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하계산

Search Result 858,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정주형 플로팅 건축물의 부하계산 기법개발

  • Do, Geun-Yeong;Song, Hwa-Cheol;Won, Jong-Min;Kim, Gu-Sang;Kim, Ju-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03-205
    • /
    • 2011
  • 부경제적 여유와 함께 사람들의 요구가 다양화 되면서 해양 레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바다를 이용한 해양 레저의 잠재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해양 리조트 개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렀으며 또한 환경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매립에 의한 개발은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플로팅 건축에 의한 개발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플로팅에 의한 해상호텔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있으며 이용객의 쾌적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조 설비 용량을 선정하기 위한 부하계산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육상의 일반적인 호텔과 선박의 공조부하 계산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해상호텔의 공조부하계산방법에 대해 검토한다.

  • PDF

Research on problem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utilization coefficent of a polmounted TR (주상변압기 이용율 계산방법에 대한 문제점 연구)

  • Lee, Won-Jung;Won, Tai-Seung;Chio, Moon-S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392-393
    • /
    • 2008
  • 한전에서는 배전용 변압기의 부하관리를 위하여 전국사업소에 산재해 있는 변압기를 NDIS1) 부하관리 시스템으로 데이터 베이스화 하고, 각 변대에 수용되어 있는 고객의 월별 전기사용량을 추출하기 위하여 영업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변압기, 배전선 개체관리는 물론 부하계산, 부하실적 및 부하예측 자료를 관리하고 있다. 이중 전등부하는 고객의 월간 사용전력량(kWh)과 최대부하(kVA)의 부하특성에 따른 상관 계수를 산정하여 이를 상관식에 적용하여 최대부하를 산출하고 있으며, 동력부하는 계약전력 및 종합수용률을 적용하여 부하전류를 계산하고 있으나 최근 고객의 냉방부하 급증으로 인하여 고객의 계약전력과 실제 설비용량과의 많은 차이가 발생하고 있어 변압기 관리에 어려움이 있고, 과부하로 인하여 변압기가 소손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변압기 무선부하 감시시스템으로 측정한 결과를 토대로 변압기 이용율 계산의 정확도를 높이고 변압기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 PDF

외단열 건물의 열부하계산법

  • 조민관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2 no.2
    • /
    • pp.28-39
    • /
    • 2003
  • 1998년 4월 일본 공기조화.위생공학회 북해도지부 설비기술연구회에서는 실무레벨의 "외단열건물의 열부하계산법"을 위한 소위원회가 발족되었으며, 1999년 11월에 연구보고서가 완성되었다. 이에, 일본 학회에서는 건축설비기술자협회 북해도 지부와 공동으로 실무자를 대상으로 세미나를 2000년8월에 개최하였다. 본 내용은 위원회보고서와 세미나에 서 거론된 "외단열건물의 열부하특성과 계산법의 요점"을 제시하고 이에 근거한 최대부하의 합리적인 설계와 불가분의 관계가 있는 "외단열건물을 위한 난방과 냉방을 통일한 열부하계산법의 개념"을 소개함과 동시에 "실무자의 과제와 금후의 전망"에 대하여 언급하고자 한다.

  • PDF

Pollutant Load and Delivery Ratio in Upper Chungmi River Watershed (청미천 상류유역의 오염부하량 및 유달율 산정)

