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velopment Evaluation Modeling Internal Landscape in Tunnel Considering Human Sensitivity Engineering

감성공학을 고려한 터널 내부경관 평가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9.07.01
  • Accepted : 2010.02.26
  • Published : 2010.03.15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amo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tunne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factors comprising the driver's psychological stability, easiness and the sensitivity and then to suggest the mechanism for evaluating the tunnel view, and to that end, the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physical elements comprising the tunnel shape and the variation of driver's emotional recognition, thereby proposing the measures to create the scenic environment. As a result of LISREL modeling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recognition to tunnel view, the elements affecting tunnel view appeared to be emotional image created by the combination of elements comprising the tunnel view. Such emotional image can be explained by design element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 of design element appeared to be greater tha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relations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esign element appeared to be positive (+)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safety" and "variability" was significant. And the "safety" have had greater effect on view recognition than "variability", indicating that the drivers tend to give more importance to "safety", but also require the "variability"on the other hand.

본 연구는 터널이 갖는 다양한 특성 가운데 운전자의 심리적 안정성과 쾌적성 등 경관을 구성하는 설계요인과 운전자의 감성적 요인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터널경관에 대한 평가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위하여 터널경관을 구성하는 물리적인 구성요소와 운전자의 감성인지 변화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경관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터널경관에 대한 감성인지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LISREL 모형을 구축한 결과 터널경관 영향요인은 터널경관 구성요소 조화에 의한 감성 이미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감성이미지는 설계요인과 개인속성에 의하여 설명며, 설계요인의 영향이 개인속성의 영향보다 크게 나타났다. 개인 속성과 설계요인 모두의 관계는 (+)의 관계로 나타났고 "안정성"과 "변화성"간에는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때, "안전성" 요인이 "변화성" 요인보다 경관인지도에 좀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경관 평가 시 운전자는 기본적으로 "안전성"을 중시하나 "변화성"에 대하여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0),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2. 국토해양부 (2008), 도로교통량 및 터널 현황
  3. 권혁민(2005), 종단선형구간에서 도로안전시설물 설치에 따른 안전성 변화 예측모형
  4. 박경수(2000), 감성공학 및 감성생리, 영지문화사
  5. 박상명 (2006), 운전자의 감성요인을 고려한 도로경관설계모형 개발, 원광대학교 학위논문
  6. 박일동 (2003) , LISREL 모형을 이용한 조명색채별 감성공학적 터널 내부경관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7. 배병일(2007), AMOS 7에 의한 구조방정식 모델링, 청람
  8. 이재호(2000), 국도상 터널구간의 교통특성 및 용량산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9. 주신하 (2003), 도시경관 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및 적용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학박사 학위논문
  10. 한국도로공사(2006), 터널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장대터널내에서의 특성연구
  11. Amundsen, F.H., Driver Behaviour in Norwegian Road Tunnels. Toward a Deeper Understanding. Directorate of Public Roads, Oslo,1992
  12. Levinson Golenberg, Howard Callahan Tunnel Capacity Management TRR, TRB USA, 1995
  13. Weng, Olszowski Highway Research and Application in Singap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