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커피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Food-Related Lifestyle on Coffee Consumption Behavior

  • 오염곤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뷰티보건학과) ;
  • 김광진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뷰티보건학과)
  • Oh, Yeum Gon (Dept., of Beauty Health, Seoul Venture University) ;
  • Kim, Kwang Jin (Dept., of Beauty Health, Seoul Venture University)
  • 투고 : 2012.09.03
  • 심사 : 2012.12.18
  • 발행 : 2012.12.30

초록

외식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커피 시장도 빠른 시간 내에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다. 국내 커피 시장은 계속해서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커피 산업 내의 경쟁 또한 치열해지고 있다. 시장에서 경쟁우위확보를 위해서는 커피를 소비하는 소비자의 성향을 파악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커피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총 5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요인에 특성에 따라 건강추구 라이프스타일, 외식추구 라이프스타일, 맛 추구 라이프스타일, 계획구매 라이프스타일, 편리성추구 라이프스타일로 나타났다. 또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중 건강추구 라이프스타일, 외식추구 라이프스타일, 맛추구 라이프스타일이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전문점의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라이프스타일은 건강추구 라이프스타일, 외식추구 라이프스타일, 맛추구 라이프스타일, 편리성추구 라이프스타일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od-related lifestyle of coffee consumer and their coffee satisfaction level in an attempt to lay the foundation for successful coffee marketing strategy sett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300 adults who have visited coffee shop recentl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SPSS 18.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samples.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descriptive factor, reliability, ANOVA, and regression. A factor analysis extracted five factors comprising food related lifestyle, which we named health-seeking (factor 1), eating-out-seeking (factor 2), taste-seeking (factor 3), economy-seeking (factor 4) and convenience-seeking (factor 5).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that health-seeking, eating-out-seeking, taste-seeking lifestyl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s on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health-seeking, eating-out-seeking, taste-seeking, convenience-seeking in food-related lifestyl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s on purchase intention. These results provide an understanding for lifestyles of coffee consumers and give an insight into differentiated marketing plans for coffee industr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