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기탐사

Search Result 219, Processing Time 0.04 seconds

통가 열수광상 지역의 해상 및 심해 지자기 조사 연구

  • Kim, Chang-Hwa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24-12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통가 해역 라우분지의 열수 광상 가능성이 있는 해산들에 대하여 자력탐사가 수행되었다. 그 중 TA 09 해산에 대하여 심해견인 자력탐사가 실시되었으며 심해견인 자력탐사는 정밀한 탐사를 위하여 해저면에서 약 50 ~ 60 m 고도를 유지하며 자력계를 견인하였다. 탐사지역의 총 자력 성분은 Overhauser Proton Magnetomer (모델 SeaSPY 300(해상자력계)m, SeaSPY 6000(심해견인자력계))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탐사 해산들 중 해상자력탐사와 심해자력탐사가 같이 수행된 TA 09 해산과 주요 열수 광상 유망 지역으로 분류되는 TA 12, 26 해산에 대해서만 측정된 지자기값을 이용하여 자기이상도를 구하였으며 자화역산법을 이용하여 자화이상도를 제작하고 분석하였다. TA 09 해산과 TA 26 해산에서의 해상 자기이상도는 쌍극자 이상형태의 단순이상을 보이며 TA 12 해산에서는 정상부에 고이상이 나타나고 그 주변으로는 저이상대가 분포하고 있다. TA 09 해산에서의 해상자력계에 의한 자기이상치와 심해견인자력계에 의한 자기이상치를 비교하여 보면 거의 10배 이상의 해상도 차이를 보여준다. 연구지역 탐사해산들의 해저지형과 비교하여 보면 열수분출대의 가능성이 높은 저자화이상대들은 주로 해산의 정상부 및 정상부 칼데라와 그 칼데라 주변부에 주로 위치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향후 타 탐사 해산들에 대한 자기이상에 대한 정밀처리/분석 후 탄성파 탐사결과, 암석샘플의 결과 및 지화학결과 등과 비교하여 열수광상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추정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ome case histories to detect underwater buried objects by electrical and magnetic methods (수중 매장물 조사에 응용되는 전기 및 자기 탐사사례)

  • JUNG Hyun Key;Park Yeong-Sue;Lim Mutaek;Rim Hyoungrae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118-137
    • /
    • 2004
  • Recently underwater geophysical problems for historical relics or UXO's are raised frequently. This study includes the applica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recent underwater metal detector and domestic case stories for underwater survey by electrical and magnetic method. Direct or indirect case stories are electrical and vertical magnetic gradiometry surveys beneath Han-river bottom for planning subway tunnel, electrical exploration on lake-bottom, electrical exploration on the tidal flats using high-power transmitter, and borehole three-component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surveys for detecting the undersea objects. A design of potable real-time, high-speed measurement system using multi-channel array sensors is also introduced here. Further study will be focussed on practical field applications of the fast water-bottom scanning system which is lately required by actual field.

  • PDF

고성능핵자탐기에 의한 공주(公州) 송산리(宋山里)의 고분군(古墳群) 탐사

  • Kim, So-Gu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22
    • /
    • pp.348-355
    • /
    • 1989
  • 고성능 핵자탐기를 이용하여 1988. 6. 11부터 6. 30까지 충남 공주 송산리 고분군의 탐사를 수행했다. 고분탐사의 표본으로 이미 알고 있는 전축분 6호분과 석축분 5호분을 동시에 탐사결과 백제당시 높은 온도로 구어 만든 벽돌로 축성된 6호분에서는 5호분보다 아주 강한 고지자기반응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탐사지역 A지역과 D지역에서는 고지자기반응이 어떠한 일정한 양상을 따라 나타났다. 이들은 각각 석열(石列) 혹은 석축열(石築列)였음을 발견했다. 또한 D지역의 강한 고지자기 반응에서는 백제시대의 토기항아리가 발견되었다. 이번 탐사의 결과로 고지자기탐사는 높은 열처리와 관계된 고고학적 유적, 유물탐사에 매우 유리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Correlation between the distribution of cultural noise source and MT data (인공잡음원의 공간분포와 MT자료의 상관관계)

  • Lee Choon-Ki;Lee Heuisoon;Kwon Byung-Doo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209-214
    • /
    • 2005
  • In the present age, the quality of MT(magnetotellurics) data highly depends on the level of industrial interference in data.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man-made EM noise sour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MT data. The noise source analysis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oise source density and the power spectral density of measured magnetic field in the frequency band of 60 Hz harmonics. In the MT 'dead band', the strong polarization observed on the magnetic field reveals that the severe artificial noises are caused by the adjacent metropolis.

