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플로팅 해상호텔의 부하계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oad Estimation of Floating Hotel

  • 도근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간건축학과) ;
  • 송화철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간건축학과) ;
  • 원종민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김구상 (한국해양대학교 학부) ;
  • 김주연 (한국해양대학교 학부)
  • Doe, Geun-Young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Ocean Space,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Song, Hwa-Cheol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Ocean Space,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Won, Jong-Min (Graduate school of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im, Ku-Sang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Ocean Space,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im, Ju-Youn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Ocean Space,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투고 : 2011.05.13
  • 심사 : 2011.06.28
  • 발행 : 2011.06.30

초록

경제적 여유와 함께 사람들의 요구가 다양화 되면서 해양 레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바다를 이용한 해양 레저의 잠재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해양 리조트 개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렀으며 또한 환경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매립에 의한 개발은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플로팅 건축에 의한 개발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플로팅에 의한 해상호텔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있으며 이용객의 쾌적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조 설비 용량을 선정하기 위한 부하계산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육상의 일반적인 호텔과 선박의 공조부하 계산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해상호텔의 공조부하계산방법에 대해 검토한다.

In the near future, the marine resort development will increase because people's requirements of marine leisure are raising. Instead of marine resort development by reclamation which causes environmental disruption, it is expected that marine resort development using floating structures increases. And the requirement of floating hotel that is main facilities of marine resort grows too.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load estimation of floating hotel. The floating hotel has two characteristics, both hotel and ship.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consideration points for planning the load estimation of floating hotel, and the results of load estimation of ship and hote are investiga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3), 고시 제2003-314호,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2. 국토해양부령(2010), 제306호,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3. 김정태 외 4명 공저(2002), 건축설비시스템, 기문당
  4. 대한조선학회 편(2000), 선박의장, 동명사
  5. 이영삼, 김영모(2002), 여객선, 해인출판사
  6. 임만택 저(1999), 개정 건축설비, 기문당
  7. 전병직 A.I.A(1998), 호텔건축계획, 세진사
  8. 한국해양자료센터 홐페이지(http://kodc. nfrda.re.kr)
  9. 해양공간건축정보 홈페이지(http://ocean.cric.or.kr)
  10. 환경부령(2008). 제302호,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규칙
  11. 神田寬(1964), 船舶の居住性能一人間工學的硏究, 成山堂書店
  12. 建築のテキスト編集委員會 編(1996), 初めての建築環境, 學藝出版社
  13. 空氣調和.衛生工學會 編(1995), 空氣調和.衛生工學便覽 第12版 第3卷 空氣調和設備設計篇, 空氣調和.衛生工學會
  14. 畔柳昭雄, 渡邊富雄(1991), 海洋建築の構圖, Process 第96號, p. 87
  15. (社)建築設備技術者協會 編著(2002), 建築設備設計マニュアル 第3版 I 空氣調和編, 技術書院
  16. (社)日本造船學會造船設計委員會第2分科會 編(1970), JSDS-I.6 造船艤裝設計基準 舶用空氣調和裝置設計基準船舶の通風裝置設計基準, 海文堂
  17. (社)日本造船工業會(1988), 明日を拓く浮體構造物 A-旣往事例集, p.43
  18. 造船テキスト硏究會(1995), 新訂 商船設計の槪要, 成山堂書店
  19. 造船テキスト硏究會(1979), 商船設計の基礎(下卷), 成山堂書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