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ffect of Port-related Industry on Regional Economy

항만관련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Korea has achieved a remarkable growth by pursuing externally-oriented growth policy since 1960s. That is, we imported raw materials and spare parts, manufactured them into products and exported them, which led to successful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our marine business has played an important roles as one of key industries. The development of marine business has contributed to efficient distribution and cost reduction in addition to production of added value and creation of employment creation, which improved external competitive power. In spite of economic importance of marine business, national perception on it is in general low and its developmental conditions are considerably poo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peculate the effect of Port-related business on regional economy using regional input-output tables.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대외지향적 성장정책을 추구하여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즉 원자재와 부품을 수입하여 이를 제조 가공 수출함으로써 경제발전을 이루었던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항만산업은 대외교역을 뒷받침하는 기간산업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항만산업의 발전은 자체적인 부가가치 생산 및 고용창출효과 이외에도 국민경제 전반의 물류효율화 및 물류비절감에 기여함으로써 대외경쟁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항만산업의 경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국민적 인식은 대체로 낮은 편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항만산업의 발전여건은 상당히 열악한 편이며 특히 우리나라 주요 선사들의 선박확보량을 감축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만관련 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국가의 기반산업을 시장논리로만 접근할 경우 시장실패시치러야할 대가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나라 자체적인 항만산업을 유지하고 발전없이 외국에 의지할 경우, 국가비상시의 수송수단 확보, 외국업체들의 담합에 의한 운임상승, 국내하주들의 안정적인 운송수단 확보 등에 있어서 문제가 야기될 경우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할 수 있다. 정부와 관련업계는 컨테이너 화물 유치를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이고, 적극적인 항만마케팅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부가가치 창출에 힘쓰는가 하면 항만배후지역을 보세구역화하여 수출입물량의 가공, 포장 등을 통해 재수출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승준.유승훈.장정인,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해양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해양정책연구, 제17권 제1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2, pp. 1-31.
  2. 김경수, “강원지역의 지역내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17권 제5호, 한국산업경제학회, 2004, pp. 1727-1753.
  3. 김명호.정분도, “정보통신서비스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8권 제4호, 국제 e-비즈니스학회, 2007, pp. 213-227.
  4. 김안호.기성래, “자동차산업의 경제적 효과분석-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제17권 제4호, 한국산업경제학회, 2004, pp. 1057-1075.
  5. 박종삼, “글로벌 네트워크 환경하의 물류유통시장의 경영전략,” 물류학회지, 제17권 제2호, 한국물류학회, 2007, pp. 85-105.
  6. 주수현.이선영, “부산지역 경제구조 및 산업연관 분석: 2000년 부산지역 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경제연구, 제22권 제1호, 한국경제통상학회, 2004, pp. 179-209.
  7. 주수현.유영명, “전국 및 부산 문화산업의 파급효과 비교분석,” 관광.레저연구, 제18권 제1호(통권 제34호), 한국관광.레져학회, 2006, pp. 195-214.
  8. 오성동.기성래, “해운산업과 관련산업의 경제적 효과분석,” 해운물류연구, 제39호, 한국해운물류학회, 2003, pp. 29-49.
  9. 유승훈.허재용.곽승준, “전파방송산업의 산업파급효과 분석: 투입산출분석을 이용하여,” 한국산업경제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04, pp. 1-29.
  10. 이충기.송덕종.송학준, “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카지노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호텔경영학연구, 제15권 제4호(통권 제34호),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2006, pp. 131-143.
  11. 이태우.장영태.신성호,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운송부문별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의 상호비교분석,” 해운물류연구, 제51호, 한국해운물류학회, 2006, pp. 47-67.
  12. 장영태.이태우.김승곤.이태우,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우리나라 연안 및 내륙수상운송부문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2집 제2호, 한국항만경제학회, 2006, pp. 52-53.
  13. 정기호, “원자력부문 연구개발투자지출의 경제파급효과 산업연관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제14권 제4호, 한국 자원.환경경제학회, 2005, pp. 839-866.
  14. 정봉민.김영삼, “한.중.일 FTA 결성이 해운항만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전략,” 기본연구 2005-04,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5.12.
  15. 정봉민.마문식.이호춘, “해운.항만산업의 국가경제 기여도 분석,” 기본연구 2004-17,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4.12.
  16. 정봉민, “산업연관분석방법에 의한 해운․항만서비스 가격변동의 물가파급효과 추정,” 로지스틱스연구, 제12권 제2호,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04, p. 1-12.
  17. 정영호.서정석, “보건의료서비스산업의 산업연관분석: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제18권 제5호, 한국산업경제학회, 2005, pp. 2041-2065.
  18. 조계석.박용안.전형진, “항만투자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기본연구 2000-08,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0.10.
  19.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2004.
  20. 한국은행, 2003년 지역산업연관표, 2007.
  21. Leontief, W., Environmental repercussions and the economic structure: an input- output approach,"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52, No.3, 1970, pp. 262-271. https://doi.org/10.2307/1926294
  22. http://www.kmi.re.kr
  23. http://www.bok.or.kr
  24. http://www.kc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