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esthetic Bridge Design using Creative Thinking

창의적 사고력을 이용한 미학적 교량 설계

  • Received : 2009.01.20
  • Accepted : 2009.04.20
  • Published : 2009.05.31

Abstract

Bridge design is a problem-solving process whose level of design quality strongly depends on how to relate design constraints with feasibile design objectives in conceptual design stage. This paper has focused on how to create bridge shapes using creativity toward better looking bridge appearances in conceptual design stage. The term creativity in this study does not refer to the creation of something from nothing but to the reorganization of existing concepts. Such creativity includes not only enlarging the number of structural forms which is establish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 and statics but also combining bridge design with artistic components like an architectural style. Also,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usefulness of graphic statics as a structural analysis tool showing the analysis results visually to generate bridge forms in conceptual design stage.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way of generating bridge forms in this study to be used not only for practical purpose but also for educational purpose regarding the aesthetic bridge design serving as a new education paradigm.

교량설계문제란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해를 찾아가는 과정이며, 설계결과의 질적 수준은 개념적 설계단계에서 문제의 제약적 조건을 어떻게 합리적 설계대안으로 연계시키는지에 따라서 현저히 달라진다. 이 논문에서는 아름다운 교량형태를 위해서 창의적 사고력을 이용하여 정성적 교량설계 대안을 생성하는 개념적 설계를 위한 교량형태 생성방법에 주안점을 둔다. 이 연구에서 창의력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개념들의 재구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창의력은 역학적 힘과 형태와의 관계를 토대로 이루어지는 구조시스템의 생성질서를 확장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건축양식과 같은 예술적 요소를 교량설계와 접목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개념적 설계단계에서 교량형태 생성과정에 시각적 구조해석 결과를 보여주는 정력학적 도해법이 매우 효율적임을 살펴본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교량형태 생성방법은 실무자들에게뿐만 아니라 미학적 교량설계 교육에 대한 새로운 교육모델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희, 고현무(2005) 고대 교량에 나타난 미학적 개념: 교량 미학의 뿌리를 찾아서,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6A호, pp. 1061-1069.
  2. 김남희, 고현무(2005) 교량설계와 황금률,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3. 김남희, 고현무(2006) 미학적 교량설계를 위한 문맥적 접근법,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4. 김남희, 고현무(2007) 교량의 색채설계에 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5. 김남희, 고현무(2007) 아름다운 교량형태를 위한 미학적 설계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4A호, pp. 535-546.
  6. 김남희, 고현무(2008) 아름다운 교량설계: 교량조형 설계원리, KBRC TRS 009, 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 서울대학교.
  7. Allen, E. and Zalewski, W. (1998) Shaping Structures: Statics, Wiley, John & Sons, Incorporated.
  8. Billingtion, D.P. (2003) The art of structural design a swiss legacy, 1st ed. Vol. 1.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Art Museum.
  9. Honigmann, C. and Billington, D.P. (2003) Conceptual design for the sunniberg bridge, ASCE Journal of Bridge Engineering, Vol. 8, No. 3, May 1.
  10. Dym, C.L., Agogino, A.M., Eris, O., Frey, D.D., and Leifer, L.J. (2005) Engineering design thinking,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11. Frederick Gottemoeller. Bridgescape: The Art ofDesigning Bridge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USA.
  12. Schlaich, Mike (2006) Challenges in education-conceptual and structural design, Proceedings of IABSE 2006 Annual Meetings and Symposium, Budapest, Hungary.
  13. Smoley, C.K. (1906) Graphic Statics and Bridge Trusses, International Textbook Company, Scranton, PA.
  14. Strickland, Carol (2007) Annotated Arch: A Crash Course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Andrews Mcmeel Pub.
  15. Tzonis, A. (1999) Santiago Calatrava: The Poetics of Movement, Universe.
  16. Tzonis, A. and Lefaivre, L. (2001) Santiago Calatrava’s Creative Process: Sketchbook, Birkhauser.
  17. 彩山和雄 (2004) “橋의 造型學”, 朝倉書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