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水)문화' 개념에 기초한 항구도시 워터프런트 공간의 문화론적 이해 - 부산의 사례를 중심으로 -

Reading Culturally the Waterfront Space in the Port-City on the basis of 'Water Culture' -The case of the Waterfront in Busan-

  • 김나영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HK연구)
  • Kim, Na-Young (Institute of International Maritime Affairs,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투고 : 2011.05.03
  • 심사 : 2011.06.27
  • 발행 : 2011.06.30

초록

최근 들어 도시 재개발 과정에서 중요시되는 도시 워터프런트를 다각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여러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수(水)문화 개념에 입각하여 항구도시 워터프런트를 문화론적으로 해석하고자 시도했다. 본 논문은 안과 밖을 허물고 경계를 희석시키는 물의 속성에 기반하여 바다의 역동성과 집합성, 개방성 속성에 기초하여 워터프런트가 가진 속성을 밝혔다. 그리하여 항구도시 워터프런트가 지닌 경계성, 개방성, 혼종성, 통로적 성격이라는 문화론적 속성이 도시 거주민의 문화정체성 형성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부산의 사례를 통해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항구도시 워터프런트와 거주민들의 문화정체성간의 상관관계를 분명히 하였다. 나아가 이런 상관관계에 대한 이해가 항구도시 워터프런트 개발의 방향성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In the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ttempts to try to understand the urban waterfront in diverse aspects.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basically the port-city's waterfront by the cultural interpretation of it i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Water Culture. Water has the attribute that put down the border between inside and outside. This attribute of water leads to the attributes of Sea, such as dynamism, collectivity, and openness. The perimetric quality, openness, hybridity, and passage quality of the sea-port city's waterfront are resulted from these attributes of water and sea. These cultural attributes of urban waterfront exert a effect upon the residents' cultural identity of sea-port city. Thus the correlation between waterfront's attributes and the cultural identity should be reflected in the stage that its development is plann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영조 지음, 이희섭 사진(2008), 부산은 항구다: 항구도시 부산의 미학적 재발견, 동녘.
  2. 김미경(2007), 유형학적 접근방법에 의한 워터프런트의 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건축학 석사논문.
  3. 김소연(2008), "부산학 담론으로 본 부산성(釜山性)의 건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4권 제8호, pp. 67-74.
  4. 김승환(2001), 부산도시환경론: 도시와 조경, 동아대출판부.
  5. 김영환(2008), "수변공간 문화재생의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해외사례 고찰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4권 제8호, pp. 207-216.
  6. 김천명(2003), 시지각적 이론에 의한 워터프런트 공간의 특성에 관한 고찰, 동아대학교 건축공학 석사논문.
  7. 남건욱(2007), 경계공간으로서의 워터프런트에 대한 디자인 접근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건축공학 석사논문.
  8. 네스토르 G. 칸클린 지음, 이성훈 옮김(2011), 혼종문화, 그린비.
  9. 데이비드 H. 로렌스(2008), 제대로 된 혁명, 아우라.
  10. 데이비드 하비 지음, 구도회 외 옮김(1994),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동녘.
  11. 鈴木信宏 지음, 유방현 옮김(1999), 水空間의 演出, 기문당.
  12. 마이크 데이비스(1993), "도시 르네쌍스와 포스트모더니즘 정신", 마르크스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pp. 216-232.
  13. 문정민(2002), "도심 수변공간 개발의 의미와 디자인방향", 조선대 조형미술연구소지, 제2권, 제1호, pp. 41-67.
  14. 문지영, 오덕성(2007), "도시공간 속 수변개발(Waterfront)을 토안 도시재생의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7권 제1호, pp. 639-642.
  15. 박병주(1992), "수변과 도시", 대한건축학회지, 제36권 제2호, pp. 40-46.
  16. 박승규(2009), 일상의 지리학 - 인간과 공간의 관계를 묻다
  17. 박창호, 노홍승, 양위주(1998), 부산광역시 해양 워터프런트의 개발 및 보전, 부산발전연구원.
