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Cooperative Network for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방안

  • Received : 2010.04.19
  • Accepted : 2010.05.06
  • Published : 2010.05.30

Abstract

Public libraries in Korea have increased dramatically in number through the last 45 years.However, compared to the public librari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nited Kingdom of Britain, and Japan, public libraries in Korea tended to have a higher rate of capita visits per a public library, so public libraries' infrastructure in Korea is very inadequate. This research analyzed cooperative network cases for public libraries of London Borough of Camden, Ootaku in Janpan, and Bucheon City in Korea to deduct a plan to broaden the service area and to make management more efficient by managing based on the single-administrative district area as a regional library system. With these results this research excogitated a cooperative network model and a plan to make the management more efficient. As a conclusion, as public libraries increase in numbers we need to examine the proper scale, and we need to construct a central-concentrated system to enhance management efficiency between a central library and branch lib aries or small libraries.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은 도서관법이 제정된 이후 50여년도 되지 않는 짧은 기간 동안 수적으로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미국, 영국, 일본에 비해 1관당 봉사대상인원수는 여전히 많고, 공간, 예산, 인력 등 운영상 제약으로 지식정보서비스의 지속가능한 확대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행정구역권을 중심으로 지식정보서비스 연계와 경영 효율성을 도모하고 있는 영국의 캄덴구, 일본의 대전구(大田區), 한국 부천시의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의 협력 네트워크 모형과 정책 제도적 지원 및 운영 효율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석. 2007. 우리나라의 효율적인 공공도서관 확충 방안 연구․운영체제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29-48.
  2. 김준. 2006. 작은도서관 개념에 대한 이해. 도서관계, 140(3): 6-11.
  3. 김태승, 류병장. 2007. 문고를 이용한 공공도서관 확충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논문집, 1-18.
  4. 남영준, 김규환, 남태우. 2008. 공공도서관 협력업무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1): 177-192. https://doi.org/10.4275/KSLIS.2008.42.1.177
  5.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0.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2010년도 시행계획.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6. 문화체육관광부. 2009. 공공도서관의 경제적 가치 측정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7. 부천시립도서관. [online]. [cited 2010.1.31]. .
  8. 부천시작은도서관(공립) 편. 2009. 작은도서관 운영 매뉴얼.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9. 육경애. 2008. 지식정보사회에 있어서 공공도서관의 운영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 논문.
  10. 이상호, 공순구. 2000. 대도시의 공공도서관 네트워크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회지, 26: 221-228.
  11. 이용남. 2006.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분관 운영체제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1): 353-372. https://doi.org/10.4275/KSLIS.2006.40.1.353
  12. 이재희. 2008.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민관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논문.
  13. 이진우. 2007. 작은도서관의 설립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14. 최동식, 이상호. 2004. 도심지에 있어서 공공도서관 지역계획에 관한 연구(I): 공공도서관 지역배치계획 기준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6(2): 19-24.
  15. 최은주. 2009.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공공도서관 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16. 통계청. e-나라지표. [online]. [cited 2010.1.31]. .
  17. 한국도서관협회. 2009. 한국도서관연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8.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6. 작은도서관 분관시스템 구축 방안.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19. 藤谷幸弘. 2008. 公共圖書館の利用をめぐる評價. 名古屋: あるむ.
  20. IFLA/UNESCO. 1994. Public Library Manifesto. [online]. [cited 2010.1.30]. .
  21. Camden Council. 2010. Libraries and Online Learning Centres. [online]. [cited 2010.1.31]. .
  22. Library Research Service. 2009. Public Libraries: a wise investment. Colorado: LRS.
  23. Institute of Museum and Library Services. 2010. Service trends in U.S. Public Libraries, 1997-2007. [online]. [cited 2010.1.31]. .
  24. Institute of Museum and Library Services. 2008. 21st Century Skills. [online]. [cited 2010.1.31]. .

Cited by

  1. A Study on the U-Library Service vol.47, pp.1, 2013, https://doi.org/10.4275/KSLIS.2013.47.1.081
  2. A Study on Legal Issues of Small Libraries vol.48, pp.3, 2014,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381
  3. A Study on the Itinerant Librarian at Small Libraries vol.25, pp.4, 201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4.25.4.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