  • PDF

공간 모델링을 이용한 자기지전류 탐사의 전자기 잡음 예측

  • Lee, Chun-Gi;Lee, Hui-Sun;Gwon, Byeong-D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112-123
    • /
    • 2005
  • 자기지전류 탐사의 적용에 있어 인공잡음의 영향은 탐사의 승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인공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탐사의 설계와 자료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공간자료를 이용한 공간모델링을 통해 MT 주파수 대역에서의 잡음을 예측하고 실제 탐사 자료와 비교분석하여 MT 잡음 모델링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수치지도로부터 추출된 잡음원일 가능성이 높은 건물, 도로, 고압 송전선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강도를 지하매질의 전기전도도에 따른 전자기파의 전파 특성을 고려하여 예측하는 잡음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잡음모델로부터 예측된 잡음 파워와 실제 탐사를 통해 측정된 MT 자료와의 상관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전반적으로 전기장에서는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반면 자기장은 60 Hz 부근의 대역에서만 상관관계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공간모델링을 통한 잡음 예측은 특히 고도로 산업화되어가는 도시 주변지역에서의 MT 탐사를 수행하는데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KAMG engineering model in KPLO mission

  • Jin, Ho;Kim, Khan-Hyuk;Son, Derac;Lee, Seongwha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3 no.1
    • /
    • pp.48.4-48.4
    • /
    • 2018
  • 대한민국 달탐사 시험용 궤도선은 2020년 말에 발사를 예정으로 위성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라고 명명된 달 궤도선에는 6개의 탑재체가 있으며, 경희대학교 우주탐사학과에서는 달 주위 공간 및 달 표면의 이상 자기장 영역을 관측하는 탑재체 (KMAG: Kplo MAGnetometer)를 개발하고 있다. 자기장센서는 3축 플럭스게이트 센서를 사용하며 약 0.2nT 이하의 분해능을 가지고 있다. 측정주기는 10Hz이며 총 무게는 3.5kg 이다. 1.2m 길이의 붐(Boom) 구조물 내부에 3개의 자기장 센서들을 설치하였으며 가능한 위성체로부터 거리를 두고 자기장을 측정하는 구조로 구성하였다. 시험모델 개발을 완료하고, 개발된 탑제체의 환경시험결과와 성능시험결과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결과를 얻었다. KAMG는 국내최초의 심우주 탐사용 자기장 측정기로서 향 후, 행성 및 소행성 탐사 등에 활용하기 위한 기반 기술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Inversion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a Car (차량이 발생하는 자기장에 대한 역산)

  • Lim, Mu-Taek;Park, Yeong-Sue;Rim, Hyoung-Rae;Koo, Sung-Bon;Jung, Hyun-Key;Kwak, Byoung-Wook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1 no.4
    • /
    • pp.343-349
    • /
    • 2008
  • We have constructed a car-borne magnetic exploration system, in which a car drags a non-magnetic cart on which a magnetometer is installed. In the total magnetic field measured as a vectorial sum in this system, are included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ar itself. This magnetic field, doing the role of a magnetic noise, should be eliminated. For this purpose, we have set up a measurement condition to get the same effect as if we have put the car in one point and thereafter measured the magnetic field around it. In this case, if there is any magnetically anomalous body in the area, we can consider all the remaining magnetic field to have been generated by the car itself, once the geomagnetic field eliminated. We tried to invert the magnetic field considered to have been generated by the car and succeeded to derive the magnetic moment and the direction of the induced and remanent magnetic field of the car respectively. Once the magnetic moment and the direction of the induced and remanent magnetic field have been calculated,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m in specific points can be directly and analytically calculated. This result can be used in the future to eliminate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ar itself doing the role of a magnetic noise during the procedure of reduction of the measured magnetic exploration data by the car-borne magnetic exploration system.

Prediction of Electromagnetic Noise using Spatial Modelling in Magnetotellurics (공간 모델링을 이용한 자기지전류 탐사의 전자기 잡음 예측)

  • Lee, Choon-Ki;Lee, Heui-Soon;Kwon, Byung-Doo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8 no.4
    • /
    • pp.251-261
    • /
    • 2005
  • The quality of MT (magnetotellurics) data highly depends on the level of artificial noise form industrial sources. We have conducted the feasibility study of MT noise modelling using digital spatial data and spatial modelling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dicted and the measured MT noises. A simple noise model predicting the intensity of electromagnetic field radiated from the latent noise sources, that is, the electric facilities in the building, road and high-voltage powerline, i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propagation property of electromagnetic waves. From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predicted and the measured noise pow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electric field are higher than those of magnetic field in whole frequency band. The magnetic field component has the high correlation in the narrow band near 60 Hz only. The spatial noise modelling proposed in this study would provide some useful informations for the MT surveys in the noisy environment like urban area.

Geomagnetic Depth Sounding to Investigate the Trend of Electrical Conductivity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지자기 수직 탐사에 의한 한반도 주변의 전기전도도 구조)

  • 오석훈;양준모;이덕기;남재철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5 no.5
    • /
    • pp.437-444
    • /
    • 2002
  • Geomagnetic depth sounding (GD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eep resistivity structure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data that have 0.01 nT precision were collected from 5 geomagnetic observatories and measured every one or five second. In this study, amount of 16 days of geomagnetic data were used for analyzing. Generally the sea affects the GDS data seriously due to its high conductivity. However, though the Korean peninsula is surrounded by seas in three sides, the results given by induction arrow strongly show that the trend of electrical conductivity at neighborhood of the Korean Peninsula is reigned by some geological features. Also it is believed that observation in Jeju island is related with the electrical structure around the East China S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