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흰쥐

검색결과 4,956건 처리시간 0.031초

마늘즙을 다량 투여한 흰쥐에서 체중과 장기 및 혈액 성분의 변화 고찰 (Toxic Effects of the Megadose Garlic Juice in the Rats)

  • 서화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85-492
    • /
    • 2000
  • 흰쥐에 사료 섭취량의 3%(G3군)와 5% (G3군)인 과량의 생마늘(즙)을 1개월간 경구 투여하여 체중 증가율과 사료 섭취량은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흰쥐 외관과 활동도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으나 해부 검사에서 G3군 흰쥐일부와 G3군 대부분의 흰쥐의 위벽점막에 홍반(erythema)를 관찰할 수 있었다. 간조직의 현미경 검사에서 G3군의 3마리 흰쥐에서 주로 간 실질세포으 퇘행성 변화와 염증세포의 침윤 등을 관찰했고 G5군의 7마리 흰쥐는 주로 간실질세포의 염증성세포 침윤과 충혈 및 경미한 간세포 괴사를 보였다. GOT와 GPTalc alkaline phosphatase 활성과 BUN수준에서 G3군과 G5군은 dose dependent fashion으로 모두 대조군보다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Total cholesteroltnwns과 hemoglobin함량은 G3군과 G5군에서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본 실험 결과를 보면 흰쥐에 과량의 마늘을 장기간 투여할 때 명백하게 독성이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장간막 동맥에서의 ATP 고갈에 의한 혈관 이완 검색

  • 홍기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84-184
    • /
    • 1994
  • 개와 흰쥐의 장간막동맥 절편의 긴장도와 $^{86}$Rb$^{+}$ 유출에 대한 cromakalim의 효과를 관찰하고 이를 ATP를 고갈시킨 조직에서 얻어지는 결과와 비교하였다. Cromakalim은 개와 흰쥐의 장간막 동맥을 이완시켰으며, 이러한 이완은 glibenclamide에 의하여 상경적으로 억제되었다. Glibenclamide는 phenylephriue에 의한 개와 흰쥐의 장간막 동맥 수축을 증가시킨다든지 혹은 cromakalim에 의한 억제성 반응을 역전시켰다. 개와 흰쥐 장간막 등맥의 $^{55}$Rb$^{+}$ 유출 실험에서 tromakalim (10 $\mu$M) 투여시 ATP를 고갈시킨 흰쥐의 장간막 동맥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HPLC를 이용하여 adenine nucleotide를 분석하였다. Adenine nucleotide의 HPLC 분석시에 혈관의 내피세포를 제거하였고 0.2 M ammonium phosphate (pH 5.5)를 용출용매로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

카리니주폐포자충 장염에 대한 여러 포유동물 및 흰쥐 계통에 따른 감수성 (Susceptibility of various animals to Pneumocystis carinii infection)

  • 홍성태;박계현;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4호
    • /
    • pp.277-282
    • /
    • 1992
  • 국내에서 카리니주폐포자충(Pneumocystis carinii, 이하 Pc) 연구에 적합한 동물모델을 개발하고자, 총 7종류 의 실험동물(흰쥐, 기니픽, 햄스터, 개, 고양이, 토끼 및 돼지)에 methyl prednisolone(Depomedrol", Korea Upiohn Ltd.)을 주사하여 면역억제를 유발하고 폐를 슬라이드 글라스에 문질러 도말표본을 만들었다. 도말표본을 Diff Quik 염색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Pc의 감염전도를 음성 (0), 0.5+, 1+, 2+ 및 3+의 5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실험동물 중 흰쥐에서만 Pc폐염이 유발되고 다른 동물에서는 Pc를 관찰하지 못하였다. 대부분 의 동물은 전신쇠약의 증세를 보였으며, 대체로 면역억제 6주경부터 사망하기 시작하였다. 흰쥐의 경우 실험한 세 계통 모두에서 감염을 확인하였다. Sprague-Dawley 흰쥐의 경우 총 136마리 중 86마리63.2%)가 Pc 감염 되었고, Fisher 휜쥐는 76마리 중 63마리 (82.9%)에서, Wistar 흰쥐는 106마리 중 77마리 (72.6%)에서 Pc 감염 이 양성이었다. 감염정도와 시기에서도 차이가 있어서 Wistar 흰쥐에서 더 이른 시기에 높은 감염정도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Pc 병원체를 얻기에는 흰쥐 세 계통 중 Wistar 흰쥐가 Pc연구에 가장 적합한 실험동물이고 그외의 실험동물은 Pc 감염에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PDF

흰쥐 유선에서의 Luteinizing Hormone (LH)과 수용체 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Luteinizing Hormone (LH) and Its Receptor Gene in Rat Mammary Gland)

