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rvice Evaluation Models from Transit Users' Perspectives

대중교통 이용자 관점의 서비스 평가 모형 개발

  • Kim, Won-Gil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Roh, Chang-Gyun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Son, Bong-Soo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Received : 2011.11.19
  • Accepted : 2012.01.04
  • Published : 2012.02.28

Abstract

The evaluation of public transit service quality is more complicated than evaluating other aspects of transportation service. Although various measures of effectiveness [MOEs] for transit service have been studied and applied, a more comprehensive and accurate MOE is still required. In the past, either data from user surveys or the experience of bus agency administrators and/or engineers used to measure the quality of service. However, recently, with reliable and accurate real time data from BMS(Bus Management System) and BIS(Bus Information System), more reliable and accurate MOEs are available. This study develops a service evaluation model from users' perspectives, which is based on user' cost models that consider passenger access time, riding time, waiting time, and discomfort due to in-vehicle overcrowding, violation of traffic laws, and accident rate. For validating proposed model, data from the BMS and transit-fare cards (T-Money Card) for Seoul's No. 472 main bus line were used. Models developed in this study provided reliable results.

최근 다양한 대중교통 중심 정책의 시행뿐만 아니라 시행된 정책의 효율적 운영과 대중교통 이용자 측면에서의 서비스 품질평가를 통한 서비스 개선은 대중교통 이용을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며,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의 모니터링, 개선 및 새로운 정책의 시행을 위해서는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다양한 정량적 모니터링 방법이 필요하다. 이용자 측면에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정량, 정성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효과척도는 대중교통 이용의 편의성, 정시성, 쾌적성, 안전성, 경제성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다양한 평가지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일시적이고 단편적인 설문조사나 대중교통 행정가의 경험 등을 통해 해당 지역 또는 노선의 서비스를 평가하기 보다는 대중교통 운행 상세이력, 이용자 수요 등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이용자 측면에서 서비스수준을 평가하는 등 보다 과학적이고 정량화된 다양한 평가방법론과 평가척도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대중교통 서비스수준 평가를 위하여 버스운행관리시스템의 버스운행 자료와 교통카드로부터 수집되는 정류소별 승하차정보를 활용하여 노선 및 정류소별 서비스수준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서비스 수준 평가를 위해 김원길(2009)의 버스 운행계획수립 모형을 기반으로, 서비스 평가지표 중 운행서비스 측면에서 이용자 접근시간, 대기시간, 차내 혼잡, 교통 혼잡, 돌발 상황, 교통법규위반, 운행규정 등을 고려하여 이용자 접근시간, 구간 통행시간, 차내 혼잡수준, 교통법규 및 운행규정 위반여부 등으로 인한 승객불편 등을 비용함수로 정량화하여 노선 및 정류소별 대중교통 이용자 서비스 수준을 상세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중교통 운행이력자료, 노선 및 정류소 기반의 대중교통 수요 자료의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분석과 활용을 통해 노선 및 정류소별 이용자 서비스 평가를 함으로써 해당 노선이나 정류소의 서비스 현황분석, 개선사항 도출 등에 활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대중교통 정책 수립, 시행 정책의 모니터링 목적 등 다양한 목적과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KHO, Seung Young.PARK, Jun Sik(2005), "Determining Level-of-Service Criteria of Headway Adher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23, No.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151-160.
  2. Korea Highway Capacity Manual(2004),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 Avishai Ceder, Public Transit Planning and Operation - Theory, Modeling and Practice (2007), Butterworth-Heiemann.
  4. Wongil Kim, Bongsoo Son, Jin-Hyuk Chung, Eungcheol Kim(2009), "Development of Real-Time Optimal Bus Scheduling and Headway Control Model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R2111 :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pp.31-41.
  5. TCRP Report 100(2003), Transit Capacity and Quality of Service Manual-2nd Edition,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6. TCRP Report 30(1998), Transit Scheduling : Basic and Advanced Manual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7. www.bok.or.kr, 2010 National Account, The Bank of Korea.

Cited by

  1. The Impact of the Bus Use Environments on Users Stress: The Case of Daejeon City vol.33, pp.6, 2015, https://doi.org/10.7470/jkst.2015.33.6.543
  2. An Introductory Study of the Level-of-Service Evaluation Methodology of Urban Roads with Multimodal Considerations vol.17, pp.2, 2015, https://doi.org/10.7855/IJHE.2015.17.2.123
  3. 혼잡통행료 징수와 대중교통 차내 혼잡수준의 관계 vol.34, pp.6, 2016, https://doi.org/10.7470/jkst.2016.34.6.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