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구도시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Reading Culturally the Waterfront Space in the Port-City on the basis of 'Water Culture' -The case of the Waterfront in Busan- ('수(水)문화' 개념에 기초한 항구도시 워터프런트 공간의 문화론적 이해 - 부산의 사례를 중심으로 -)

  • Kim, Na-You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5 no.5
    • /
    • pp.429-437
    • /
    • 2011
  • In the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ttempts to try to understand the urban waterfront in diverse aspects.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basically the port-city's waterfront by the cultural interpretation of it i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Water Culture. Water has the attribute that put down the border between inside and outside. This attribute of water leads to the attributes of Sea, such as dynamism, collectivity, and openness. The perimetric quality, openness, hybridity, and passage quality of the sea-port city's waterfront are resulted from these attributes of water and sea. These cultural attributes of urban waterfront exert a effect upon the residents' cultural identity of sea-port city. Thus the correlation between waterfront's attributes and the cultural identity should be reflected in the stage that its development is planned.

Integrated Waterfront Cultural Planning through Regeneration of Former Industrial Harborfront (산업항만지역의 재생을 통한 워터프론트 문화도시 통합계획)

  • Lee, Kum-Ji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2
    • /
    • pp.175-185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planning integrated waterfront cultural city in terms of urban economic revitalization through regeneration of former industrial harborfront and the creation of cultural living spaces based on regional history in order to pursue urban activities. Method: Analyzing planning waterfront and historical cultural space based on MM21's development policy and strategy under the growth process and development of Yokohama. Results: MM21 is the core public project out of the six major projects promoted by Yokohama, which is on the brink of satellite cities for the expansion of Tokyo with a goal of qualitative transformation of former harbor. It is planned to be developed as a creative cultural waterfront city for an integrated urban development. Conclusion: Planning waterfront cultural city, which takes advantage of the former harbor city derived through MM21 analysis, provides the cityscape towards the sea and the port via the viewing point and opens the waterfront open to the port and the sea Space and Esplanade landscape development, preservation of historic buildings and cultural assets, recycling as cultural art space, waterfront space planning that cooperates with public culture art and pedestrian network.

건강하십니까 - 안상영 부산광역시장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23 no.4 s.245
    • /
    • pp.4-7
    • /
    • 1999
  • 안상영 부산광역시장. 그는 확실한 부산 사람이다. 출생이 그러했고, 일생 중 얼마간을 제외하고는 모든 것을 부산에서 이루어냈다. 그런 만큼 부산에 대한 애착이 강한 사람이다. 그리고 누구보다 부산의 발전을 부르짖는 대열의 제일 앞에서 깃발을 들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부산 매일 신문사 사장 시절에도, 항구도시 · 휴양 도시 · 구제도시 부산의 내일을 위한 필봉을 휘둘렀던 그. 이제, 부산광역시의 총 책임자로서, 21세기 최고의 항구도시로 우뚝 서도록 하기 위한 힘찬 걸음을 걷고 있는 안시장의 부산사랑 애기를 들어본다.

  • PDF

A Study on Urban Transformation and Modern Architecture Development of Qingdao in the Colonial Period (항구도시 칭다오의 식민지 시대 도시변천과 근대건축형성에 관한 연구)

  • Lee, Han-Seok;Song, Seog-Ki;Kim, Na-Young;Lu, Hongwei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4 no.5
    • /
    • pp.355-365
    • /
    • 2010
  • As a port city, Qingdao had been developed through the 4 stage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First stage is German Occupation period. In this period, the old downtown of Qingdao was formed and the existing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Qingdao had been established. Second stage is the First Japanese Occupation period. Japanese transformed Qingdao into Japanese city and expanded city area to north and east. Third stage is Northern Warlords and the National Government period. In this period, Qingdao had been developed as an international city of world trade and vacation. Forth stage is the Second Japanese Occupation period. Japanese tried to change Qingdao as a military base for the invasion of the northern China.