  18. 부산광역시(2002), 해양수도 21 기본계획, 부산광역시.
  19.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실(2006), 자료로 본 부산 광복 60년, 부산광역시.
  20. 부산발전연구원(2007), 부산광역시의 문화도시화전략을 위한 방향과 과제, 부산발전연구원.
  21. 부산발전연구원 부산학연구센터(2005), 부산학 시론, 부산발전연구원.
  22. 손세관(2007), 베네치아 - 동서가 공존하는 바다의 도시, 열화당.
  23. 숀 호머 지음, 이택광 옮김(2002), 프레드릭 제임슨 -맑스주의, 해석학, 포스트모더니즘, 문화과학사.
  24. 안용대(2006), "북항재개발, 부산재창조의 기회로", 건축과 사회, 제5권, pp. 46-56.
  25. 양도식(2006), "포스트모던 도시수변공간의 문화적 사용을 위한 도시설계과정분석-볼티모어 항구 문화 도시수변 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제7권 제3호, pp. 65-86.
  26. 양도식(2007), "문화공간으로서 도시수변공간의 성공을 결정짓는 5가지 도시디자인 요소에 대한 고찰", 서울도시연구, 제8권 제1호, pp. 85-105.
  27. 에드워드 소자 지음, 이무용 외 옮김(1997), 공간과 비판사회이론, 시각과 언어.
  28. 이성호, 신중진(1999), "일본의 수변공간(Waterfront) 개발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19권 제2호, pp. 739-744.
  29. 이양재(1994), "도시와 워터프런트개발", 도시.지역개발연구소지, 도시계획논문집, 제1권, pp. 87-107.
  30. 이정록(1999), "미국 도시의 워터프런트개발 사례에 관한 연구",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 제1권, 제2호, pp. 151-177.
  31. 이지훈92004), 예술과 연금술, 창비.
  32. 이지훈(2010), "물의 도시, 부산", 부산문화재단, 아쿠아시티 부산, pp. 7-19.
  33. 이한석, 장만봉(2007), 세계 해항도시의 친수공간, (사)해양산업발전협의회.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34. 일본건축학회편, 이한석 외 옮김(2000), 海洋建築用語辭典, 기문당.
  35. 일본토목학회 편, 배현미 외 옮김(2001), 워터프런트의 경관설계, 보문당.
  36.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지음, 이현복 옮김(1992), 포스트모던적 조건, 서광사.
  37. 장 피에르 바르니에 지음, 주형일 옮김(2000), 문화의 세계화, 한울.
  38. 정순원, 우신구(2010), "탈산업시대 소트프 워터프런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6권 제5호, pp. 71-80.
  39. 정정호, 강내희 편(1989), 포스트모더니즘론, 터.
  40. 호르헤 라라인 지음, 김범춘 외 옮김(2010), 이데올로기와문화정체성, 모티브북.
  41. 橫內憲久 외 편저, 이한석 외 옮김(2000), 워터프런트계획, 도서출판 이집.
  42. ダグラス.M.レン 著, 橫內憲久 監譯(1986), 都市のウオ-タ-フロント開發, 鹿島出版會.
  43. 日本沿岸域學會(2004), 沿岸域環境事典, 共立出版.
  44. Bentley, J.H.(1996), "Cross-Cultural Interaction and Reriodization in World History", American Historical Review, Vol. 101, pp. 749-770. https://doi.org/10.2307/2169422
  45. Breen, Ann and Rigby, Dick(1996), The New Waterfront: A Worldwide Urban Success Story, Thames & Hudson.
  46. Gospodini, Aspa(2006), "Portraying, classifying and understanding the emerging landscapes in the post-industrial city", Cities, Vol. 23, No. 5, pp. 311-330. https://doi.org/10.1016/j.cities.2006.06.002
  47. Huang, Wen-Chih et al.(2011), "The concept of diverse developments in port cities", Ocean & Coastal Management, Vol. 30, pp. 1-10.
  48. Jameson, Frederic(1988), "Architecture and the Critique of the Ideology", The Ideologies of Theory; Essays 1971-1986, Vol. 2, pp. 35-60.
  49. Jauhiainen, Jussi S.(1995), "Waterfront Redevelopment and Urban Policy: The Case of Barcelona, Cardiff and Genoa", European Planning Studies, Vol. 3, No. 1, pp. 3-23. https://doi.org/10.1080/09654319508720287
  50. Norcliffe, Glen et al.(1996), "The emergence of postmodernism on the urban waterfront",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 4, No. 2, pp. 123-134. https://doi.org/10.1016/0966-6923(96)00005-1
  51. Sairinen, Rauno and Kumpulainen, Satu(2006), "Assessing social impacts in urban Waterfront regenerati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Vol. 26, pp. 120-135. https://doi.org/10.1016/j.eiar.2005.05.003
  52. Wylson, Anthony(1986), Aquatecture: Architecture and Water, The Architectural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