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ype of Pavement Base and Drainage in Mountain Road for the Prevention of the Pavement Damage by Uplift Water Pressure

수치해석을 활용한 산지도로의 상향침투수압으로 인한 포장파손방지를 위한 포장기층종류 및 배수형태의 고찰

  • 임영규 ((주)동성엔지니어링 도로부) ;
  • 윤찬영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승우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9.05.25
  • Accepted : 2010.02.25
  • Published : 2010.03.15

Abstract

Construction of road closed to mountains is inevitable in Korea because the mountainous region in Korea is more than 70% in area. Recently, due to global warming, typhoons or heavy rainfalls frequently occur, and accordingly, mountain roads are seriously damaged by landslides, debris flows, and uplift pressure below pavement. in this study, damage on pavement by uplift pressure was investigated. Various influencing factors such as slope angle, reinforcement of slope surface, thickness of soil cover underlain by rock, and types of drainage system were considered to evaluate uplift pressure acting on the bottom of pavement. Raising of water table up to the surface of slope may depend on the duration and intensity of rainfall. It shows that the installation of subdrain can reduce the uplift water pressure.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use of subdrain system is effective to decrease uplift pressure and cement treated base is more endurable than typical crushed-stone base.

국토의 70% 이상이 산악지인 우리나라 지형적 특성 때문에 도로가 산지을 인접해서 건설되는 것이 불가피하다. 최근 들어 온난화등의 영향으로 태풍이나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산지 도로의 산사태, 토석류, 상향짐투수압 등에 의한 인명, 시설물 피해도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산지 도로의 피해 중 상향침투수압에 의해 발생하는 포장의 틀림 현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산지도로 주변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상향침투수압에 의해 포장파손이 발생한 지역특성에 대하여 사명의 경사각, 산지표면의 보가유무, 산지 경사면 토사층의 두께, 지중 배수관의 설치 유무에 따라 상향침투수압을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상향침투수압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쇄석기층 위의 아스팔트포장 및 표면배수형식조건에서 5~10kPa 범위에서 발생하며, 사면경사각이 커짐에 따라 상향침투수압도 비례하여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사면의 표면을 보강 처리하지 않았을 경우의 상향침투수압은 작게 나타났다. 산지 경사면의 토사층의 두께는 지하수위가 산지표면까지 상승한 조건에서는 상향침투수압에 큰 영향은 없었으나, 지하수위가 산지표면까지 상승하는 것은 강우지속시간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 점을 고려하면, 지중배수관의 설치는 도로 표층에 가해지는 상향침두수압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층형식에 따른 상향침투수압에 대한 저항성 측면에서는 비 부착성인 쇄석기층보다 부착성인 안정처리기층이 자중이 증가하여 포장의 틀림 현상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고 판단되지만 안정처리기층만으로는 상향침투수압에 견딜 수 없으므로 지중배수관 및 사면배수공법을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혁, 최종인, 박종영, 2007, "산지하천의 집중강우에 따른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 Vol. 15, No.2, 159-167
  2. 건설교통부, 2000, "1999년 수자원관리기법 개발연구조사 연구보고서"
  3. 건설교통부, 2007, "한국형 포장설계법 개발과 포장성능 개선방안 연구"
  4. 국토해양부, 2007. "수해 예방을 위한 산악지 도로설계 매뉴얼"
  5. 김영묵, 2002, "토질 및 기초", 성안당
  6. 김영철, 문승의, 김경식, 김덕완, 박은영, 1999, "우리나라의 도시별 강우강도 변화 특성 분석", 한국기상학회 가을 학술발표회, 323-325
  7. 배선학, 2007, "2006년 인제군 집중호우의 원인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 13권 제4호, 396-408
  8. 양해근, 박 경, 2008, "2006년 7월 집중호우로 인한 오색천 유역의 토석류 발생과 그 특성", 한국지형학회지, 제 15권 제 2호, 25-35
  9. 오세붕, 문종호, 김태경, 김윤기, 2008, "불포화 지반특성 영향에 대한 강우시 사면붕괴의 사례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8권 제3C호, 167-178
  10. 이정규, 추현재, 2006, "Huff의 4분위법을 이용한 지속기간별 연 최대치 강우의 시간분포 특성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 26권 제 5B호, 519-528
  11. 이혜지, 이성진, 이승래, 2005, "흙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화강풍화토의 함수특성곡선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 25권 제 4C호, 249-258
  12. 최영진, 문자연, 2000, "한국의 여름철 일 강우강도 변화 경향", 한국기상학회 가을 학술발표회, 339-341
  13. 한국토지개발공사, 1991, "화강암질 풍화토의 기층 및 보조기층 이용방안 연구"
  14. Arpad Kezdi, 1979, "STABILIZED EARTH ROADS",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15. GEO-SLOPE, 2001 "SEEP/W for finite element seepage analysis"
  16. Yang H.Huang, 2002, "Pavement Analysis and Design", Prentice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