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산업연관표

Search Result 5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velopment of Nonsurvey Method of Input-Output Analysis for Production and Attraction Freight Flow Estimation According to Region (지역별 발생집중 화물량 추정을 위한 산업연관분석의 Nonsurvey법 개발에 관한 연구)

  • AN, Sihyoung;IIDA, Katuhiro;MORI, Yasu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1
    • /
    • pp.79-98
    • /
    • 1998
  • 교통계획의 수립은 사람과 화물의 이동상태에 대한 파악으로부터 시작되며 화물이동상태를 파악 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는 지역별 발생집중 화물량일 것이다. 이러한 지역별 발생집중 화물량의 추계방법중 추계의 간편성과 경제상황변화의 반영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최근 학자들의 상당한 주목 을 받으며 연구되고 있는 것이 산업연관분석을 응용한 물류해석방법이다. 그러나 이방법은 대상지역의 산업연관표를 기본 data로 하기 때문에 해당지역의 산업연관표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그 적용범위가 제한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되고 있는 방법이 Nonsurvey법이다. Nonsurvey법은 대 지역의 산업연관표로부터 그 지역에 포함된 소지역의 산업연관표를 여러 가지 보조적인 데이터를 이용해 서 간접적으로 추계하는 방법이다. 본연구에서는 이러한 Nonsurvey법의 하나로서 대지역의 산업연관표 와 지역분해된 각 소지역의 산업부문별 생산량만을 이용해서 각 소지역의 발생집중화물량을 추계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그리고 일본의 긴키(Kinki)지역과 이에 속하는 4부현을 대상으로 본연구의 방법으로 추계된 이출입양과 실제의 산업연관표상의 이출입량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본 연구의 방법에 대한 검증을 실시했다. 본 연구에서 제아한 지역별 발생집중 화물량 추계방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지역내 각 소지역간의 이출입량이 분기계수라고 하는 산업관계표의 산업관계표의 행방향의 합에 대한 비율을 사용함으로서 간단히 추계가능 하다. 둘째, 추계된 소지역의 산업관계표는 대지역에 대한 시스템전체의 정합성이 유지된다. 셋째 분해되는 소지역의 수에 관계없이 각소지역의 이출입양에 대한 추계가 가능하다.

  • PDF

The Economic Impacts of Water Supply Constraints During a Drought Using Intra-Regional Input Output Analysis (가뭄의 경제적 파급효과: 지역산업연관표을 이용하여)

  • Park, Doo-Ho;Choi, Ha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481-486
    • /
    • 2007
  • 물 공급 지장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은행이 2007년 발간한 2003년 지역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하였다. 특히 가뭄의 발생은 지역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지역에 따라 피해도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우선적으로 배분해야할 각 산업의 순위도 지역별로 달라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전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물 공급의 지장비용을 분석하였을 때보다 구체적으로 효율적인 물 배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것이다. 특히 기존에는 지역별 물 공급 지장 비용을 계측하기 위하여 주로 전국산업연관표 이용하여 각 지역별 산업연관표를 간접 추계하여 사용하였다. 이 방식은 방법론에 따른 오차 존재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신뢰도가 결여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국은행의 2003년 실측(survey-based method)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기존 연구보다 신뢰성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추정결과, 우리나라 수도산업의 특징은 지역내 파급 효과가 지역간 파급 효과보다 큰 자급자족형 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후방연쇄효과도 거의 모든 지역에서 1이상으로 나타났고 후방연쇄효과가 가장 큰 지역은 경남지역으로 나타났다. 서울권과 경남권에서 만 원어치만큼 물 공급되지 않을 경우 해당 지역의 산업에 각각 130만 원과 57만 원의 피해 비용이 발생한다.

  • PDF

Development and Use of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 under the Limited Information: A case of Korea (정보가 제약된 조건하에서 지역관 산업연관표의 작성과 그 응용 - 한국의 경우 -)

  • Ko, Suk-Nam;Kwack, Chul-H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8 no.4
    • /
    • pp.480-49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 for multi-regions using non-survey methods. Despite of wide use of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 there have been continuing debates with respect to it's accuracy mostly when it is constructed by non-survey method. The best ideal one is to construct through real survey, while we must pay much time and cost. With regard to this concern, Hulu and Hewings developed a step by step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interregional input coefficients for the Indonesian economy which might be a challenge for the limitation of location quotient method, for which Round pointed out earlier. A five regions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 for Korea is developed in this study by expanding Location Quotient method. Some development was made, howev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llection of data and the assumption in treating the interregional flows. Finally, a comparison was made for the accuracy of input coefficients between the real surveyed and derived ones.

  • PDF

Industry Analysis of Chungchong area Using Regional Inter-Industry Table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충청지역 산업분석)

  • Lim, Eung-Soon;Jung, Kun-Oh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6
    • /
    • pp.1361-1368
    • /
    • 2009
  •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investment priorities and select industry for regional economic reinvigorating by analysing regional inter-industry of Chungchong area(including Chungnam and Chungbuk region) After the regional inter-industry table of Chungchong area has been made using a location quotient(LQ) method based on national inter-industry table of 2006 derived from national inter-industry table of 2003 using RAS method, various kind of impacts to Chungchong area are analysed. Manufacturing has the highest result in the result of production-inducing effect and value-added-inducing effect and hotels and restaurants has the highest result in employ-inducing effect. Sensitivity coefficient is highly analysed in mining and quarrying and influential coefficient is highly analysed in manufacturing.

