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자기

Search Result 6,405,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보현산 지자기 자료를 이용한 일변화와 연변화 연구

  • Choe, Gyu-Cheol;Lee, Jae-Jin;Jo, Gyeong-Seok;Lee, Dae-Yeong;Park, Yeong-Deuk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44.2-44.2
    • /
    • 2009
  •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연구그룹은 우주환경예 경보 연구에 활용하기 위하여 일본 Tierra Tecnica사의 RFP-523C 지자기 측정 시스템을 보현산천문대 태양망원경동에 구축하였다. 보현산 지자기 측정 시스템은 2007년 11월에 구축이 완료되어 현재 우주환경 변화에 의한 지자기 변화를 측정 및 저장하고 있다. 보현산 지자기 측정 시스템으로 측정한 지자기 자료를 사용하여 2008년부터 2009년 8월까지 보현산 지역의 지자기 일변화와 연변화를 연구하였다. 지자기 일변화와 연변화는 태양활동에 의한 영향을 받아 변화하는데, 지자기 일변화는 K 지수를 산출하는데 사용되고 지자기 연변화는 보현산 지역의 장기간 동안의 지자기 변동을 연구하는데 사용된다.

  • PDF

실린더 모델을 이용하여 선정한 2000년도 자기 구름 이벤트 리스트

  • Choe, Gyu-Cheol;Lee, Dae-Yeong;Lee, Jong-Hyeok;Park, Yeong-Deuk;Sin, Dae-Y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38.1-138.1
    • /
    • 2012
  • 자기 구름은 자기 구조를 가지고 방출된 CME로 지구 자기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지구 자기장의 교란으로 발생하는 지자기 활동은 K 지수로 표현되는데 우주기상을 연구하는데 기본 자료로 활용된다. 따라서 자기 구름은 우주기상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기존에 Lynch et al.(2005), Huttunen et al.(2005), Lepping et al.(2006), Feng et al.(2007) 등이 만든 자기 구름 리스트가 있지만 자기 구름에 적합하지 않는 이벤트가 적지 않게 포함되어 있어 이벤트를 지자기 활동 연구에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만의 자기 구름 기준을 정하고, 이 기준과 실린더 모델을 이용해 새로운 자기 구름 리스트를 완성하였다. 우리가 정한 자기 구름 기준은 (1)자기장의 벡터 성분이 천천히 회전하고 (2)자기장의 세기가 평균보다 세며 (3)자기 구름 지속시간이 7시간보다 짧은 이벤트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ACE위성과 WIND 위성이 2000년에 관측한 행성간 자기장 자료에 우리의 자기 구름 기준을 적용하여 자기 구름 이벤트 후보를 선정하였고, 마루바시 박사가 만든 실린더 모델을 자기 구름 이벤트 후보에 적용하여 자기 구름 이벤트를 최종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2000년도 자기 구름 이벤트는 총 63개이고 이를 리스트로 작성하였다. 우리가 만든 자기 구름 이벤트 리스트는 CME와 K 지수 등 지자기 활동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 PDF

Vector Calibration for Geomagnetic Field Based Indoor Localization (지자기 기반 실내 위치 추정을 위한 지자기 벡터 보정법)

  • Son, Won Joon;Choi, Lyn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Next Generation Computing
    • /
    • v.15 no.3
    • /
    • pp.25-30
    • /
    • 2019
  • Magnetic sensors have the disadvantage that their vector values differ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agnetic vector calibration method for geomagnetic-based indoor localization estimates. The fingerprinting technique used in geomagnetic-based indoor localization the position by matching the magnetic field map and the magnetic sensor value. However, sinc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urrent user may be different from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erson who creates the magnetic field map at the collection time, the sampled magnetic vector may have different values from the vector values recorded in the field map. This may substantially lower the positioning accuracy. To avoid this problem, the existing studies use only the magnitude of magnetic vector, but this reduces the uniqueness of the fingerprint, which may also degrade the positioning accuracy. In this paper we propose a vector calibration algorithm which can adjust the sampled magnetic vector values to the vector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map by using the parametric equation of a circle. This can minimize the inaccuracy caused by the direction mismatch.

