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Transit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36초

도시철도 개통에 따른 대중교통 통행량 변화 분석: 대구도시철도 3호선 개통을 대상으로 (Will the Addition of Competing Transit Systems Increase Overall Transit Passengers? Lessons Learned from Urban Rail Transit Line 3 in Daegu)

  • 황정훈;정연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3호
    • /
    • pp.371-377
    • /
    • 2022
  • 도시철도와 버스는 대표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이며, 서로 공생하기도 하며 서로 경쟁하기도 한다. 즉, 경쟁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의 추가로 인해 전체 대중교통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과 경쟁 시스템으로의 수요 전환 수준에 머물 가능성도 존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쟁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이 존재하는 도시에 추가 경쟁 노선을 도입한 경우, 대중교통 통행량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시철도와 버스라는 2개의 대중교통 시스템이 존재하는 대구시에 도시철도 3호선의 도입 전·후에 대한 대중교통 통행 변화를 분석하였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2015, 2016, 2019년 4월 두 번째주 1주일간 교통카드 빅 데이터를 수집하여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 도시철도의 추가적인 개통으로 철도망 확장에 따른 통행량 증대는 있었으나 대중교통 전체 통행량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존 버스 통행량이 도시철도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단순히 대중교통 노선의 추가가 아닌 대중교통 수요 증대를 다양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대중교통 네트워크 중심의 접근성을 기준으로 한 제주도 대중교통 개편 효과 분석 - 대중교통 통행시간의 시간적 변동을 고려하여 - (Analysis of Jeju Public Transit System Reorganization Effect Based on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it Networks - Considering the Temporal Variability of Public Transit Travel Time -)

  • 심재웅;조기혁
    • 국토계획
    • /
    • 제54권6호
    • /
    • pp.68-7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transit accessibility analysis method based on temporal variability of travel time. In this study, transit accessibility was defined in three levels (in transit route, spot and region unit) to present findings from different spatial scopes. Recentl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reorganized bus system of the island. To compare transit accessibility before and after transit policy implementation, the reorganized bus system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This study used General Transit Feed Specification (GTFS) data format as storage public transit information, and calculated travel time using ArcGIS GTFS networks analysis tools. In the analysis of individual transit route level, we found the 3 types of accessibility changes which is increments, no significant changes and reductions and these results come from transit route change (number of transfer, distance change) rather than changes of vehicle interval. We found increases of inflow and outflow speed in most target spots and overall transit accessibility has been substantially improved in Jeju island. This study implies that accounting for temporal variability of travel time in accessibility analysis can result in more useful and sophisticated accessibility information in decision-making processes.

차세대 전자정부에 있어서 UT 기반의 u-public transit 응용서비스 프로토타입 연구 (Research on prototype of UT-based u-public transit application service of u-Gov)

  • 정영철;배용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47-154
    • /
    • 2012
  • 정보통신기술 발전으로 u-Gov의 진화방향은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정부의 새로운 행정 가치를 추구하는 정부혁신의 핵심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Gov와 u-Gov의 차이점 분석을 통해서, u-Gov에 활용될 수 있는 u-public transit 응용서비스 프로토타입 시스템 구성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프로토타입이 구현될 때에 나타날 수 있는 과제로 e-Gov의 불안전한 요소를 제거하거나, u-public transit에 대한 대응체계를 위해 UT를 응용한 프로토타입의 정책적 함의도 고찰하였다.

사용자 위치기반 환승정보서비스 개념모델 (A Conceptual Model for Location Based Public Transit Transfer Information Service)

  • 임정실;문영준;오영태;이철기;배명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12
    • /
    • 2008
  • 대중교통시설 및 수단간의 비효율적 교통연계에 따른 환승불편으로 인한 대중교통 이용률 저하와 국가 교통시설의 운영효율성 개선을 위하여 IT와 정보통신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대중교통 서비스 고급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위치기반 환승정보서비스를 제안하며 국가 ITS 아키텍쳐 개발방법론을 준용하여 사용자 위치기반 환승정보서비스를 위한 개념 및 요구사항 도출, 세부 사용자 서비스 정의, 서브시스템 도출, 논리아키텍척를 제시하였다. 환승교통센터와 주차유도 및 보행자경로안내서비스 서브시스템 논리아키텍쳐는 모바일 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컨텐츠 개발과 ISP, TSP 등 Contents Provider의 비즈니스 모델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대중교통의 연계 환승은 도시규모나 대중교통 수단유형에 따라 각각의 특성이 차별화 되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대중교통 및 환승정보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 모델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대중교통 HUD 콘텐츠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The Decision of Order Priority of HUD Contents for Public Transit)

  • 박범진;강원의;김태형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35-141
    • /
    • 2013
  • PURPOSES: In this study, as part of an effort to develop HUD for public transit, it is proposed that the decision of order priority of contents which will be disposed to bus drivers through HUD for public transit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METHODS: In AHP analysis method brainstorming, factor analysis, hierarchical structuring, and weighting analysis were performed by applying a classical analysis method. RESULTS: By the result of analysis it is shown that unlike car drivers, bus drivers prefer information related to bus intervals, bus stop, and door open and close to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 running. Also, bus stop information and bus interval information were ranked as first and second place in order priority of HUD contents for public transit by experts. CONCLUSIONS: This method of selecting order priority of HUD contents for public transit can provide a basic foundation for selecting order priority of traffic information contents as well as other HUD contents.

