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istorical Conciderations of Gyeokgu Game and Play Space - Focused on the Goryeo Dynasty Palace -

격구희(擊毬戱)와 개최공간의 역사적 고찰(1) - 고려조 궁궐을 중심으로 -

  • Choi, Woo-Yo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Yoon, Young-J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Yoon, Young-Hwa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최우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윤영조 (강원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윤영활 (강원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1.08.07
  • Accepted : 2011.09.02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Gyeokgu is a group ball game transmitted into the Joseon Dynasty period as acquiring a great vogue among the royal palace and people in Goryeo Dynasty after being introduced into the country from China. This research aimed through historical investigation to look into the form in which the Goryeo dynasty's kings enjoyed Gyeokgu game, and the historical-spatial signification and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Gujeong(the ground where play Gyeokgu) which is the courtyard where Gyeokgu game was held centering around the Goryeo dynasty's palace where Gyeokgu was prosperous most. We researched and analyzed the data for research after extracting the records related to Gyeokgu from three historical data of the true records of the Goryeo Dynasty. Upon investigation, twelve among 34 kings of the past generations were concerned with Gyeokgu in Gyeokgu game participation form, and 46 times were recorded in historical records in total. In the participation form, kings participated personally in 9 times among 46 Gyeokgu games, and viewed games in case of 37 times. Among these kings, the 18th generation king Uijong was recorded most as 17 times(36.9%) in Gyeokgu records. Places where Gyeokgu were held were 25 places in total including royal palace, detached palace, Lu-jeong, Buddhist temple, private residences, markets and streets, other outside of the royal court and so on, and 46 time-Gyeokgu games in total were held in these places. 21 time(45.6%)-Gyeokgu games were held in only 5 detached place among these places. So, detached palace were used most for Gyeokgu games. In particular, Gyeokgu games were held most in Suchanggung palace and Jangwonjeong palace among these detached palaces, and all these things were recorded during the reign of King Uijong. Gyeokgu game which was prevalent by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showed a progression to a national festival which kings, personally coming into streets or Jeoja(an archaic word for "market"), enjoyed with the crowd.

격구(擊毬)는 중국에서 국내에 전래되어 고려시대 궁궐과 민간에 크게 성행하며 조선시대로 전승된 집단 공놀이 유희이다. 이 연구는 격구가 가장 왕성했던 고려시대 궁궐을 중심으로 고려조 군왕들이 격구희를 즐긴 행태와 격구희가 열린 뜰인 구정(毬庭)의 역사 공간적 의미와 장소적 특성을 고증에 의해 구명하고자 하였다. 조사자료는 고려왕조실록3개 사료(史料)에서 격구 관련기록을 채록(採錄)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군왕들의 격구희(擊毬戱) 참석행태는 역대 34명 군왕 중 12명이 격구에 관여했으며, 모두 46회 사록(史錄)에 남겼다. 참석행태는 46회 중 9회는 군왕이 격구경기에 직접 참여하였고, 37회는 군왕이 참관하였다. 이중 제18대 의종이 17회(36.9%)로 격구기록을 가장 많이 남겼다. 격구가 열린 곳은 본궐, 이궁, 누정, 사찰, 민간저택, 시전 및 시가, 기타 궐밖 등 모두 25곳으로 이곳에서 총 46회의 격구희가 열렸다. 개최 장소 중 이궁 5개소에서만 격구희가 21회(45.6%)나 열려 이궁의 이용률이 가장 높았다. 특히 이궁 중에서도 수창궁과 장원정에서의 개최가 많았는데, 이는 모두 의종 때 기록이다. 격구희는 고려 말까지 성행하며 군왕이 직접 시가나 저자에 나와 군중과 같이 격구희를 즐기는 국가적 축제로 발전하는 양상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창현(2002). 고려 개경의 구조와 그 이념. 서울: 도서출판 신서원.
  2. 고유섭(1979). 松都의 古蹟. 서울: 열화당. p.86
  3.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세시풍속사전. http://folkency.nfm.go.kr
  4. 국립춘천박물관(2002). 우리 땅 우리 진경. 관서십경도병. p.72.
  5. 今村鞆(1934). 朝鮮の風俗資料-扇左․繩․打毬․匏. 京城: 朝鮮總督府. p.281.
  6. 마사박물관 소장. 이여성의 격구도.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
  7. 민족문화추진회(1971). 고전국역총서 47. 청구도 건. 十五層. 十五版.
  8. 북한과학원(1998). (북역)고려사. http://www.krpia.co.kr/pcontent/?svcid=KR&proid=1
  9. 송기호(2009). 격구와 석전. 대한토목학회지. 57(1): 99.
  10. 여지도.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
  11. 吳文忠(1982). 體育史. 臺灣: 正中書局. p.297.
  12. 이광표. 문화재 X파일-12. 九政洞석실분 서역인상. http://kmin1100.blog.me/40044151343
  13. 이병도(1975). 고려 문종왕과 장원정 창구. 진단학보 제6권. pp.552-553.
  14. 임동권, 정형호 등(1999). 한국의 馬민속. 서울: 집문당. p.207
  15. 임영무(2004). 高麗時代毬庭의 性格. 체육사학회. 체육사학회지. 14:35-51.
  16. 조동원, 김대식, 이경록, 이상국, 홍기표 역(2005). 고려도경. 서울: 황소자리출판사. p.155.
  17. 朝鮮光文會. 韓國地理風俗誌叢書22 中京誌. 서울: 경인문화사. p.29.
  18. 조완묵(1996). 우리민족의 놀이문화. 정신세계사. p.81.
  19. 정동오(1986). 한국의 정원. 서울: 민음사. p.90.
  20.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고전번역총서. (국역)고려사절요.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
  21.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고전번역총서. (국역)동문선.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
  22.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고전번역총서. (국역)동사강목.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
  23.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고전번역총서.(국역)신증동국여지승람.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
  24.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고전번역총서. (국역)임하필기.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
  25.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고전번역총서. (국역)해동역사.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
  26. 한국정신문화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 서울: 웅진출판주식회사. p.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