  • 류종순;김재만;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2호
    • /
    • pp.231-236
    • /
    • 2000
  •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과 그 수용체가 흰쥐의 난소, 정소, 자궁, 태 반 그리고 유선 등의 생식기관에서 발현됨이 알려져 있다. 더욱이, 뇌하수체 전엽에 작용하는 GnRH의 표적 산물로 알려진 luteinizing hormone (LH)이 흰쥐 생식소에서도 발현됨이 알려졌는데, 이는 생식소 내에 GnRH-LH로 이루어진 국부 회로 (local circuit)가 존재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LH와 그 수용체 유전자가 흰쥐 유선에서도 발현되는가를 규명한 것이다. 이를 위해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과 LH 방사면역측정법 (radioimmunoassay, RIA)을 사용하였다. RT-PCR을 시행한 결과 생식 주기중인 임신하지 않은 흰쥐 유선에서 뇌하수체 유형의 LH${\beta}$ 전사체 (exon 1-3)가 증폭되었으나 정소특이적 LH${\beta}$ exon 부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뇌하수체 glycoprotein hormone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alpha}$-subunit과 LH 수용체에 대한 전사체 역시 흰쥐 유선에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존의 보고에서 수유중인 흰쥐 유선에서만 발현된다고 알려진 GnRH가 임신하지 않은 흰쥐 유선에서도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LH 방사면역측정법을 시행한 결과 흰쥐 유선조직 추출물에서 immunoreactive LH분자들이 검출되었으며, LH standard curve와 parallelism을 보이므로 흰쥐 유선의 LH가 뇌하수체 형과 동일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흰쥐 유선에서 LH subunit들과 수용체 유전자가 발현됨을 최초로 보고한 것으로서, 흰쥐 유선이 LH의 생성처이면서 동시에 작용처이며 유선에서 합성된 GnRH의 조절하에 국부적인 인자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선천성 고혈압 흰쥐와 정상혈압 흰쥐의 교감신경성 신경전달에 미치는 부신수질 및 Renin-Angiotensin계의 역할 (Regulatory Role of Adrenal Medulla and Renin-Angiotensin System in Sympathetic Neurotransmission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and Normotensive Rats)

  • 김인겸;김중영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5-86
    • /
    • 1994
  • 선천성 고혈압 흰쥐(SHR)와 정상혈압 흰쥐에서 교감신경성 신경전달에 미치는 부신수질 및 renin-angiotensin계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부신수질을 제거하거나 angiotensin 변환 효소 억제제를 장기간 처치한 뒤 중추신경계가 파괴된 상태에서 절전신경을 자극했을 때 나타나는 승압반응과 대동맥의 catecholamine농도 및 angiotensin 변환 효소 활성도의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부신수질을 제거하더라도 중추신경계를 파괴하기 전후의 혈압에는 영향을 주지 못했으며, 절전 신경 자극에 의한 승압반응은, 자극 주파수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razosin 전처치로서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다. 정상혈압 흰쥐에서와는 달리, 선천성 고혈압 흰쥐에서는 부신수질을 제거했을 때는 절전신경 자극에 의한 승압반응이 부신수질을 제거하지 않는 군(이하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약화되었다. SHR에서 부신수질 제거로 부신 catecholamine 함량은 현저히 감소되었고, 혈청의 angiotensin 변환 효소 활성도는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혈장 및 대동맥 절편의 catecholamine 함량, 대동맥 절편의 angiotensin 변환 효소의 활성도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WKY에서는 부신수질이 제거된 군에서 대동맥 절편의 angiotensin 변환 효소의 활성도와 catecholamine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Enalapril처치에 의해서 선천성 고혈압 흰쥐 평균 혈압은, 부신 catecholamine 함량 및 대동맥 절편의 angiotensin 변화 효소의 활성도와 함께 현저히 저하되어 정상혈압 흰쥐와 유사하였다. 그리고 선천성 고혈압 흰쥐에서 부신수질의 제거로 절전신경 자극에 의한 승압반응이 대조군에 비하여 약화되는 현상은 enalapril을 처치하였을 때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교감신경성 신경전달을 항진시키는 부신수질의 작용은 renin-angiotensin계의 활성화에 의존적이었으며, 부신수질의 제거로 정상혈압 흰쥐에서는 renin-angiotensin계가 보상적인 조절이 일어났으나, 선천성 고혈압 흰쥐에서는 보상적인 조절이 일어나지 않았다.

