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oject Based Learning cognitive in the Technical high school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인식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1.07.31
  • Accepted : 2011.09.23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Project Based Learning(PBL) cognitive department and among the learner and instructor in the industrial highschool.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is based on PBL, collaborative learning and module learning. The importance of the PBL has been continuously reviewed by many educational researchers. In addition, it was supported by previous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oretical frameworks and previous researches on the PBL provided design principles and method for learning in the industrial highschool.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nd applied to investigate (1)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of departments(agriculture, industry, commerce) of cognition on learner's and instructor's task solving process, (2)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groups(learner, instructor) and type of departments(agriculture, industry, commerce) cognition on task solving process. The total of 100 learners and 50 instructors from industrial highschool in the study for the period of sixteen weeks. Based on the type of groups and department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such as learner and instructor of agriculture, industry, commerce department.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study, between the types of departments(agriculture, industry, commerce) of cognition on learner's and instructor's task solving process are differences. Second,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groups(learner, instructor) and type of departments(agriculture, industry, commerce) of cognition on task solving process are differences.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insignificant for cognition of PBL's help, however, four items(accomplishment, application subject, hereafter appli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ormances.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 indicated the cognition of PBL in the industrial highschool seem significant for departments and subjects characteristic of learning. In future research it is recommended that PBL model designs should consider components of group and department types.

본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프로젝트 학습을 실시하였을 때,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간의 인식차이와 계열별 학습자들 간의 인식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학습은 모듈수업 가운데 교수 학습기본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하였고, 집단유형(학습자, 교수자)과 계열유형별(농업, 공업, 상업)로 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학습결과에의 도움 여부, 프로젝트 학습 수행에의 만족도, 프로젝트 학습의 적용가능 교과, 향후 프로젝트 학습의 적용 선호여부에 관한 4개 항목 대한 인식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전문계 고등학교 학습자들이 프로젝트 학습에 참여한 이유는 자발적인 경우(21.0%)보다는 교수자들의 권유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58.0%). 또한, 집단(학습자, 교수자)과 계열(농업, 공업, 상업)간 상호작용효과는 프로젝트 학습 수행에의 만족도, 프로젝트 학습의 적용가능 교과, 향후 프로젝트 학습의 적용 선호여부항목에 있어서는 각각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성공적인 프로젝트 학습 수행을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교수자와 학습자용 프로젝트 학습 모듈이 각각 개발되어야 하며, 동시에 계열에 따른 별도의 프로젝트 학습 모형이 개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윤정(2006). e-Learning에서 커뮤니케이션 활성화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프로젝트 중심 협력학습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2. 교육과학기술부(2008a).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1999.12.30. [Online Document] Available from http://cutis.mest.go.kr/main.jsp?ìdx=020101
  3. 교육과학기술부(2008b). 2007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 도서 개발 및 작용 일정. [Online Document]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ms_kor/ chember / school/ data/
  4. 교육과학기술부(2010).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방안. 교육부 보도자료, 2010.05.12 [Online Document] Available from http://www.mest. go.kr/web/45859/ site/ contents /ko/ko_0133.jsp
  5. 교육통계센터 (2008). 교육통계서비스. [Online Document] Available from http:// cesi.kedi.re.kr/index.jsp
  6. 김용범,김영식(2007). 홈페이지 제작 단원의 프로젝트 학습이 직업기초 능력증의 정보능력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0(1). 31-40.
  7. 김흥식(2002). 공업계고등학교의 프로젝트 교과수행모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8. 김희선, 김세호(2007). 인터넷을 활용한 역사 프로젝트 학습: 향토사 학습을 중심으로. 교육연구, 15. 111-136.
  9. 남정권(2006). WBI환경과 자기조절학습: 웹기반 자기조절학습 지원전략.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10. 류창열(2006). 기술교과교수법. 대전: 충남대학교출판부.
  11. 변영계 (1998). 수업관찰 및 수업분석. 교육부.
