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mpetitive Power and Effective Distribution Structure of Korean Fisheries

우리나라 수산업의 경쟁력 분석 및 유통구조 선진화 방안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study analyses the current status of trade in Korean fisheries and competitive power in export to China in the era of actual open-door policy, aiming to figure out problems in distribution Structure of fisheries and suggest direc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in this area. Political efforts have been consistently made to change distribution system of our fisheries into low-cost and high-efficiency system, but continuous contradictions occur in actual distribution. In this reality, we need a new perspective to reorganize distribution markets according to real conditions. To improve distribution Structures for fisheries, political focus should be given on reorganization of the entire structure. And to develop political directions for fisheries, we should evaluate its competitive powers and based on the results, we should develop efficient measures to use limited political resources.

본 연구는 본격적인 개방시대에 즈음하여 우리나라 수산업의 교역 현황과 수산업의 수출입 비중이 높은 대중국 수산업 경쟁력 분석을 실시하고, 수산물 유통구조의 문제점 및 수산업 발전을 위한 선진화 방안을 도출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의 수산업 유통체계를 저비용 고효율 체제로 개선하기 위해서 정책적 노력은 정부차원에서 계속되고 있으나 수산물 유통현장에서는 아직도 많은 모순들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수산물 유통시장을 현실에 맞게 재편하려는 새로운 시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소비지 도매시장의 거래제도가 수산물 유통의 전부는 아니라는 것이다. 오히려 수산물 유통구조를 개선하려는 정책적 포커스가 유통시장(산지위판장, 소비지 도매시장 등)의 전체구조를 재편하려는 부분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또한 개방화 시대에 우리나라 수산업의 정책 방향 마련을 위해서는 수산업의 경쟁 력 등을 비교 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근거로 제한된 정책자원을 선택과 집중으로 효율적으로 투입하기 위해서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수.우지효, "한.중.일 수산물부문에 있어 한국의 경쟁력 수준과 수출전략품목 분석에 관한 연구," 수산경영논집, 제38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7, pp. 1-24.
  2. 김명호,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생산성논집, 제15권 제3호, 한국생산성학회, 2000, pp. 95-115.
  3. 김삼곤, “우리나라 수산업의 산업적 분류에 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08, pp. 23-35.
  4. 김청열, “수산물 물적유통합리화 방안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제10권 제2호, 한국물류학회, 2000, pp. 55-73.
  5. 마문식,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과 영어조합법인의 역할,” 월간 해양수산, 통권 제177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pp. 10-24.
  6. 마임영.오순택, "일본시장에서의 수산물 수출경쟁력 분석," 월간 해양수산, 제202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1, pp. 1-16.
  7. 모수원.심재희, “한국 농산물의 대중 경쟁력,” 산업경제연구, 제22권 제2호,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pp. 621-635.
  8. 박영병, “한,중 어업협정 이후 한,중 수산업의 변화에 관한 연구,” 수산경영논집, 제38권 제1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7, pp. 71-90.
  9. 송계의.김청열, “ 부산 대형할인점의 수산물 유통실태 및 구조 효율화,”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집 제2호, 한국항만경제학회, 2009, pp. 129-148.
  10. 송계의.한철환, “부산수산물의 유통실태와 동향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제18권 제2 호, 한국물류학회, 2008, pp. 105-129.
  11. 신현수.이원복, 한.중.일 제조업 경쟁력의 비교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산업연구원, 2003.
  12. 양평섭외 5, “한.중 교역 특성과 한.중 FTA에 대한 시사점,” 연구보고서 07-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
  13. 이강우, “수산물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 수산경영논집, 제31권 제1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0, pp. 33-54.
  14. 이남수, “식품소비의 트랜드와 수산물 소비활성화 방안,” 월간 해양수산, 통권 제265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pp. 26-42.
  15. 장영수, “국내시장에서의 중국 수산물 경쟁력 분석,” 수산경영논집, 제36권 제1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5, pp. 169-191.
  16. 장영수.박광호, “수산물 도매시장의 유통정보화 구축 효과,” 식품유통연구, 제22권 제1호, 한국식품유통학회, 2005, pp. 29-58.
  17. 주문배.엄선희.정갑용.정명화, 한.중.일 수산업의 경쟁력 분석과 시장개방 대응방 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4.
  18. 주문배, “수산물 유통개혁, 또 하나의 관점,” 월간 해양수산, 통권 제253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5, pp. 1-3.
  19. 차중곤, “한.중, 한.러 수산물 수출입구조 비교분석을 통한 교역 활성화 방안, 국제상학, 제22권 제3호, 한국국제상학회, 2007, pp. 221-251.
  20. 홍현표.김정봉.주문배.정명생.김대영, 한.중.일 수산업의 실태분석 및 수산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7.
  21. 홍현표.이헌동.마창모.백은영, 한.중.일 수산업의 산업경쟁력 분석 및 정책 방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8.
  22. Balassa, B., "Trade Libralization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The Manchester School of Economic and Social Studies, Vol.33, No.2, 1965, pp. 99-123. https://doi.org/10.1111/j.1467-9957.1965.tb00050.x
  23. http://www.kita.net
  24. http://www.km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