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Urethane Restoration Filling Material and Adhesive for Stone Cultural Heritage

석조문화재 복원용 우레탄 메움제 및 접착제에 관한 연구

  • Han, Won-Sik (The Research Center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Hanseo University) ;
  • Lee, Ho-Youn (The Research Center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Hanseo University) ;
  • Park, Gi-Jung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Seoul Museum of History) ;
  • Hong, Tae-Kee (Department of Chemistry, Hanseo University) ;
  • Wi, Koang-Chul (The Research Center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Hanseo University)
  • 한원식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센터) ;
  • 이호연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센터) ;
  • 박기정 (서울역사박물관 보존처리과) ;
  • 홍태기 (한서대학교 화학과) ;
  • 위광철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센터)
  • Received : 2010.12.27
  • Accepted : 2011.02.10
  • Published : 2011.03.20

Abstract

A Urethane resin restoration material was made to be used in the restoration of stone cultural assets. The Urethane resin restoration material showed strong adhesiv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similar to epoxy recovery material, which had been mainly used for the recovery of stone cultural assets. The sealing property, anti-shrinking property and paint-ability of Urethane resin restoration material are also similar to existing epoxy system restoration materials. Especially, this Urethane resin restration material is expected to give permanence and continuous stability in the restoration of cultural assets made in stone by resolving the two big issues of existing epoxy recovery material, which are 'yellowing' and 'ir-reversibility'. This Urethane resin restration material had been directly applied as a filling material and adhesive and it was dissolved again. The Urethane resin, which had been used for the recovery, was able to be perfectly removed, which means that this Urethane resin recovery material has perfect reversibility. This Urethane resin restoration material also has enhanced convenience since user can adjust the working-life dependent on work environment. It is believed that this Urethane resin restoration material can also be used as a filling material or adhesive for other cultural assets made of ceramic or metal heritage, in addition to stone, since it has strong adhesiv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석조 문화재의 복원을 위하여 우레탄 복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우레탄 복원제는 그간 석조 문화재 복원용 재료로 주로 사용해 왔던 에폭시계 복원제 정도의 강한 접착 강도와 인장 강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충진성, 수축성, 도색성 등의 물성 역시 에폭시계 복원제와 유사하게 제조되었다. 특히, 이 우레탄 복원제는 그간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던 에폭시계 복원제의 황변 현상과 비가역성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석조문화재의 복원의 항구성과 지속적인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본 복원제를 메움제와 접착제로 직접 적용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를 재 용해하여 복원에 사용된 우레탄을 제거할 수 있어 본 복원제의 가역성을 나타내었다. 이 복원제는 작업 환경에 따라 복원자가 가사 시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제조되어 사용의 편리성 또한 증진시켰다. 또 이 복원제는 강한 접착력과 인장 강도를 가지고 있어 석조문화재 이외의 도자기나 금속 문화재 등의 다양한 문화재의 메움제나 접착제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도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명성, 정민호, 정영동, 이찬희, "경주 서악리 삼층석탑의 훼손 상태 및 보존 처리". 보존과학회지, 18, p63-74, (2006).
  2. 강추원, 박현식, 김수로, "풍화 암반의 공학적 특성 및 변형거동에 관한 연구". Explosives and Blasting, 22, p33-43, (2004).
  3. 정종현, 정민호, 손병현, "경주 지역 석조문화재 풍화 기후 특성". 신라문화, 30, p243-272, (2007).
  4. 도진영, 조현구, "규산염질 암석으로 구성된 석조문화재의 산성비에 의한 손상 임상 연구". 한국광물학회지, 23, p63-71, (2010).
  5. 김사덕, 황진주, 강대일, "대리석 문화재에 대한 산성비의 영향". 보존과학회지, 7, p19-22, (1998).
  6. 정종현, "경주 및 주변 지역 대기 오염물질의 보건 환경위해성 평가와 석조문화제 풍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p1-14, (2008).
  7. 이용희, "문화재 보존처리재료".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 과학기초연수교육, p223, (2005).
  8. 이성민, "석조 문화재 보존 연구의 세계적 추세". 한국구조물진단학회지, 5, p88-91, (2001).
  9. 송치영, 한민수, 이장존, 전병규, 도민환, "석조 문화재 보존 처리에 사용되는 혼합 충전제의 특성 분석". 보존과학회지, 25, p439-450, (2009).
  10. 황연, 황선도, 강대식, 박해미, "문화재 복원용 무기계 수지의 합성 및 특성". 보존과학회지, 25, p17-24, (2009).
  11. 도진영, "석조 문화재의 손상에 미치는 보수처리제의 영향". 경주문화연구, 1, p29-44, (2006).
  12. 이장존, 한민수, 전병규, 송치영, 김사덕, "경주 남산 석조문화재를 대상으로 보존처리제의 처리에 대한 정량적 평가". 대한지질공학회, 1, p186,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