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Studies of Standard of Estimated Unit Manpower and Material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in Korea and Japan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한·일간 비교 연구

  • Yun, Ju-Cheu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egu University) ;
  • Lee, Kwan-H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egu University)
  • Received : 2011.08.08
  • Accepted : 2011.09.19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standard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t has also been done to offer a practical and reasonable information to Korea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Korea and Japan's standard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are part of civil construction. Second, Korea's detailed type of construction is centered on plant's type and size while Japan's centered on architectural construction. Third, Korea's standard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are composed of workforce construction, mechanical construction and addition of soil. On the other hand, Japan's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are composed of workforce construction, time of transportation, date of transportation. Fourth, the planting specification of Korea seems to be more in detail than that of Japan, Japan's showing a wider implication. Fifth, when comparing the information regarding standard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between Japan and Korea, transportation, independent stalking for plant, soil for landscape architecture is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On the base of this research results, Korea's standard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in planning construction should be more elastic in its implication and independent standard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Also, examination of transportation, independent skating for plant and soil for landscape architecture should be done in order for better improvements.

본 연구는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개정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한국의 조경공사 표준품셈과 일본의 공원식재공사 표준보괘의 식재 공종의 내용의 특성을 비교하여, 향후 한국의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발전에 기여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표준품셈과 표준보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한국의 경우는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제정한 건설공사 표준품셈 공종내의 조경공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일본의 경우도 2010년 '국토교통성' 제정 토목공사 표준보괘의 공원식재공사 표준보괘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한국의 조경공사 표준품셈과 일본의 공원식재공사 표준보괘 공종 중에서 식재 공종에 초점을 두고 품셈의 범위, 세부 공종, 품셈의 구성, 수목 적용 규격, 품셈의 내용 등의 비교를 연구의 내용적 범위로 한정하였다. 한국의 조경공사 표준품셈과 일본의 공원식재공사 표준보괘의 식재 공종의 내용을 비교하여본 결과, 한국의 조경공사 표준품셈은 독립적인 품셈과 품셈의 적용에 있어 융통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주목에 대한 독립적인 품셈과 운반에 관한 품셈 규정 그리고 조경토와 관련된 품셈 등의 검토를 통하여 한국의 조경공사 표준품셈이 더욱 발전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철, 유인규(1996). 공원산책로 개설품에 관한 기초연구. 국립진주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3: 180-185.
  2. 건설공사 표준품셈(2010). 국토해양부.
  3. 김종성(1997). 우리나라 조경 식물 유지관리품셈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원규(1997). 적산공사비 적산방법 도입을 위한 조경공사의 공종분류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1): 82-99.
  5. 박원규(2006). 조경공사 적산기준 개선에 관한 전문가 의식조사. 도서출판 조경시공. 21: 91-92.
  6. 손재철(2007). 표준품셈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7. 손창구, 김귀곤, 윤근영, 강태호, 김익수(1990). 조경 식재 공사 표준품셈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3): 23-37.
  8. 윤근영(1990). 조경 수목 식재공사 품의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9. 윤주철(2010).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변천 요인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원예․조경학과 박사학위논문.
  10. 이관희, 윤주철(2009). 우리나라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시대적 변천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7(1): 131-138.
  11. 이재근(1988). 조경공사 표준품셈 개정에 관한 고찰. 한국조경학회 학술논문 발표회.
  12. 장봉진(2001). 수목이식공사의 적산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정평란(1980). 조경적산의 제도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3). 적산제도 개선방안 연구용역 최종 보고서.
  15. 公園․綠花工事の積算硏究會(1989). 公園․綠花工事の積算. 經濟調査會.
  16. 土木工事標準步掛(2010). 國土交通部.
  17. 風間神造(1988). 造園修景工事の積算. 財団法人建設物価調査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