  12. 심기창(2005). 중학습자들의 달의 운동에 대한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13. 오동규(2006). 공업계고등학교 영상 제작 수업에서 협동적 프로젝트 학습이 학습자의 영상 제작 능력의 함양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4. 이무근, 김판욱 (2005). 실기교육방법론. 서울: 교육과학사.
  15. 이상석, 황미자(2007).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영향. 지리학연구, 41(3). 299-310.
  16. 이상수(2005). 실과 재활용품 만들기 단원에서 프로젝트접근법이 과제수행능력과 환경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7. 이선길(2006).고등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 연구(R&E) 프로젝트 학습 모형의 개발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8. 이성은, 오은순, 성기옥(2006). 초 . 중등 교실을 위한 새 교수법. 서울: 교육과학사.
  19. 이숙현, 윤성철, 정동욱(2008).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통합형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이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8(1). 319-336.
  20. 이영민, 류진선(2008).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전략 개발 및 적용.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3(1). 213-232.
  21. 이영민, 배동윤(2008). 공업기술적 창의력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학습법 적용.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3(1). 137-153.
  22. 이춘식, 이수정(2003). 중학교 기술 . 가정과 교수 . 학습 방법과 예시자료 개발 연구: 프로젝트 학습과 문제중심학습을 중심으로. 서울: 교육과정평가원.
  23. 임해미(2007). 프로젝트기반 수학수업에 대한 사례연구: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4. 정진수(2008). 물리교육에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 한국물리학회지, 57(1). 10-15.
  25.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0). 실업계고등학교의 교수 . 학습방법연구(II): 교수 . 학습 모형 개발 및 현장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본연구, 2000-19.
  26. Barab, S. A. & Dodge, T. (2008). Strategies for Designing Embodied Curriculum. In Spector, J. M., Merrill, M. D., MerrienBoer, J. V., & Driscoll, M, P.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3rd ed.) NJ: Lawrence Erlbaum Association.
  27. ChanLin & Lih-Juan (2008). Technology Integration Applied to Project-Based Learning in Science.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45(1). 55-65.(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J783282). https://doi.org/10.1080/14703290701757450
  28. Colley & Kabba (2008). Project-Based Science Instruction: A Primer An Introduction and Learning Cycle for Implementing Project-Based Scicence. Science Teacher, 75(8). 23-28.(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J817851).
  29. Collins, A. (1996). Design Issues for learning environments. In S. Vosiadou & E. De Corte & R. Glaser & H. Manc] (Eds.),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he design of technology-supported learning environments. Hillsdale. NJ: Erlbaum.
  30. Harada, Violet H., Kirio., Carolyn., Yamamoto., & Sandy (2008). Project-Based Learning: Rigor and Relevance in High Schools. Library Media Connection 26(6). 18.
  31. Knoll, M. (1997). The Project Method: Its Vacational Education Origin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Journal of Industrial Technology Education 34(3). 59-80.
  32. Milentijevic., Ivan., Ciric., Vladimir., Vojinovic., & Oliver (2008). Version Control in Project-Based Learning. Computers & Education 50(4). 1331-1338. https://doi.org/10.1016/j.compedu.2006.12.010
  33. Moursund, D. (2004). Problem-based learning and Project-based learning. [Online Document] Available from http://darkwing.uoregon.edu/ -moursund/Math/pbLhtm.
  34. Oakey (2000). Project-based and problem-based: the same or different? challenge 2000 Multimedia project by Camille Esch of SRI, International. San Mateo County Office of Education.
  35. Simkins, M., Cole, K., Tavalin, F., & Mearns, B. (2002). Increasing student learning through multimedia projects. ASCD..
  36. Thomas, J. W. (2000).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based learning. San RafaeL CA: The Autodesk Foundation. [Online Document] Available from http://www.autodesk.com/
  37. Wrigley, H.S. (1998). Knowledge in action: The promise of project-based learning. Focus on Basics, 2(D), 13-18. https://doi.org/10.1103/PhysRevFocus.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