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the Damage Status by Diagnostical Methodology for the Improvement Landscape on the Supyo-bridge at Chunggae-stream

청계천 수표교(水標橋)의 경관 향상을 위한 진단학적(診斷學的) 훼손상태 분석

  • An, Jin-Sung (School of Architecture, University of Genova) ;
  • Choi, Ah-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Yu-I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안진성 (제노바 국립대학 건축학과) ;
  • 최아현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 김유일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0.08.26
  • Accepted : 2010.09.20
  • Published : 2010.09.01

Abstract

This study is for the preservation plan of the tradition space which is performed by the damage status analysis through performing the value assessment. Especially, it is an experimental study for finding the process and methods by analyzing the major element for the value assessment of the selected object's damage status through the expert group who are systematized in their interest to conserve the traditional structure in traditional space. For that purpose, this study should be performed by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physical property of the Supyo-bridge and the condition of the selected site's environment. Meanwhile, this study has been done that 'map of the damage status distribution' for making records of damage status of the Supyo-bridge on the property utilized field measurement adapted by photogrammetry and assessment guidelines, which are for investigation on damage status of objects that are standardized 'Raccomandazioni Normal' which could be said construction culture assets management guidelines of Italian government.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damage status of each part in the Supyo-bridge was mostly composed of damage by sediment and corrosion and in case of 9 damage types including corrosion,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distribution status of those elements, it is made an judgement that is not working as a threatened factor regarding security of the Supyo-bridge. On the contrary, for the improvement landscape, in case of 'Thermoclastism' phenomenon observed in 'upper floor', 'Myungae stone' and 'bridge pier' is that when taking it into consideration that is widely distributed concentrated on the bridge pier, surface reinforcement job along with elimination of damage part will be judged to be requested for earliest treatment.

본 연구는 전통공간에 대한 보존계획에 있어서, 대상물의 가치평가를 위하여 수행되는 훼손상태조사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전통공간에 위치해 있는 전통 건조물의 보존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체계화하고 있는 전문가 집단에서 가치평가의 주된 요소로써 대상물의 훼손상태는 어떠한 과정과 방법에 의해서 분석될 수 있는가? 에 대한 과정과 방법론에 관한 실험적인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화재 '진단학(Diagnostic)'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표교에 대한 물리적 특성과 대상지 환경여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행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그 특성상 수표교의 훼손상태를 기록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훼손상태 분포도는 사진측량 기법을 적용한 실측도면을 활용하였고, 대상물의 훼손상태를 조사하기 위한 '평가지침'은 이탈리아 정부의 건축문화재 관리지침이라 할 수 있는 'Raccomandazioni Normal'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접근은 국외 건축문화재의 훼손상태 조사에 사용되는 표준지침의 국내 문화재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실험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졌음을 밝혀둔다. 그 결과, 수표교의 각 부분별 훼손상태는 침전물에 의한 훼손과 부식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부식을 비롯한 9가지의 훼손유형의 경우에는 그 구성성분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분포상태를 고려할 때, 수표교의 안전성과 관련하여 위협적인 요소로는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반면에, 경관 향상을 위하여 상판마루와 멍에석, 그리고 교각부분에서 관찰되는 'Thermoclastism(열전화)' 현상의 경우, 교각을 중심으로 넓게 분포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훼손부위의 제거와 함께 표면강화 작업의 조속한 처리가 요구될 것으로 판단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모(2007). 전통정원의 보존 및 복원 원칙설정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73-74.
  2. 김용옥(2003). 도올의 청계천이야기. 통나무. pp.33-36.
  3. 서울시(2005). 수표교정밀실측 및 기본설계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pp.27-31.
  4. 손영식(1993). 한국 고 교량의 구조형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53-57.
  5. 안진성(2007). 진단학을 적용한 수표교의 훼손상태 조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105-117.
  6. 조광권(2005). 청계천에서 역사와 정치를 본다. 여성신문사. pp.101-102.
  7. 和田雄治(1912). 京城の水標橋<歷史地理>. Jps(in press). pp.121-122.
  8. Brimblecombe(2000). Air pollution and architecture. Journal of Architectural Conservation. 13(2):11, 37.
  9. Mazzolani, F. M.(1992). Nouve Strategie di Protezione Sismica per Edifici Monumentali. Celid. pp.69.
  10. Costa, M. Dalla(1994). Il Restauro. Teoria e Pratica. Torino. pp.34.
  11. Musso, Stefano F.(2004). Recupero e Restauro degli Edifici Storici: Guida Pratica al Rilievo e alla Diagnostica. EPC Libri. pp.18.
  12. Palliaga, A.(1998). Il Disfacimento delle Rocce ed I suoli: Termoclastismo. Universita' di Genova. pp.129-133.
  13. European Commission(2006). Overview of the Expected Negative and Positive Consequence of Global Environmental Changeson Deterioration of Materials: Deliverable 6. pp.5-16.
  14. Furani, Gabrio(2001). Restauro dei Monumneti. Collana. pp.81-82.
  15. Giusti, Maria Adriana(1988). Temi di Restauro. Celid. pp.148-149.
  16. Matteini, Mauro(1984). Sceienza e Restauro. Nardini Editore. pp.31.
  17. Saccardi, U.(1985). Appunti sil Corso di Fotografia. Nardini Editore. pp.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