지리 위치면에서 본 동해시

  • 이남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5.08a
    • /
    • pp.83-83
    • /
    • 1995
  • 1. 동해시는 동해 바다에 면하고 있는 항구도시. 2. 한반도의 중부 동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해항도시. 3. 동해 바다를 통하여 세계 각지로 자유왕래 할 수 있는 편리한 위치에 있는 항구도시. 4. 남북 경제 문화 교류때에는 육해산물, 산업물자의 수송에 편한 해항도시. 5. 일본지역에서 중국, 러시아 지역에의 해로는 한반도의 동해시 항구를 경유하여야하는 교통 입지에 있는 해항. \circled1 일본에서 중국, 러시아에의 직항해로는 가능하나 여객 운송의 경우 30시간 이상의 장시간 소요가 불가피하므로 동해시 해항이 중간 거점이 될 수 있다. \circled2 일본의 서남 지방에 있는 후꾸오카의 하까다항 그리고 중부지방 북안에 있는 쯔루가항으로 부터 중국 대륙과 러시아 연해주에의 해로인 경우는 반드시 동해시항에 기항하여야 한다. 6. 남한의 내륙 지방에서 동북아시아 권역에 직접 연결이 가능한 위치에 있는 해항. 7. 인접지에 다양한 발전적 배경을 지니고 있는 해항 도시.

  • PDF

동해시의 역사문화 고찰

  • 정용화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5.08a
    • /
    • pp.86-86
    • /
    • 1995
  • I. 동해시의 개요 II동해시 연혁 1. 1632년 $\longrightarrow$북평땅에 박곡리부락 발생 2. 1948년 $\longrightarrow$묵호땅에 망상리 발달 3. 1941년 $\longrightarrow$묵호항(동해항구)개항 4. 1975년 $\longrightarrow$산업기지개발구역지정(500만평) 5. 1979년 2월 $\longrightarrow$북평항구개항 6. 1980년 4월 $\longrightarrow$묵호읍과 부평읍을 통합하여 동해시 승격 7. 1981년 4월 $\longrightarrow$일본국 쯔루가 항구도시와 자매결연 8. 1986년 12월 $\longrightarrow$북평항을 국제항구도시 동해항 개칭 9. 1993년 $\longrightarrow$중국 도문시와 자매결연 10. 1995년 $\longrightarrow$동해항은 동해안(남한)제1가는 국제항구(중략)

  • PDF

동해시의 지리적 특성

  • 이영혜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5.08a
    • /
    • pp.89-89
    • /
    • 1995
  • 1. 한반도의 중부동해안에 면하고 있는 항구도시 2. 시화로는 매화꽃, 시목으로는 은행나무, 시조로는 갈매기를 지정하고 있는 해항도시 3. 어항이었던 묵호항, 산업항인 북평항이 통합되어 이룩된 동해시 4. 한반도 동해안에서는 손꼽을 수 있는 해항도시의 하나 5. 남북으로 통하는 동해연안의 간선도로 따라 발전하고 있는 구릉 사면과 연안평야의 발달 6. 충북 아시아권역의 해항들과 자매결연 추진중 7. 온대습윤기후구에 속하며 연평균기온 섭씨12도, 연강수량 1,220mm 겨울에 따뜻하고 연중 서풍이 많으나 여름에는 남동풍이 많은 기후. 8. 석회암이 산재하는 지역이므로 식생은 하생식물이 적은 잡목림상을 이루고 있음. 9. 주변에 자연 풍치자원과 해수욕장 그밖에 민속 자원이 산재하는 지역. 10. 오래전부터 지하자원의 보고로 각종 광산자원이 이곳에 분포. 11. 쌍용시멘트, 동부산업합금철공업 이외에도 북평 공업단지가 건설 중. 12. 해륙교통 입지는 물론, 산업입지 그리고 관광입지로도 유망한 해항. 13. 접안 시설과 하역 능력을 계속 확장시키고 있는 국제항구도시.

  • PDF

적극적인 액비사업으로 해양배출저감에 앞장서는 경남 마산지부

  • O, Yu-Hwan
    • The Korea Swine Journal
    • /
    • v.29 no.8 s.336
    • /
    • pp.156-160
    • /
    • 2007
  • 마산지역은 항구도시로 교통과 교역이 흥성한 경남의 대표도시이다. 뿐만 아니라 도농복합도시로 예부터 양돈이 흥해 양돈을 시작한 지 대부분 20~30년 이상이 된 경남지역 양돈산업의 터주대감 중에 하나이다. 지난 7월19일에는 '창립32주년'을 기념하여 전 회원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행사를 개최하기도 했다. 마산지부는 오래된 역사만큼이나 양돈 생산성 향상과 개선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마산지부 회원들은 해양매출 저감에 노력하는 한편, 가축분뇨 자원화를 통한 분뇨처리 시스템 구축과 지역 대표 돼지고기 브랜드 사업을 적극 추진하여 지역 양돈산업의 재도약을 위해 매진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