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igures of ‘Crow’ in Lee Mun gu’s Novel and Gogh’s Painting - From the viewpoint of Saseol-Sijo aesthetics -

이문구 소설과 고흐 그림에 나타난 ‘까마귀’의 형상성 - 사설시조 미학의 관점으로 -

  • Published : 20090000

Abstract

‘Configuration’ is an essential technique not only in poem writing butalso in painting. Like Goethe’s saying “Word and figure are alwaysinterrelated, looking for each other, and from ancient times, what isspoken or sung into the ear is at the same time shown to the eye,” if apainting is drawn like a poem or a poem is written like a painting, themessage of the work is conveyed more realistically and gives a hardlyforgettable impression to the appreciator.Saseol-Sijo is a kind of poem that constructs ‘various stories ofhuman living’ by selecting subject matters from real life. This alsomeans that whereas those Saseol-Sijo’s containing stories in them are‘like’ Saseol-Sijo’s, those with poor stories are ‘unlike’ Saseol-Sijo’s.‘Stories’ can be ‘novels’ on the other hand.Whatever genre it is of, a work cannot be interpreted completely orproperly by the method of ‘literary appreciation’ alone or ‘artisticappreciation’ alon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ther expressionmedia are borrowed. This idea was activated particularly during theearly 20thcentury in the history of art development, and it is thephenomenon of media interchange. The exchange and transfer ofindividual media and combination with neighboring media expandamusement space that creates and enjoys arts. Like ancient Homer’sepics or Greek arts were understood based on the concept of generalfiguration, today’s representative element showing the unity and contactof literature and art may be rhetoric allegory, which means referencestructure combining text and figure, matter and meaning, and symbolism and historicity.The symbol ‘crow’ used as a figure of non mainstream humans inLee Mun gu’s novel Looking for Deodeodae that is restructured intopoems(Saseol-Sijos), and the self portrait like sign ‘crow’ fillingGogh’s last painting Wheat Field with Crows, can we not group thetwo ultimately into art works of the same tendency? How aboutrestructuring the novel and the painting into poems(Sijos) by addingsome rhythm? It is considered not impossible to find the tendency ofsymbol ‘crow’ suggested in each of the two works.From the aspect of communication and conveyance, strict distinctionamong art styles and genres cannot help reaching its limitation. It isbecause poetry(word) and painting(figure) are in a mutuallycomplementary dynamic relation and in a coexisting or competingrelation with each other. However, “a painting is a wordless poem, anda poem is a spoken painting.” Considering that it is a multicultural ageand the age of fusion art, this point of argument has a large room to bediscussed with high sympathy.

‘형상화’는 시작법(詩作)에서는 물론, 화법(畵法)에서도 필연적 기법에 해당한다. “말과 형상은 비유에서 충분히 알 수 있듯 언제나 서로 찾는 상관성이다. 예로부터 귀의 내면에 말해지거나 노래되어진 것은 동시에 눈에도 보여 진다.”라는 괴테의 말처럼, 그림을 시처럼 그려 보이거나 시를 그림같이 지어 보이면 작품의 메시지가 한층 실감나게 전달되므로 감상자에게 좀처럼 지워지지 않는 감동을 주게 될 수 있다. 사설시조는 현실적인 삶 속에서 제재를 선택하여 ‘사람 사는 다양한 이야기’를 엮어가는 시(詩)다. 이야기가 내재한 사설시조는 ‘다운’ 사설시조이고 이야기가 부실한 사설시조는 ‘답지 않은’ 사설시조라는 말이기도 하다. ‘이야기’라는 것은 한편 ‘소설’을 말함이다. 시(사설시조)로 재구성되는 이문구 소설 「더더대를 찾아서」에서 비주류 인간의 비유로 사용된 ‘까마귀’라는 기호, 고흐 그림 「까마귀가 나는 보리밭」에서 마치 자화상과도 같이 그의 마지막 화판을 메운 ‘까마귀’라는 기호, 이 둘을 궁극적으로 같은 성향의 예술작품으로 묶을 수도 있지 않을까. 이 소설과 이 그림에 어떤 리듬을 첨가하여 시(시조)로 재구성해본다면 어떨까. 둘이 제시하는 ‘까마귀’라는 기호가 각각 어떤 성향을 지니는가를 찾아내는 일이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본다. 어떤 장르의 작품이든, 그 작품을 완전히, 또는 제대로 읽어내려면 장르 구분한 ‘문학적으로만 인식하기, 미술적으로만 인식하기’ 방법으로서는 해석이 불완전하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자연히 다른 표현매체를 차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의식은 예술발전사에서 특히 20세기 초반 이후 활성화된 것으로, 매체교환의 현상이 그것이다. 개별 매체의 상호 교환 및 전이와 이웃매체와의 결합은 예술생산과 수용의 유희공간을 확대한다. 고대에서 호머의 서사시나 그리스 미술이 종합적인 비유의 개념에서 파악된 것처럼, 현대에서도 문학과 미술의 통일과 접합점을 보여주는 대표적 요소는 텍스트와 형상, 질료성과 의미, 기호성과 역사성이 합쳐지는 지시구조를 뜻하는 이름인 수사학의 알레고리일 수 있기 때문이다. 소통과 전달의 면에서 볼 때 예술형식과 장르의 지나친 구분은 각각 그 한계에 부딪치기 마련이다. 시(말)와 그림(형상)은 상호보완의 역학관계이며, 공생, 또는 경쟁관계이기 때문이다. 그 둘을 놓고 세부적으로 비교할 때, 둘 사이에는 동질적 접합성이 있는지 없는지, 이질적 거리감이 있을 수밖에 없는지에 대한 견해와 논란이 대두된다. 그러나 “그림은 말없는 시, 시는 말하는 그림이다.” 지금이 다문화시대이고 퓨전예술시대라는 차원에서 감안한다면 이 논지는 충분한 공감대에서 검토될 여지를 지니는 셈이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