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gnition of Design Concepts for Urban Parks - The Cases of Seoul Forest, Yeouido Park, and Seonyudo Park -

도시공원 이용자의 설계개념 인식정도 - 서울숲공원, 여의도공원, 선유도공원을 사례로 -

  • Joo, Shin-Ha (Division of Environment and Life Science, Seoul Women's University) ;
  • Kim, Young-Hee (Dept. of Horticulture, Graduate School, Seoul Women's University)
  • 주신하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 김영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 Received : 2010.09.20
  • Accepted : 2010.12.08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parks by park use patterns and the understanding of design concept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ognition of design concept between designers and park users. The literature studies and surveys were performed to analyze park use patterns and understanding of design concepts for Seoul Forest Park, Yeouido Park and Seonyudo Park. Several statistical methods have been used such as descriptive analysi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As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park use patterns, Seonyudo Park may he qualified as an urban landmark park, while Yeouido Park can he classified as a neighborhood park. Seoul Forest Park bas characteristics of both. Second, the higher frequency of visits generally leads higher preference. Third, the overall cognition of the design concepts of parks shows 3.51 on average, which is comparatively high. The functional concepts are better transmitted to the users compared to abstract concepts. The cognition of the design concepts of each park are evaluated in the higher order of Seonyudo Park, Seoul Forest Park and Yeouido Park. Fourth, the cognition levels of detailed design concepts for each place are lower than the overall design concepts. On the other hand, levels of satisfaction are increased after the design concepts are noticed. It would he necessary make the effort to give information about the design concept of each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mited in that it covers only three parks in Seoul, and did not consider seasonal variables. Nevertheless, this study may he significant in that it dealt with the cognition of design concepts for urban parks,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designers and visitors.

본 연구는 설계자와 이용자 간의 설계개념의 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로 공원 이용패턴을 통해 공원의 성격을 구분하고, 이용자들의 설계개념의 인식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서울숲공원,여의도공원,선유도공원을 대상으로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 공원 이용패턴과 설계개념의 인식정도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위해 기술통계분석, 중요도-성취도 분석 등의 통계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 이용패턴을 분석한 결과, 선유도공원은 도시대표공원의 성격, 여의도공원은 근린공원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숲공원은 도시대표공원적인 특성과 근린공원의 특성을 모두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대부분 방문빈도가 높을수록 선호도도 높은 경향을 나타났다. 셋째, 각 공원에 대한 전체적인 설계개념 실현정도는 평균 3.51로 비교적 높은 실현정도를 나타났으며, 추상적 개념보다는 기능적 개념의 실현정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공원별로는 선유도공원, 서울숲공원, 여의도공원 순으로 설계개념 실현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넷째, 공원 전체에 대한 설계개념 실현정도에 비해서 장소별 세부 설계개념의 인식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설계개념을 알려준 이후에 그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개별공간에 대한 설계개념 전달 노력이 더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지의 제한성, 계절적 변수, 설계개념의 간접적 조사 등의 연구의 한계성을 가지고 있으나, 설계자와 이용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설계의도의 전달 여부에 대해 살펴본 것은 이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신원,허준,박율진(2000) 여의도공원의 이용목적별 만족도 분석.산림휴양연구 4(3):75-8
  2. 김용수,김수봉(1989) 대구시 도시공원의 성격에 따른 이용자 만족요인 및 행태분석.한국조경학회지 17(1):17-27.
  3. 문창현(2001) 이용만족도 결정요인의 분석을 통한 서울시 도시공원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9(1):97-118
  4. 박장근,임란희,지용범,신희진(2001) 도시공원 이용자들의 형태분석 및 이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수원시 만석공원을 대상지로.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21(1):129-152
  5. 서울특별시 (1997) 여의도광장의 공원화 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6. 서울특별시(2004)서울숲 조성 기본 및 실시계획.
  7. 서정영,성현찬 (2009) 도시근린공원의 공간구성분석 및 이용자실태에 관한 연구:녹지 및 잔디공간을 중심으로.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지 12(6): 99-111.
  8. 엄붕훈(1993) 대구시 근린공원의 이용행태 및 만족도 결정변인에 관한 연구.지역사회개발연구 2:133-149.
  9. 정영선(2002) 제2회 생태건축 강습회:생태건축의 설계와 실제에 대하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147-191.
  10. 현중영,박찬용(1992) 도시공원 시설의 이용자 만족 인과모형:대구시 두류도시공원의 사례. 한국조경학회지 20(3):103-109.
  11. 홍두승(1992)사회조사분석.다산출판사.
  12. 환경과 조경(2006) 한국의 공원:Park-scape, 도서출판 조경.
  13. Krampen, Martin (1974) Survey on current work in semiology of architecture. A paper presented in semiotics Conference in Milan,Italy.
  14. Rapoport, Amos (1982) The Meaning of the Built Environment. Beverly Hills :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