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플로팅건축의 유형 및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chitectural Type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Floating Architecture

  • 박성신 (국립군산대학교 건축공학과)
  • Pak, Sung-Sine (Department of Architecture & Building Engineering, Kunsa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05.02
  • 심사 : 2011.06.16
  • 발행 : 2011.06.30

초록

플로팅건축물은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의 상승, 소득 증대 및 관광행태 변화에 따라 급증한 해양 레포츠 수요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건축물이다. 국내 플로팅건축은 이미 전문회사들이 등장한 유럽과 비교하여 초보적인 도입기 이다. 플로팅건축은 프로그램, 형태, 건축규모, 층수, 위치, 접근방법, 이동성, 에너지 자립도 등 8가지 기준에 따라 유형 구분이 가능하다. 또한 시공된 주거시설을 대상으로 분석 한 결과 플로팅건축의 디자인 특성은 (1) 2층 규모, (2) 면적 비율이 높은 데크, (3) 장방형의 균형감 있는 매스, (4) 조망 극대화, (5) 친수공간 확보, (6) 공간의 통합적 사용 및 합리적 면적 배분의 평면계획, (7) 수면 반사를 고려한 단면계획, (8) 모듈화 및 유닛화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Floating architecture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accommodate itself to sea-level rise due to climate change. At the same time floating architecture is the best model to offer the new spatial experience through water-friendly environment. Domestic floating architecture is still on the early stage compared to Europe which has several companies specialized in designing and building floating architecture. Floating architecture is divided into 8 types according to its criteria such as program, form, scale, level, location, access, mobility and energy. The following are design characteristics of floating architecture : (1) composed of 2 stories, (2) having large deck, (3) designing rectangular plan and balanced mass, (4) maximizing view, (5) having water-friendly space, (6) multi-using space and minimizing surface, (7) planning section to control light reflecting from the water, (8) modular and unit system.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2010), 마리나항만 기본계획
  2. 김홍섭(2010), "우리나라의 새로운 해양문화의 도입과 확장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4호, pp. 269-288
  3. 김흥식, 이수진(2009), 서해안 관광권역 활성화 방안
  4. 문정인, 이상호(2006), "재해재난에 따른 임시주거 유형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2권9호, pp. 141-148
  5. 문창호(2009), "유럽 플로팅 건축의 계획 및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11권3호, pp. 1-58
  6. 박성현 외 3인(2006), "호남지역 해양레저산업 발전을 위한 친환경 해양레저 기반시설 구축", 해양환경안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7. 이한석(2007), "해양건축문화의 현황과 발전방향", 해양문화학 제4호, pp. 69-88
  8. 조광우, 맹준호(2007),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 대응방향에 관한 소고",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10권4호, pp. 227-234
  9. Feenstra, J.F., Burton, I., Smith, J. B. and Tol, Richard S.J. (1998), Handbook on Methods for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and Adaptation Strategies
  10. IPCC(1990), Strategies for Adaptation to Sea Level Rise
  11. Nicholls, R. J., Hoozemans, Frank M. J. and Marchand, M.(1999), "Increasing flood risk and wetland losses due to global sea-level rise: regional and global analyses", Global Environmental Change Vol. 9, pp. 69-87 https://doi.org/10.1016/S0959-3780(99)00019-9
  12. Nicholls, R. J. and Mimura, N.(1998), "Regional issues raised by sea-level rise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Climate Research Vol. 11:5, pp. 5-18 https://doi.org/10.3354/cr011005
  13. Olthuis, K. and Keuning, D.(2010), Float!: Building on Water to Combat Urban Congestion and Climate Change, Frame Publishers
  14. Palca, J.(2008), "Dutch Architects Plan for a Floating Future", NPR
  15. Palca, J.(2008), "Spurred by Rising Seas, Dubai's Floating Ambition", NPR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Space Program of Korean Floating Marina Clubhouse vol.36, pp.7, 2012, https://doi.org/10.5394/KINPR.2012.36.7.545
  2. A Case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Floating Hotel vol.35, pp.6, 2011, https://doi.org/10.5394/KINPR.2011.35.6.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