  • Jun, Sang Min;Kang, Moon Seong;Park, Jihoon;Song, Jung Hun;Ryu, Jeo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11-511
    • /
    • 2016
  • 오염부하량은 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발생부하량, 수체로 배출되는 배출부하량, 수체의 특정지점까지 도달하는 유달부하량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하천의 수질관리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정확한 유달부하량 산정이 필요하다. 유달부하량 산정방법에는 실측에 의한 방법, 모델링을 이용한 방법, 유달율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중 유달율은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된 오염물질이 수체의 특정지점에 도달하는 비율이며, 일반적으로 배출부하량과 유달부하량의 비를 의미한다. 따라서 특정 유역의 유달율을 알고 있을 경우 배출부하량을 이용한 유달부하량의 추정이 가능하다. 유달율을 산정하는 방법은 모니터링을 통해 유달부하량과 배출부하량의 비율을 직접 계산하는 방법, 기 개발된 유역특성을 이용한 회귀식을 이용하는 방법, 모델링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미천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수문 수질 모니터링을 통해 유달부하량을 계산하고, 배출부하량과의 비교를 통해 유달율을 산정하여 수질관리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청미천 상류유역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축사가 밀집한 지역으로 수질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모니터링 지점은 청미천의 지류인 양가천을 따라 3개 지점, 청미천 본류에 1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유량 자료는 초음파 수위계를 이용해 측정한 수위자료와 수위-유량곡선을 이용해 구축하였으며, 수질 자료는 월1회 이상 정기 측정 및 강우시 정밀 측정을 실시하여 구축하였다. 수문 수질 자료를 이용해 유량-부하량 관계식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해 유달부하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통계자료를 통해 각 모니터링 지점을 말단으로 하는 유역의 오염원 현황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환경부 원단위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지점별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유달율은 배출부하량과 유달부하량의 비로 계산하였으며,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비교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청미천 유역의 수질관리대책 마련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alculation of Total Amount of Pollutant Load by Sub-Watersheds in the Anyangcheon Watershed (안양천 유역의 소유역별 오염총량 산정)

  • Lee, Kil-Seong;Kim, Kyung-Tae;Kim, Sang-Ug;Chung, Eu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81-1984
    • /
    • 2008
  • 기존 하천에 실시되고 있던 농도 규제의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하고자 우리나라 4대강에 오염 총량관리제도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1999년부터 약 8년 동안 실시된 오염총량관리제도에 기술적 제도적 문제들이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총량관리제도의 많은 문제점들 중에 기준유량에 대한 문제점과 오염부하량의 할당에 대한 문제점에 중점을 두었다. 총량관리단위유역은 대표적인 도시하천 중 하나이며 한강의 지류인 안양천 유역이며, 목표수질은 1991년 환경부 하천환경수 질기준인 5등급으로 결정하였으며, 관리물질은 1차관리물질인 BOD(Biochemical Oxygen Demand)이다. 기준유량은 평균저수량과 평균갈수량을 사용하여 비교하였고, 발생부하량을 계산하였으며, 발생부하량에 의한 배출부하량을 계산하고, HSPF(Hydrologic Simulation Program - FORTRAN) 모형을 사용하여 배출부하량으로 인한 유달부하량을 산정하여 허용부하량을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표수질을 만족시키기 위해 삭감부하량을 계산하였고, 삭감부하량을 안양천 유역의 각 소유역별로 할당하였다.

  • PDF

Water Quality Assessment in Hwangryong River Basin using GIS (GIS를 이용한 황룡강 유역의 수질오염평가)

  • 김철;김석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1999.12a
    • /
    • pp.39-43
    • /
    • 1999
  • 유역의 수질오염 평가는 GIS의 이용으로 더욱 발달되었는데 이 방법에서는 일반적으로 이용 할 수 있는 자료 즉, 소유역 구분도 및 하천망도, DEM, 강우자료, 유량측정지점 및 측정자료, 오염부하량 원단위자료, 수질측정자료, 토지이용자료, 점오염원(축산농가, 인구, 산업체)자료 등을 사용하여 유역에 대한 연간 평균 오염부하량과 오염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성과 광주 일부분을 유역으로 하는 황룡강 유역에 대해 GIS를 이용하여 수질오염을 평가하였다. 점오염원의 오염부하량은 수계 내에서 발생하는 점오염원의 위치를 기준으로 원단위를 적용하여 오염부하량을 구하였다 비점오염원 농도는 연평균 오염부하량을 총연간 누적유량으로 나눔으로써 계산하였다. 유역의 연평균 오염부하량에 대한 공간분포 그리드를 만들기 위해 각각의 그리드 셀에 대해 오염농도와 유출량을 곱한 값을 하류방향으로 누적하여 계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대상 유역에 대한 비점오염원 수질 농도의 예측치를 계산하였며, 이 예측치와 실측치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개발된 모형을 검증하였다. 대상유역의 자료를 사용하여 황룡강 유역에 대한 개략적인 수질오염을 평가한 결과 BOD 유달율은 약 20%정도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Load Estimation of Floating Hotel (플로팅 해상호텔의 부하계산에 관한 연구)

