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oy protein supplementation and treadmill running exercise on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blood metabolic markers, estradiol, estrogen receptor gene expression in ovariectomized rats

콩 단백질 섭취 및 트레드밀 운동이 난소절제 흰쥐의 신체구성, 혈중 대사변인, 에스트라디올 농도 및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2.02.28
  • Accepted : 2012.04.13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applicapability of soy protein supplementation and treadmill running exercise for the replacement theraphy on negative effects to estrogen metabolism in menopause. This study was analyzed the effects of 8 week soy protein supplementation and treadmill running exercise on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blood concentrations of glucose, insulin, triglycerides, C-reactive protein (CRP) and estradiol, estrogen receptor gene expression of liver in ovariectomized rats. Ovariectomized groups showed the increasing responses of body weight, body fat percentage, and blood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s, but these groups showed the decreasing responses of blood estradiol level and estrogen receptor gene expression in liver. Ovariectomized groups showed the positive responses of blood concentrations of lipid markers, insulin, estradiol, and estrogen receptor gene expression of liver except bone mineral contents after 8 week soy protein supplementation and treadmill running exercise. I could find the positive effects of 8 week soy protein supplementation and treadmill running exercise on the estrogen and lipid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but this study could not confirmed the detailed replacement program of exercise intensity, duration, and soy protein volume for estrogen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본 연구는 폐경에 따른 에스트로겐 대사의 부정적인 영향의 방지 및 처치를 위한 효율적인 대체요법으로서 운동과 콩 단백질 추출물 섭취 프로그램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난소 절제하여 폐경과 동일한 상태를 유도한 흰쥐를 대상으로 8주 동안 트레드밀을 이용한 지구성 운동과 콩 단백질 추출물 섭취의 복합적인 처치가 신체구성 및 골밀도, 혈중 에스트라디올농도, 간 조직에서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양상, 혈중 글루코스, 중성지방, 인슐린 및 CRP 농도 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난소절제그룹은 체중 및 체지방률이 증가하고, 혈중 에스트라디올농도 및 간 조직에서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혈중 중성지방농도는 증가하였다. 8주간의 운동 및 콩 단백질 섭취에 의한 처치 후 에스트라디올농도, 에스트로겐 수용체 및 혈중 변인 등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나 골밀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난소절제 흰쥐의 8주간 운동 및 콩 단백질 추출물 처치가 에스트로겐 및 지방대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은 확인 되었으나, 운동강도 및 시간, 콩 단백질의 섭취량을 포함한 처치기간 등에 대한 계속적인 검토가 요구된다고 생각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0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0-327-G0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