서울시 대중교통체계 개편 이후 통근 교통수단 선택의 차별적 변화 (Differential Changes in Commuter's Mode Choice after the Intergrated Public Transit System in Seoul Metropolitan City)

  • 이혜승;이희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23-338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시의 대중교통체계 개편에 따른 통근시에 교통수단선택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개인의 사회 경제적 특성, 통행목적, 출발지와 도착지의 공간적 특성에 따라 두 시점동안 통근 교통수단선택의 변화가 어떻게 차별화되어 나타났는가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조건부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통행수단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비교하였으며, 특정 통행수단에 대한 대체 통행수단의 한계효과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저소득계층일수록 지하철 선택확율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으며, 도착지에서의 대중교통 접근도와 밀도가 높고 혼합용도 비율이 높을수록 대중교통을 선택하는 확률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근 시 통행수단간의 대체 한계효과를 보면 자가용 승용차와 지하철간의 대체확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서울시 대중교통체계 개편이 교통수단선택의 변화에 미친 영향력은 상당히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해주고있다.

대중교통 접근성이 카셰어링 이용수요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ublic Transit Accessibility on the Car-sharing Use Demand)

  • 김숙희;이규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11
    • /
    • 2016
  • 본 연구는 카셰어링의 대중교통 접근성이 카셰어링 이용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원시에서 운영 중에 있는 그린카의 대여이력 데이터베이스와 대중교통 GIS DB를 활용하여 카셰어링 대여소별로 대중교통 접근성에 따른 카셰어링 이용수요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카셰어링 대여소로의 접근수단은 도보가 73%로 가장 많으며, 자전거 3%, 버스와 도시철도는 20%로 나타났다. 버스와 도시철도의 접근성이 반영된 카셰어링 이용 모형의 적합도는 0.818로 대중교통 접근성은 유의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즉, 카셰어링의 대여소는 대중교통과의 환승이 용이한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보다 이용수요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대중교통 수단 중 버스 접근성은 유의한 변수로 확인된 반면, 도시철도 접근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타 대중교통 수단과의 상호 이용수요 증진 측면에서 도시철도와 카셰어링간의 원활한 연계를 위한 환승할인 및 편도 반납 정책 등 다양한 보완적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카셰어링에 대한 기초적 연구에 불과하지만, 대중교통간 환승수요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철도 방송시스템의 표준화를 위한 기능분석 및 표준사양 도출 연구 (A Study on Standardiz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for Urban Rail Transit Public Addressing System)

  • 신경호;조현정;김백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1207_1208
    • /
    • 2009
  • It is expected that standardized framework for urban rail transit system will contribute to more convenient and safe traffic service and ensure higher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of urban rail transit rolling stock and infrastructur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in urban rail transit consists of various subsystems, such as radio communication system, digital transmission system,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and public addressing system and its standardization will be implemented based on these subsystem. Public addressing system is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operation and emergency for passengers and operators. In this paper we suggest draft criterion of public addressing system for urban rail transit through functional analysis and comparison on the present state of the system.

  • PDF

교통 환승 시스템 분석에 대한 연구 (System Analysis Study of Public Transit Transfer System)

  • 차우창;나두완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6권2호
    • /
    • pp.15-20
    • /
    • 2010
  • Even though the efficient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has been issued in many areas, a few practical methodology of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transit system has been developed since applying the practical methodology faces many difficulties as a feasible solution. For example, designing the public transit transfer system needs the feasible consensus of requirement and solution among the related people and institutes, which the system engineering concept should be involved. It is necessary and confident to analyze and evaluate the public transit transfer system in term of system engineering process.

  • PDF

중소도시 버스 운송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us transit management system in the medium-sized cities)

  • 유병우
    • 경영과학
    • /
    • 제3권
    • /
    • pp.37-57
    • /
    • 1986
  • Due to the gravitation of the population to Metropoleis caused by the radical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fter the 1960s. most Korean cities not only have shown the deformed urban structure, but also have faced many serious problems in the public transit system. Especially, the medium-sized cities as the center of the local life have been under the low level of public transit service because of their poor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inefficient operations. Under these conditions, this study aims at improving its level and quality in the local midium-sized cities by performing the following; . to suggest the new idea of the public transit policies for the medium-sized cities. . to develop the Bus Transit Management System and its related computer programs. . to apply the design policies and methods to the Suwon life-circle in order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