  • Doe, Geun-Young;Song, Hwa-Cheol;Won, Jong-Min;Kim, Ku-Sang;Kim, Ju-Yo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5 no.5
    • /
    • pp.401-406
    • /
    • 2011
  • In the near future, the marine resort development will increase because people's requirements of marine leisure are raising. Instead of marine resort development by reclamation which causes environmental disruption, it is expected that marine resort development using floating structures increases. And the requirement of floating hotel that is main facilities of marine resort grows too.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load estimation of floating hotel. The floating hotel has two characteristics, both hotel and ship.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consideration points for planning the load estimation of floating hotel, and the results of load estimation of ship and hote are investigated.

Analysis of Transformer Losses Caused by Current Harmonics from Non-linear Load (비선형 부하 연결시 발생하는 전류 고조파에 의한 변압기 손실 해석)

  • Jang, Seungyong;Han, Sanghoon;Choi, Jae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11a
    • /
    • pp.171-172
    • /
    • 2015
  • 본 논문은 변압기에 부하가 연결 되었을 때 발생하는 전류 고조파에 의한 변압기 손실을 분석한다. 3상 변압기에 대해서 선형 부하와 비선형 부하가 연결되었을 경우 변압기 손실 값을 계산한다. PSIM을 이용하여 부하를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 수행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압기의 손실값을 계산한다.

  • PDF

Load Balanced QoS Routing for Precomputation of QoS Routes (QoS 경로의 선계산을 적용한 부하분산 QoS 라우팅)

  • 홍종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6 no.1
    • /
    • pp.121-127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load balancing QoS routing on a targe scale network. We use the scheme in which it calculates the cost of resources with a precomputation and then selects a path among multiple paths based on the calculated cost for each resources. We also use the QoS routing scheme for the transit and the intra-traffic on a large scale domain-based network. For a domain in networks, this routing scheme precomputes K multiple paths between all pairs made up with each ingress and egress border routers along with the consideration of a load balancing, and then picks up paths having the high probability on the Path selection. This routing scheme can be applied for the transit traffic and the intra traffic and combines the Inter-domain and intra-domain routings seamlessly and put a high priority on the transit traffic Thus, these schemes make Possible both the global use of network resources and the load balancing.

  • PDF

A Load Balancing Algorithm for Mesh Multiprocessor Systems (메쉬 다중프로세서 시스템 환경에서의 부하평형 알고리즘)

  • 송의석;오하령;성영락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3.06a
    • /
    • pp.85-8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부하를 재분배할 때 소요되는 통신비용을 줄이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기존의 알고리즘과 비교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에서는 되도록 많은 수의 링크가 부하 평형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부하 이동량 계산시에 각 프로세서는 자신과 연결된 모든 링크를 이용하여 부하 평형을 시도한다. 그리고 한 번의 링크를 통해 이동되는 부하 량을 단위 량으로 제한시키는 대신에 반복적인 방법으로 부하 이동량을 계산한다. 시뮬레이션은 8$\times$8, 10$\times$10, 12$\times$12, 14$\times$14, 16$\times$16개의 프로세서를 갖는 메쉬 구조에서 실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하여 전체 부하 이동량은 약 30%, 부하 이동 시간은 약 70% 감소함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