  • PDF

흰쥐 폐의 분화과정에서 폐포막내 Fibronectin발현에 대한 면역조직학적 연구 (An Immunohistological and Immunogold Study on the Fibronectin Reacions in Rat Lung Differentiation)

  • 문광덕;지행옥;정호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2호
    • /
    • pp.1078-1086
    • /
    • 1999
  • 배경 :폐포내 fibronectin(FN)의 분포와 역할은 많은 연구자에 의하여 연구되어왔다. 흰주에서 폐의 분화시 FN은 태자에서 폐포의 기저막에 주로 분포되고 간엽조직에서도 관찰되면 분화가 진행되면 폐포막의 간질조직에 FN의 함량이 높아진다. 또 FN은 일반적으로 폐포대식세포(alveolar macrophage)에서 분비되고 폐에 질병이 발생하였을 때 다량의 FN이 폐포대식세포에서 분비된다고 보고되어 있다(Schoenberger 등 1984: Ozaki 등 1990; Rom 등 1987 ; Cordier 등 1990) 저자는 흰쥐의 폐포발생이 진행중인 폐포기 후반에서의 폐포막내 정상적인 FN이니 분포의 변화와폐포를 구성하는 큰 폐포세포(type II pneumocyte)에서의 FN의 분비여부를 면역조직염색법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추적하고자하였다 실험대상 및 방법: 청정동물실에서 사육한 SPF 흰쥐(Sprague-Dawley 계)를 임신시켜 질도말법을 이용하여 태령을 정한 뒤 태아제 17일 및 20일 출생 제 1일, 2일, 3일, 5일, 및 7일의 신생흰쥐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의 흰쥐는 체중 200ㅎ의 건강한 수컷을 사용하였다 흰쥐의 폐조직은 면역조직염색을 위해 rabbit anti rat fibronectin polyclonal antibody를 일차항체로 biotinylated goat anti rabbit IgG를 이차항체로 사용하여 폐실질세포내 FN의 분포를 LM으로 관찰하였고 한편 폐포막을 구성하는 세포 중 큰폐포세포가 FN을 분비하는 세포인지를 추적하기 위해 금과립을 첨가한 항체를 사용하여 큰 폐포세포내 FN의 분포를 EM을 이용해서 추적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 제 17일 및 20일 태아시기의 폐에서의 혈관주위에 강한 FN반응이 관찰되었다 출생후 폐포막의 FN의 활성은 출생후 5일 및 7일에 최고주에 달했다. 출생직후 1-2일경에 혈관의 조직내 FN의 활성이 양성을 나타내지만 3일이후 활성이감소되었다. 폐포대식세포내 FN의 활성은 출생후 증가되었다. 폐조직내 소기관지의 FN의 활성은 출생후 완만하게 상승되었다. 큰 폐포세포는 출생 1-3일에 일정량의 FN 반응이 세포질과 미세융모내에 관찰되었다. 결론 : 이상과 같은 결과로 흰쥐의 폐포의 분화과정이 계속되는 출생후 폐에서 FN의 분비는 7일이내에 성숙흰쥐의 폐포내 반응과 비슷한 반응으르 보이며 이때 폐의 실질조직은 분화가 거의 완료되었을 것으로 사료되었고 큰 폐포세포에서도 FN이 분비되는 것으로 결론지울수 있다.

  • PDF

고충(Sparganum)에서 성장호르몬 유사물질의 면역조직화학적 검출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of the Grolwth Hormone-like Substance in Sparganum of Spirometra erinacei)

  • 김명옥;최완성김창환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3-182
    • /
    • 1992
  • 흰쥐에 Spirometro rrinoce측 제3기 유충(고충 sparganum)이 감염되었을때 유충에서 생성된 성장호르몬 유사물질이 흰쥐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감염 기일이 경과에 따라 흰쥐의 뇌하수체와 유충의 체내에서 성장호르몬 분비세포를 면역조직화학염색으로 검색하였다. 유충의 표피와 표피성 근육층 및 근질 근육층에서 면역반응성을 띄는 성장 호르몬이 동정되었으며 감염시기의 경과에 따라 성장호르몬 분비세포의 수가 점차 증가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흰쥐의 뇌하수체에서는 성장호르몬 분비세포의 수가 감염 기일의 경과에 따라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점차 감소 하였으며, 감염후 3개월이 경과되면 다시 증가하여 정상대조군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또한 유충에 감염된 기일의 경과에 따른 횐쥐의 혈중 성장호르몬 농도변화를 dot-ELISA 방법으로 추정한 결깍 정상대조군의 성장호르몬의 양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유충의 체내에서 생성된 성장호르몬 유사물질이 전이숙주인 흰쥐의 성장을 유도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遠赤外線의 브라운관에의 應用과 生體에 미치는 影響에 대한 硏究(II) (A Study on Application of FIR to the Braun Tube and Influence of Braun Tube of FIR-Radiation Type to a Living Organism II)

  • 김헌수;박종환;노현모;지철근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9권2호
    • /
    • pp.111-111
    • /
    • 1995
  • 원적외선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포유동물인 흰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원적외선이 발생되도록 특수설계된 장치를 이용하여 흰쥐의 생리상태, 생식활동 및 생존능력에 변화와 차이를 유발시키는지의 여부를 관찰한 결과, 물과 먹이의 소모량, 체중, 수태율, 출산율 및 새끼의 성비(性比)에 있어서 자연상태와 동일하였기 때문에 원적외선이 하등의 유해작용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가혹한 실험상황에서 흰쥐의 생존력이 자연상태의 흰쥐보다 약 122% 증가한다는 결과를 얻으므로써 원적외선이 흰쥐의 체력과 지구력을 증강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관찰하였다.