Analysis of the Interregional Trade and Industrial Linkage in Incheon (인천경제의 지역간 교역구조와 산업연관분석)

  • Yun, Kap-Sik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1 no.1
    • /
    • pp.45-58
    • /
    • 2008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terregional trade and industrial linkage between the Incheon regional economy and the rest of the nation. An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 developed by the Bank of Korea's Incheon branch(2007) was employed for this. The analysis of interregional trade shows that Incheon regional economy is strongly interrelated with Seoul and Gyeonggi regional economies. The Incheon's interregional relationship with other regions was analyzed in terms of output dependency rate, output inducement rate, backward linkage, and forward linka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the output of Incheon is more dependent on final demands in Seoul and Gyeonggi, changes of the final demand in Incheon cause more output in the rest of nation than that in Seoul and Gyeonggi. Also, while Incheon's backward linkage to Seoul and Gyeonggi is weaker than that to the rest of nation, Incheon's forward linkage to Seoul and Gyeonggi is stronger than that to the rest of nation.

  • PDF

A Study on Induced Effect Estimation of Aggregate and Stone Sector with Ritz-Spaulding Multipliers (공급승수를 이용한 골재산업의 유발효과 추정 연구)

  • Dongho Jeong;Ji Whan Kim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7 no.2
    • /
    • pp.129-141
    • /
    • 2024
  • This study derived production-production multipliers using a regional input-output table and estimated the induced effect of aggregates through the non-metallic minerals sector and the concrete products sector. In deriving the induced effect of aggregates, it is difficult to use the regional input-output table due to the sector classification problem. This study analyzed the non-metallic mineral sector, including aggregates, as aggregates sector, and the concrete products sector, which uses most of the aggregate production. By analyzing this, we attempted to alleviate difficulties caused by sector classification restrictions. In the process of estimating the induced effect, it was assumed that there was a decrease in aggregate production, an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concrete products sector, the effect of the decrease in concrete product production due to the decrease in aggregate production, that is, the decrease in production of one unit of aggregate was 0.8511 in the concrete product sector.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remise of a decrease in unit production. Inducing effects within and between regions were calculated for the 17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classified by the regional input-output table. The employment effect was also calculated, assuming a 10% production decrease to show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ggregate and concrete product sectors in each region.

Assessing the Impact of Typhoon 'CHAB' on the National Economy (태풍 '차바'가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평가)

  • Choi, Chang Hyun;Kim, Jong Sung;Kim, Dong Hyun;Kim, Soo J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21-121
    • /
    • 2017
  • 기후변화와 급격한 도시화로 재난 피해의 규모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전 세계적으로 대형 재난으로 인해 심각한 경제적 손실과 수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재난 발생으로 인한 피해는 발생지역의 피해액과 복구비뿐만 아니라 산업 및 국가 경제 전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최근 태풍 '차바'와 극심한 가뭄 등의 재난 발생으로 인해 국가 경제가 전반적으로 위축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우리는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재난이 타지역으로 파급되어 국가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대략적인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모형과 한국은행에서 발간하는 지역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태풍 '차바'의 발생으로 인한 울산지역의 피해가 타지역으로 전파되는 영향을 평가하였고, 울산 지역에서 발생한 태풍 '차바'의 피해가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대규모 재난발생이 주변지역으로 파급되는 특성을 파악하고,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재난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시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zing the economic impact of leading industry R&D for an economic region with regional input-output tables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한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R&D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Kim, Jin-Ho;Choi, Seung-I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6
    • /
    • pp.2514-2519
    • /
    • 2012
  • The policy objective of leading industries for an economic region is to increase industrial competitiveness by regional cooperation and linkage and so the economic impact analysis of R&D by region is required. This research utilizes regional input-output tables of the Bank of Korea to analyze the economic impact of 'next-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project in 'New IT' sector of Chungcheong economic region.

Analyzing the economic impact of leading industry R&D for economic region with regional input-ouput tables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한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R&D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Choi, Seung-Il;Kim, Jin-H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a
    • /
    • pp.37-39
    • /
    • 2011
  •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은 지역 간 협력 및 연계를 통해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정책 목표로 하고 있어 R&D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권역별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중 'New IT' 분야 '차세대무선통신 단말기 부품소재 글로벌 경재력 강화' 프로젝트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

The Economic Impacts of Water Supply Constraints During a Drought Using input-output Analysis (가뭄시 용수공급지장으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Choe, Jang-Hwan;Heo, Eun-Nyeong;Sim, Myeong-P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5
    • /
    • pp.647-65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forward impact of water supply bottleneck using a supply-side input-output model. The failure cost analy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imate the values of the water supply reliability and can provide the bases of policy decision for the effective reallocation when water supply constraint will occur. So the position of water supply in the national economy is identified, and direct and indirect impacts are estimated by means of the interindustry analysis. Also the failure cost index is suggested to determine the prior order of water supply important in drought. By the way, the occurrence of drought having regional properties, the failure cost of the regional level using a national input-output table may be overestimated or underestimated. For the preceding reason, the failure cost estimated by a national input-output table is compared with and analysed to a regional input-output table for Kyung- Nam.g- Na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