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항만 발전을 위한 항만운영기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port operation organiz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region port

  • 권세민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 박지영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 정현재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 왕영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 여기태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Kwon, Se-Min (Graduate school of Logistics, Incheon University) ;
  • Pak, Ji-Yeong (Graduate school of Logistics, Incheon University) ;
  • Jung, Hyun-Jae (Graduate school of Logistics, Incheon University) ;
  • Wang, Ying (Graduate school of Logistics, Incheon University) ;
  • Yeo, Gi-Tae (Graduate school of Logistics, Incheon University)
  • 투고 : 2011.03.04
  • 심사 : 2011.05.02
  • 발행 : 2011.06.30

초록

본 연구는 지역항만 발전을 위한 항만운영기관의 역할과 관련하여 항만공사(PA)가 운영 중인 부산 인천 울산항을 중심으로 중요 역할을 도출하고 각 부분별 세 항만의 운영 효율 우선순위를 정하는 연구이다. 연구 방법론으로 요인분석 및 Fuzzy분석을 사용하였고, 선행연구를 통해 항만공사 및 지방해양항만청의 중요역할을 총 13가지의 하위평가요인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요인분석을 통해 항만안전 및 정보관리를 포함한 총 4가지 상위평가요인으로 그룹핑 하였고, Fuzzy분석을 통해 각 항목의 중요도를 선정한 결과 항만마케팅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선정되었다. 각 상위평가요인 및 측정변수에 따른 부산 인천 울산항만 운영기관 순위를 정한 결과, 부산항만운영기관이 1위를 차지하였고, 인천항만운영기관은 2위, 울산항만운영기관이 3위를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각 항목별 항만의 순위 점검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우선적으로 보완해 나간다면 향후 각 지역별 항만의 발전계획에 중요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is aimed to extract the key role of port operation organiz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 ports and identify the operating efficiency priorities of three ports such as Busan, Incheon and UIsan port operated by PA(port authority). The Factor Analysis(FA) and Fuzzy Method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es. As an important role of port authority and regional maritime affairs & port office, thirteen sub-evaluation factors and four top-level evaluation factors were selected using the FA. Among the top-level evaluation factors i.e. 'port security,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 for regional society and customers', 'port marketing' and 'customer attrac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identified as 'port marketing'. The total port efficiency was evaluated using these factors and Fuzzy Method. As a result, Busan ranked 1st, followed by Incheon and Ulsa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영문(2006), "우리나라 항만공사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지, 제16권 제2호, pp.5-26.
  2. 강윤호(2006), "항만공사(PA)제도 도입에 따른 항만 거버넌스 구조의 효율화 방안", 한국행정학보, 제40권 제1호, 한국행정학회, pp.151-174.
  3. 김근섭, 곽규석(2008), "동북아지역 항만간 경쟁에서 부산항의 포지셔닝 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2권 제3호, 한국항해항만학회, pp.173-178. https://doi.org/10.5394/KINPR.2008.32.3.173
  4. 김동열, 양창호, 김윤정(2009), "항만공사체제하의 고객만족 연구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집 제4호, 한국항만경제학회, pp.229-254.
  5. 김병일(2006), "항만물류 서비스품질 차원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2권 제1호, 한국항만경제학회, pp. 125-149.
  6. 김우호, 이종필(2006), "항만시설 민간투자정책 평가와 발전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제396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7. 김원기(2008), "Fuzzy AHP기법을 이용한 NEIS의 효과적 활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대학원.
  8. 박찬국, 하지훈, 이영건, 김관현, 최기련(2007), "Fuzzy AHP에서 평가자 신뢰도와 위험인식 성향의 반영",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7 춘계학술대회논문집.
  9. 박찬정(2001), "기업의 성과측정과 경쟁력 평가를 위한 퍼지모형", 회계연구, 제 6권 제2호.
  10. 방희석, 권오경(2006), "항만거버넌스의 구축과 항만공사(PA)의 역할", 해운물류연구, 제51권, 한국해운물류학회, pp.141-162.
  11. 이석훈, 윤덕균(2004), "퍼지수를 이용한 서비스품질 측정",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4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2. 이성우, 박선현(2003), "주요 외국 항만운영형태와 우리나라 항만공사 발전방향", 월간 해양수산, 제227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pp.25-40.
  13. 채서일(2005),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비엔 엠 북스.
  14. 최상희, 원승환(2007), "국내 항만기술 개발정책과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1권 제1호, 한국항해항만학회, pp.99-105. https://doi.org/10.5394/KINPR.2007.31.1.099
  15. 최영로(2009), "국제물류기업의 내부마케팅이 직무 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복합운송주선업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집. 제4호. pp.54-62
  16. 홍종옥(2006), "한국형 항만공사 제도의 도입방안", 정책연구 ;2006-10, 경남발전연구원.
  17. Zadeh(1973), "Outline of a new approach to the analysis of complex systems and decision processes, interval fuzzy sets", IEEE Transactions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3 pp.28-44. https://doi.org/10.1109/TSMC.1973.5408575

피인용 문헌

  1. Strategies for Activating the Gwangyang Region as a Logistics City vol.37, pp.6, 2013, https://doi.org/10.5394/KINPR.2013.37.6.727
  2. Suggestions for the competitiveness of the Port-Logistics industry in Busan port area - Focus on the port transport industry and port transport related industry - vol.35, pp.7, 2011, https://doi.org/10.5394/KINPR.2011.35.7.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