작업환경을 위한 TLV의 근거 - PERFLUOROBUTYL ETHYLENE(1)

  • 김치년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276호
    • /
    • pp.27-31
    • /
    • 2011
  • Perfluorobutyl ethylene(PFBE)은 유기용제 혼합물에 주로 사용되는 산업화학물질로 동물에게 경구, 피부, 눈 그리고 흡입 노출되는 경우 급성 독성이 매우 낮다. Perfluorobutyl ethylene을 흰쥐에게 하루 6시간, 일주일에 5일씩 2주간을 0, 500 ppm, 5,000 ppm, 50,000 ppm을 흡입 노출시킨 연구에서 최대무작용량(no-observed-adverse effect level, NOAEL)으로 500 ppm이 결정되었으며 5,000 pm에서는 단핵 백혈구가 약간 증가하였다. 50,000 ppm에서도 병리학적 변화는 없었다. 그 후의 흡입연구는 하루 6시간, 28일간 연속적으로 흰쥐 암수에게 400 ppm, 2,000 pm, 10,000 ppm의 농도로 perfluorobutyl ethylene 증기를 노출시켰다. 최종 노출 후 흰쥐를 희생시켜 관찰한 결과, 체내 기관 무게변화를 포함한 어떠한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10,000 ppm에 노출된 수컷 흰쥐 5마리 중 4마리는 작은 다중간세포질 액포가 발견되었다. Perfluorobutyl ethylene 증기 10,000 ppm에 노출된 수컷 흰쥐는 부분적으로 평균 혈액응고 촉진 시간이 감소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최대무작용량을 2,000 ppm으로 결정하였다. Perfluorobutyl ethylene의 TLV-TWA 100 ppm은 노출 후 악영향을 최소화하는데 충분한 농도이며 "피부흡수(Skin)", "감작제(SEN)" 그리고 발암성에 대한 경고주석을 설정하기에는 유용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다.

  • PDF

궁둥신경 손상을 유발한 흰쥐에서 운동이 근육재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ercise on Muscle Recovery of Sciatic Nerve Injured Rats)

  • 노효련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855-858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흰쥐의 궁둥신경의 손상을 준 뒤 달리기운동을 시켜 운동이 근육재생에 효과가 있는지를 밝힐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수컷 Sprague-Dawley계 흰쥐의 궁둥신경을 압궤손상을 준후, 하루 60분 씩 주 5회 운동을 시켰다. 궁둥신경 압궤손상 후 12일(5일간 운동), 19일(10일간 운동), 26일(15일간 운동), 33일(20일간 운동 및 61일(40일간 운동)에 흰쥐를 희생시켜 장딴지근육을 절취하여 냉동절편을 만들었으며 중간세사인 desmin과 viment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방법을 시행하였고 NADH-TR을 이용한 효소조직화학적 방법으로 뼈대근육의 변성 등을 관찰하였다. 중간세사단백 중 desmin은 근육섬유의 변성 및 재생과정 모두에서 발현되며 vimentin은 재생과정에서만 발현되었다.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desmin과 vimentin의 면역 반응성이 높았고, 실험군의 근육섬유들은 손상 후 61일째에 횡단면에서 각을 갖고 있어 정상 근육섬유임을 입증해 주었으나 대조군의 근육섬유는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은 둥근 근육섬유가 관찰되었다. 19일째의 NADH-TR반응에서 대조군에서는 근육 섬유형 군집(fiber type grouping)으로 인해 diformazan 과립이 뭉쳐져 있음을 볼 수 있으나 실험군에서는 점점 diformazan 과립이 고르게 분포됨을 볼 수 있었다. 재신경지배가 일어 날 때 나타나는 표적근육섬유(target fiber)는 NADH-TR반응에서 26일 실험군의 일부 근육섬유에서 처음으로 관찰되었다. 61일째 NADH-TR반응에서 대조군은 아직도 diformazan 과립이 근육섬유성 군집을 보였으나 실험군에서는 정상군과 다름없는 염색성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흰쥐 궁둥신경 압궤손상 후 트레드밀 달리기 운동이 흰쥐 다리 뼈대근육의 중간세사발현에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