 평가준거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the Gifted Curriculum in Visual Arts

  • 투고 : 2013.02.28
  • 심사 : 2013.04.17
  • 발행 : 2013.04.30

초록

본 연구는 미술영재교육과정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준거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교육학 전문가, 영재교육 전문가, 미술(영재)교육 전문가들의 검토를 통해 평가준거 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평가준거 안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해 교육평가 전문가, 영재교육 전문가, 미술(영재)교육 전문가, 영재교육 행정가로 구성된 30명의 델파이 패널을 선정하여 총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는 척도 평균, 내용타당도(Contents Validity Ratio: CVR)와 합의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과 전문가 검토를 통해 12개의 상황평가준거, 25개의 투입평가준거, 12개의 과정평가준거와 9개의 성과평가준거로 구성된 총 58개의 미술영재교육과정 평가준거를 개발하였다. 둘째, 1차와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성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던 2개의 평가준거가 삭제되었다. 최종 확정된 미술영재교육과정 평가준거는 12개의 상황평가준거, 25개의 투입평가준거, 10개의 과정평가준거와 9개의 성과평가준거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미술영재교육과정 평가준거는 추후 국가 수준의 기관평가 체제를 구축하거나 기관 및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평가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evaluation criteria for gifted curriculum in visual arts. For this purpose, a draft of evaluation criteria for gifted curriculum in arts were first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opinions of experts in educational assessment, gifted education, visual art education. Then, the Delphi method was employed to validate the evaluation criteria. Delphi survey was carried out twice with 30 panelists consisting of experts in educational assessment, experts in gifted education, experts in arts(gifted) education and administrators in gifted education. Delphi survey was analyzed using the mean, content validity ratio, and the degree of consensus.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58 evaluation criteria for gifted curriculum in arts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opinions. The evaluation criteria included 12 context evaluation criteria, 25 input evaluation criteria, 12 process evaluation criteria, and 9 product evaluation criteria. Secon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 2 evaluation criteria were not validated and finally were removed. The final evaluation criteria included 12 context evaluation criteria, 25 input evaluation criteria, 10 process evaluation criteria, and 9 product evaluation criteria. The evaluation criteria developed by this study can be used as a standard to establish the institution assessment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and evaluate institutions and program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희 (2005). 미술영재 이야기. 서울: 학지사.
  2. 김정희, 강병직 (2011). 미술영재교육학. 서울: 학지사.
  3. 박혜림 (2007).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평가준거 개발 연구. 교육과정연구, 25(3), 109-132.
  4. 서예원, 이재분, 박지은 (2011).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평가 및 중장기 전망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이경진, 김경자, 김성혜, 권도희, 오레지나, 김선아 (2011).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 모형 개발.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6. 이경진, 김선아 (2012). 미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이론적 기초. 영재교육연구, 22(3), 639-662. https://doi.org/10.9722/JGTE.2012.22.3.639
  7. 이용애 (2002). 시각예술 영재성 개념 모델의 탐색. 초등교육학연구, 9(1), 21-36.
  8. 이종성 (2001). 델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9. 최인수 (1998). 창의적 성취와 관련된 제 요인들: 창의적 연구의 최근 모델인 체계모델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5(2), 133-166.
  10. 최인수 (2000). 창의성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모델, 생활과학, 3(1), 441-464.
  11. Clark, G., & Zimmerman, E. (2008). 미술영재교육: 이론과 실제. [홍소영 역]. 서울: 미진사. (원본출간년도: 2004).
  12. Csikszentmihalyi, M. (2003). 창의성의 즐거움 [노혜숙 역], 서울: 북로드. (원본출간년도: 1996).
  13. Dehaan, R. F., & Havighurst, R. J. (1965). Educating Gifted Childre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 Eisner, E. W. (1998). 새로운 눈으로 보는 미술교육.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연구회 역]. 서울: 예경. (원본출간년도: 1972).
  15. Freedman, K. (1997). Curriculum inside and outside school: Representation of fine art in popular culture. Journal of Art & Design Education, 16(2), 136-145.
  16. Fitzpatrick, J. L., Sanders, J. R., & Worthen, B. R. (2011). Program evaluation: Alternative approaches and practical guidelines (4th ed.). MA: Allyn & Bacon.
  17.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a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18. Stufflebeam, D. L. (2005). CIPP model (context, input, process, product). In S. Mathison (Ed.), Encyclopedia of evaluation. CA: Sage.
  19. Winner, E. (1997). Giftedness vs. creativity in the visual arts. Poetics, 24(6), 349-377. https://doi.org/10.1016/S0304-422X(97)000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