Electromagnetic Consideration on the Source of Geomagnetism (지자기 성인의 전자기학적 고찰)

  • Soh, Dea-Wha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79
    • /
    • pp.41-46
    • /
    • 2007
  • 지구자기장의 성인에 대하여 고찰하고 기존 학설에 대한 신 모델을 제안하였다. 지자기 성인의 가장 유력한 이론적 모델은 열전류와 열화학적 전류에 의한 자기장 형성이다. 하지만, 이 모델은 매우 한정적 조건을 바탕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동시에 지자기의 분산과 세기의 상쇄 요인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설득력이 저하된다. 그러나 본 제안의 가설에서 주장하는 이온층 전류에 의한 지자기의 성인은 그와 같은 분산 요인이 있을 수 없으며, 그 결과로 나타나는 지자기의 새기와 방향도 일정하게 형성됨이 해석 가능하기 때문에 타당성과 설득력이 높은 완벽한 이론이다. 따라서 이온층 전류에 의한 보다 안정적인 지자기성인의 전자기학적 신 모델을 제안한다.

대전 지역의 지자기 변동 지수

  • 임무택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0.04b
    • /
    • pp.146-150
    • /
    • 2000
  • 한국자원연구소는 1998년에 영국지질조사소가 설계, 제작한 FLARE+ 지자기연속관측시스템 한 대를 한국자원연구소 내에 설치하고, 연속적인 관측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 관측소를 IAGA 에 등록하고 국제지자기관측소식별부호 DZN을 받았다. 이 시스템은 5초 간격으로 지자기장의 3 성분을, 1분 간격으로 총자기장을 측정하여, 1분 평균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지자기 관측자료? 활용 분야들 중 하나인 지역적 지자기 변동지수(local K index)를 게산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1999년 3월 2일부터 18일까지 17일 동안 관측자료를 기초자료로 하였고, 대전지역의 최대변동폭을 300 nT로 가정하였다. 그결과, 지자기의 최대 변동 지수 폭을 0~9 까지로 할 때, 사용된 자료로 계산한 지역적 지자기 변동지수는 1~6사이에 분포하였고, 최대빈도의 변동지수 3이었다. 한편, IAGA가 계산한 같은 기간의 전지구적 지자기 변동지수(planetary k index)는 0~6사이에 부포하였으며, 최도빈도의 변동지수는 역시 3이었다. 위 기간 동안의 대전의 지역적 변동지수 수열과 전지구적 지자기 변동지수 (planetary K index) 수열 사이의 상관계수(cross correlation coefficient coefficient)는 0.66563이었다. 이것은 지역적 변동지수가 전지구적 변동지수 같은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뜻하며, 지역적 변동지수를 해당 지역의 지자기 변동을 대표하는 값으로 쓸수 있음을 뜻한다.

  • PDF

Measurement of Archaeomagnetic Secular Variation in Korea (한국에 있어서 지자기 영년변화의 측정)

  • 성형미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6 no.2
    • /
    • pp.33-38
    • /
    • 2002
  • 28 direction of the past Korean geomagnetic field were determined by archaeomagnetic measurements of 734 oriented samples, collected from baked earths of remains in the southern Korea. These data cover periods of A.D. 39C, A.D. 1317 and A.D. 15-l6C. It is noted that Korean geomagnetic field data in 5-6C arc similar to those of contemporary Japanese geomagnetic field, but Korean geomagnetic field data in A.D. 3-4C deflect more easterly than contemporary Japanese geomagnetic field. The observed large difference of geomagnetic field direction between Korea and Japan suggests the existence of a prominent local geomagnetic anomaly in the vicinity of Japan and Korea in the period of A.D. 3-4C. An approximate figure of Korean archaeomagnetic secular curve for the periods of A.D. 3-6C and A.D. 7-9C was obtained. This curve is sure to be helpful for Korean archaeology to data the last firing of baked earths accompanied with no relics.

