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ricolage Showed in Peter Brook's Work & 'The Empty Space'

피터 브룩의 연출 작업과 '빈공간'에 드러나는 브리콜라주

  • 백훈기 (목원대학교 영화영상학부)
  • Received : 2010.08.31
  • Accepted : 2010.10.25
  • Published : 2010.10.28

Abstract

Peter Brook has been often referred to as the most important contemporary theater director in the West. The fact that he has directed many plays without being tied to a single theatrical theory occasionally makes people think he is a eclectic imitator. But when you carefully observe his work, you can understand that his openness is nothing else but the pursuit and examination of theatrical communication. In this context, Brook's idea reminds us of Bricolage. Bricolage has been widely known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Savage Minds". L$\acute{e}$vy-Strauss used the word to describe characteristic patterns of mythological thought in compared with modern scientific thought and regarded it as a system of thought that we need to restore. Director Peter Brook have sought effective ways to fill the empty space with his broad view of theatre and life. His consistent attempt reveals positive theatrical idea with the expansive possibilities of Bricolage thought.

피터 브룩은 흔히 현대 서구의 가장 중요한 연극 연출가로 일컬어진다. 그는 단일한 방법론에 구속되지 않고 여러 기법을 이용한 다양한 연극을 연출해왔다. 이러한 점은 그가 절충적인 모방자로 평가받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하지만 그의 작업과 정신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의 열려있는 정신은 연극이 지니는 소통의 힘의 추구이며, 그 가능성의 타진임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그의 모색은 브리콜라주 발상을 노정한다. 브리콜라주는 "야생의 사고"에서 소개된 후 학술적으로 관심을 끌게 된 개념이다. 레비-스트로스는 현대 과학이 놓치고 있는 브리콜라주의 신화적 사고를 우리가 복원해야할 것으로 본다. 연출가 피터 브룩은 연극과 삶에 대한 넓은 시야를 바탕으로 그의 '빈공간'을 효율적으로 채워가는 열린 작업 방식을 추구해오고 있다. 브룩의 이러한 지속적인 시도는 브리콜라주의 신화적 사고가 지니는 긍정적인 가능성을 드러내며, 연극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는 고무적인 암시인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Croyden. Margaret, 송혜숙 역, 20C 실험극, 현대미학사, 1994.
  2. Levi-Strauss. Claude, 안정남 역, 야생의 사고, 한길사, 2007.
  3. Kustow. Michael, 허순자 외 역, 피터 브룩 :현대 연극의 표상, 을유문화사, 2007.
  4. Brook. Peter, The Empty Space, Touchstone, 1996.
  5. Brook. Peter, 허순자 역, 열린문, 평민사, 1996.
  6. Artaud. Antonin, 박형섭 역, 잔혹연극론, 현대미학사, 2004.
  7. Grotowski. Jerzy 외, 나진환 역, 그로토프스키 연극론, 현대미학사, 2007.
  8. 이원양, 브레히트 연구, 도서출판 두레, 1984.
  9. Innes. Christopher, 김미혜 역, 아방가르드 연극의 흐름, 현대미학사, 1997.
  10. Croyden. Margaret, Conversation with Peter Brook, Theatre Communication Group, 2009.
  11. Brook. Peter, The Shifting Point, Theatre Communication Group, 1987.
  12. 피터 브룩이 직접 말하는 '11 그리고 12' http://www.lgart.com/community/ArtZineList.a spx?bbsid=2632&page=1
  13. 김도훈, "연극에서의 은유와 환유", 은유와 환유, 기호학연구 제5집, 문학과 지성사, pp.63-83. 1999.
  14. Hodge. Alison, Twentieth Century Actor Training, Routledge, 2008.
  15. Brook. Peter, Threads of Time: A Memoir, Methun, 1998.
  16. Mitter. Shomit, System of Rehearsal ;Stanislavsky, Brecht, Grotowski and Brook, Routledge,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