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파쇄대와 지하의 빈 공간에 의한 지자기이상

Geomagnetic Anomalies by Underground Fracture Zones and Vacant Spaces

  • 이문호 (영남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Lee, Moon-Ho (School of Materials Engineering, Yeungnam University)
  • 발행 : 2010.04.30

초록

지하에 존재하는 파쇄대와 빈 공간 및 터널이 지상에서의 자속밀도분포에 미치는 영향과 심도에 따른 자기이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파쇄대와 빈 공간 및 지하터널이 있는 지표상에서의 자속밀도분포를 플럭스게이트형 마그네토미터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지하에 존재하는 파쇄대는 지표면으로부터 높이 0.15 m에서의 자력분포에 (+)피크와 (-)피크로 이루어진 피크 쌍(peak pairs) 형태의 자기이상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자기이상은 지상으로부터 1.15 m의 높이에서는 그 강도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지하의 빈공간에 의하여 자속밀도가 감소하는 자기이상이 발생하며, 지하공간의 심도가 깊을수록 자속밀도의 감소정도가 줄어든다. 이러한 자속밀도 감소 현상을 이용하면 지하에 존재하는 터널과 싱크홀과 같은 빈 공간의 존재와 규모를 탐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changes of magnetic flux density distribution and the degree of magnetic anomaly on the ground surface by underground fracture zones and empty spaces had been investigated through the variations of the measuring heights. The magnetic flux density distributions were monitored for the ground surfaces of fracture zones, empty spaces and tunnels by fluxgate-type magnetometer. The fracture zones showed the magnetic anomaly with (+) and (-) peak-pairs in the magnetic flux distribution measured at 0.15 m height from the ground surface, and this anomaly disappeared at the height of 1.15 m. The underground empty spaces and tunnels showed the decrease of magnetic flux densities, where the degree of this density decrease diminished with the increase of the underground depth. And, the existence and size of underground empty spaces, such as tunnels and sink holes, could be monitored by the phenomena of this decreasing flux density.

키워드

참고문헌

  1. 손호웅, 지반환경물리탐사, 시그마프레스, 서울 (2000) 259.
  2. G. Backus, R. Parker, and C. Constable, Foundations of Geomagnetism, Cambridge Univ. Press, New York (2005) 211.
  3. B. D. Cullity and C. D. Graham, Introduction to Magnetic Materials, John Wiley and Sons, London (2008) 110.
  4. P. Ripka, Magnetic sensors and magnetometers, Artech House,Boston (2000) 134.
  5. 이인우, 한국광물학회지 15, 205 (2002).
  6. D. K. Butler, J. Appl. Geophys. 54, 111 (2003). https://doi.org/10.1016/j.jappgeo.2003.08.022
  7. M. N. Nabighian and R. O. Hansen, Geophys. 66, 1805 (2001). https://doi.org/10.1190/1.1487122
  8. A. B. Reid, J. M. Allsop, H. Granser, A. J. Milleti, and I. W.Somerton, Geophys 55, 80 (1990). https://doi.org/10.1190/1.1442774
  9. A. Selem, T. Hamada, J. K. Asahina, and K. Ushijima, Geophys.136, 97 (2005).
  10. D. K. Butler, Leading Edge 20, 890 (2001). https://doi.org/10.1190/1.1487302
  11. 이문호, 한국자기학회지 19, 67 (2009). https://doi.org/10.4283/JKMS.2009.19.2.067
  12. 최근하, 한국자기학회지 5, 304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