  • PDF

Geomagnetic Disturbances by Steel Skeletons (철골에 의한 지자기 교란)

  • 송승한;이문호;배성호;신현진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11 no.1
    • /
    • pp.32-37
    • /
    • 2001
  • Effects of steel-skeletons on the geomagnetic distribution in building have been studied through the simulation and measurement of geomagnetic distribution at floor surface. Geomagnetic distribution was simulated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and the vertical component Z of geomagnetic field on the floor surface was measured with the fluxgate-type magnetometer. Horizontal steel-skeletons have a little effect on the Z distribution, but vertical skeletons disturb severely the Z distribution and result in the localized geomagnetic disturbance. This disturbance becomes weakened by the bypassing soft-magnetic plate and/or floor.

  • PDF

Geomagnetic Depth Sounding to Investigate the Trend of Electrical Conductivity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지자기 수직 탐사에 의한 한반도 주변의 전기전도도 구조)

  • 오석훈;양준모;이덕기;남재철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5 no.5
    • /
    • pp.437-444
    • /
    • 2002
  • Geomagnetic depth sounding (GD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eep resistivity structure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data that have 0.01 nT precision were collected from 5 geomagnetic observatories and measured every one or five second. In this study, amount of 16 days of geomagnetic data were used for analyzing. Generally the sea affects the GDS data seriously due to its high conductivity. However, though the Korean peninsula is surrounded by seas in three sides, the results given by induction arrow strongly show that the trend of electrical conductivity at neighborhood of the Korean Peninsula is reigned by some geological features. Also it is believed that observation in Jeju island is related with the electrical structure around the East China Sea.

A Magnetic Compass Fault Detection Method on The GPS/INS/Magnetic Compass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GPS/INS/지자기 컴파스 통합 항법 시스템에서의 지자기 컴파스 이상 검출 방법)

  • Park, Sul Gee;Jeong, Ho Cheol;Kishor, Vitalkar;Kim, Jeong Won;Hwang, Dong-H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535-1536
    • /
    • 2008
  • GPS/INS/지자기 컴파스 통합 항법 시스템에서 지자기 컴파스의 이상 검출 방법을 제안하였다. 지자기 컴파스의 이상은 Hard iron과 Soft iron 효과에 의하여 발생하므로 이와 관련된 값을 통합 필터 측정치의 시험 통계치로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효용성을 모의 실험과 차량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On an Apparatus of Visualization for Magnetic Reversal and Magnetic Stripes (자기역전 시각화 장치와 지자기띠에 대하여)

  • Ryoo, Chung-Ryul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1
    • /
    • pp.85-88
    • /
    • 2016
  • The new rocks of the oceanic crust, like basalt, are created in the mid-oceanic ridge, and the magnetic polarities of the rocks are supposed to be oriented as following the Earth's magnetic field. An extensive magnetic survey of total field at sea level reveals mainly unusual north-south magnetic stripes parallel to the axis of the mid-oceanic ridge, especially in the Atlantic Ocean. From this stripes the Earth's magnetic field is considered as repeatedly 'flipped'(the N pole becoming the S pole, and vice versa) and many times over geological time. The discovery of stripes of alternately normal and reversed-magnetized rocks forming the ocean floor has been a key evidence for the sea-floor spreading, continental drift, and plate tectonics. This study introduces a simple apparatus to explain a possible mechanism of the magnetic reversal in the new oceanic crust, which makes a magnetic stripe adjacent to the mid-oceanic ridge. The apparatus shows a bar magnet effect of adjoined stripes to have a special magnetic polarity on the rocks in the center of the mid-oceanic ridge. The new magnetic stripe seems to be generated not only by Earth's magnetic field, but also by neighbored stripes in the mid-oceanic ridge, acting as a bar mag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