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 도로노선의 친환경도 평가 분석

Assessment of Environment - Friendly Degree in Road routes

  • 강호근 (평화엔지니어링 기술연구원) ;
  • 김상태 (평화엔지니어링 기술연구원) ;
  • 김흥래 (평화엔지니어링 기술연구원) ;
  • 박태권 (평화엔지니어링 기술연구원) ;
  • 안성순 (평화엔지니어링 기술연구원) ;
  • 이상은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
  • 투고 : 2010.09.09
  • 심사 : 2010.11.22
  • 발행 : 2011.03.15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노선선정과정에서 정량적으로 환경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각종 제도 및 문헌을 고찰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도로노선의 정량적 환경성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국내에 계획된 도로노선에 적용하여, 국내도로에 대한 친환경성을 평가하였다. 이에 따라 중부권, 강원권, 남부권의 지역별 사례구간을 선정하고 제안된 환경성 평가방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각 지역별 사례구간의 해당 지역에 대한 환경점수대의 분포가 다양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노선의 환경적인 정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해당지역의 환경영향 최소화 경로를 생성한 후 이를 기준으로 각 노선의 친환경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의 환경적 민감도가 큰 지역 즉, 높은 점수대가 많은 지역인 강원권에 설계된 노선의 친환경도가 가장 낮게 분석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This research has proposed a quantitative environmental assessment method of road routes based on the various policies and literature, and applied such proposal to the planned road routes to evaluate the environment-friendly road routes. Accordingly, the case sections per each region of Joong-bu, Gang-won, and Nam-bu were selected to execute the proposed environmental assessment method. Consequent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score of the subject region of each case section varied. In particular, for the Gang-won region, the high scores took up the most. Also, to indicate the degree of environment per each section, a route which minimizes the environmental effects per subject region was created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degree per each section. As a result, the section in the region with the highest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other words the Gang-won region with many high scores, had the lowest environmental degre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호근 (2010) "GIS 기반 도로노선의 친환경성 평가 ",박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2. 김성희, 정병호, 김재경(2001) "의사결정분석및응용", 영지문화사
  3. 김흥래 (2010) "도로노선의 친환경도 평가 분석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4. 노태호 (2005) "노선선정에서 계층분석과정을 이용한 GIS의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Vol. 8, No. 2, pp. 55-67
  5. 양광식 (2000) "GIS 기법을 활용한 환경친화적 도로시설 노선선정", 한국GIS학회지, Vol. 8 No. 1, pp. 117-130
  6. 오윤석, 구지희, 김태훈 (2005) "GIS를 이용한 도시철도 건설계획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Vol. 13 No. 2, pp.139-155
  7. 이관규, 양병이 (2001) "환경평가를 위한 지표의 가중치 선정방법 결정 모형", 환경영향평가, Vol. 10 No. 1, pp.59-71
  8. 이병두 (2000) "GIS 를 이용한 환경친화적 임도노선선정 및 평가 프로그램의 개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9. 최준규 (2005) "환경친화적 도로노선 선정을 위한 환경성 지표 선정 및 평가 방향에 관한 연구". 환경정책, Vol. 13, No. 1, pp. 91-111
  10. 최유경 (2006) "도로노선 선정을 위한 GIS기반 환경성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11. 장민균 (2003) "도로선형 결정을 위한 GIS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12. E.S.Brooks (2006), "Global Positioning System/GIS-Based Approach for Modeling Erosion from Large Road Network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1 No. 5
  13. R.Phllippe (2002) "Spatial Databases with application to GIS", Morgan Kaufmann
  14. P.Klungboonkrong, M.A.P.Taylor (1998) "A microcomputer-based system for multicriteria environmental impacts evaluation of urban road network", Compu., Environ. and Urban Systems, Vol. 22 No. 5, pp. 425-446 https://doi.org/10.1016/S0198-9715(98)00038-6
  15. Xiugang Li et al. (1995) "GIS based map overlay method for comprehensive assessment of road environmental impact" Transportation Research, Vol. 4, No. 3, pp. 147-158
  16. Joanna Treweek, Neil Veitchm (1996)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GIS and Remltely Sensed Data to the Ecological Assessment of Proposed New Road Schemes",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Letters, Vol. 5, No. 4, pp. 249-257 https://doi.org/10.2307/2997793
  17. P. Klungboonkrong, M.A.P. Taylor (1998) "A microcomputer-based system for multicriteria environmental impacts evaluation of urban road network", Compu., Environ. and Urban Systems, Vol. 22, No. 5, pp. 425-446 https://doi.org/10.1016/S0198-9715(98)000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