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Reformation of the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Engineering Education

건설공학 교육분야 중등임용시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황민정 (충남대학교 건설공학교육과) ;
  • 박완신 (충남대학교 건설공학교육과) ;
  • 장영일 (충남대학교 건설공학교육과)
  • Received : 2011.07.31
  • Accepted : 2011.09.23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field of Construction Engineering leads 1970's industry of the Korea. As a result of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It secure national competitiveness winning overseas contracts many kinds of plant, building and so on. In this situation, it is the most important task to cultivate and select construction teacher to train construction education and to foster construction skilled workers be going into the field of construction. This Study attempts to offer useful implications about the improvement of the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through analyzing that will have a strong influence and be a standard in educational direction to cultivate construction teacher.

기술선진화로 인하여 해외의 여러 나라에 각종 플랜트, 건물 등을 수주하고 세계의 주목을 받으며 국가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우리나라 건설 분야에 종사하게 될 건설기능인의 양성과 함께 그들의 교육을 담당할 건설교사의 양성 및 선발은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교사를 선발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치고 건설교사 양성 교육방향에 기준이 될 수 있는 임용시험을 분석하여, 우수한 자질을 갖춘 건설교사 선발을 위한 임용제도 개선에 관련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출된 건설과목 임용시험 문항분석을 토대로 출제방향에 대한 실제적 문제제기를 하고, 건설 임용시험 제도에 대한 학생, 현직교사, 교수들의 의견 및 관련문헌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원양성기관에서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연구 개발과 함께 2~4단위를 확대 편성하는 교과과정을 운영하기를 바란다. 둘째, 건설교과는 건축 토목과목 두 교과를 통합하여 구성되었으므로, 교원양성기관에서는 두 교과의 통합된 기준의 과정 추증이 필요하며, 임용시험 출제기관에서는 필기시험 출제비율(%)을 검토하여 출제기준을 제공할 것이 요구된다. 셋째, 건설교원으로서 지도해야 하는 실기능력 측정을 위한 방안으로, 필기시험 점수를 수행평가의 일환으로 활용하는 방안(Pass or Fail) 및 수업실연 내용을 실습과목의 실기영역에서 평가하는 방안 검토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실험실습이 많은 건설과목의 특성상 교수효과를 고려하여 선발인원을 늘린다면 적체되어 있는 수험자들의 해소방안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7). 공업계열 고등학교 전문교과교육과정
  2. 교육통계서비스 http://cesi.kedi.re.kr
  3. 김진수 외(2006). 중등교사 임용시험 전기.전자.통신과목의 출제방안 연구, 대한 공업교육학회
  4. 김판욱(1990). 직무분석을 통한 공고 교육과정 개선방안, 대한공업교육학회
  5. 김판욱 외 (2008). 임용시험 〈건설>과목의 교사자격 기준개발과 평가영역 상세화 및 수업능력평가 연구
  6. 노태천, 이용순, 유병로(2008). 공업교육학 신론, 문음사
  7. 박도순(2000). 문항작성 방법론, 교육과학사
  8. 이규욱 (1998). 제 7차 공업계 고등학교 건설계열 교육과정의 편성.운영방안, 대 한공업교육학회 1998년도 하계학술대회 발표자료
  9. 이돈희(1994). 교과교육학 탐구, 교육과학사
  10. 이무근, 김재식 , 김판욱(2000). 실기교육방법론, 교육과학사
  11. 정태범 외 (1994). 중등교원양성 임용제도 개선방안,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 교원정책 연구소 정책연구 66집
  12. 최무영(1980). 특성화 고등학교 현황, 기술집약적 산업육성을 위한 공업교육의 방향
  13. 최준섭 외(2006). 중등 임용시험 기계.금속과목의 출제방안연구
  14.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 http://www.kice.re.kr
  15. 홍창남(2009). 한국교육 60년-성취와 과제 중 교원의 역량계발과 교직여건의 개선
  16. 황정규(1986). 교육학연구의 방법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