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iffened Effect of Knee Brace of Cross-Beam in Steel Box-girder Bridges

강박스거더교 가로보 니브레이스(Knee Brace)의 보강효과

  • 길흥배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장갑철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강상규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이일근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Received : 2009.01.30
  • Accepted : 2009.03.09
  • Published : 2009.05.31

Abstract

Recently, a knee brace is usually installed in connection between cross-beam and main-girder of steel box-girder bridges. The knee brace is installed as a structural stiffener and mainly aims to relieve stress at joints and to prevent main-girder from lateral deformation. However, research on the knee brace is insufficient to obviously evaluate the necessity. The stiffened effect of knee brace is determined by using finite element analyses. Stress distribution, stress level of members and deflection of the cross-beam are evaluated by parametric FE analysis for the installation of knee brace and the depth ratio of cross-beam/steel box girder. It is seen from comparison of numerical analysis results that the knee brace installed in cross-beam of steel boxgirders bridges is not efficient as a structural stiffener with respect to stress relief and stiffened effect.

최근 강박스거더교량 가로보와 박스거더 연결부에 니브레이스(Knee-brace) 설치가 일반화 되어있다. 니브레이스는 가로보-박스거더 연결부의 응력완화 및 횡변형 방지를 목적으로 설치되는 보강재나, 구조적 보강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니브레이스의 보강효과를 검토하였다. 가로보-박스거더 높이비와 니브레이스 유무를 변수로한 구조해석을 통하여 부재별 응력흐름, 응력수준과 가로보 처짐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수치해석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니브레이스의 보강효과를 평가하였다. 유한요소해석 결과는 니브레이스가 박스거더-가로보 연결부의 보강재로서 응력완화 및 구조적 보강효과가 매우 낮음을 보이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6) 강도로교 상세부설계지침.
  2. 길흥배, 강상규, 조준상(2008) 강박스거더교 가로보와 세로보 합리화 연구,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0권 1호, pp. 1-8.
  3. 배준성, 이두성, 이성철(2006) 후좌굴강도를 고려한 플레이트거더 복부판의 중간수직보강재 소요강성에 관한 연구, 2006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대한토목학회, pp. 2244-2247.
  4. 윤동용, 이성철(2005a) 강박스 거더교 가로보와 활하중 횡분배,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4A호, pp. 593-599.
  5. 윤동용, 이성철(2005b) 직선 강박스거더 교량 중간다이아프램의 설치 간격,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2A호, pp. 421-428.
  6. 윤동용, 안성현, 이성철(2006) 강박스거더 교량의 프레임 형식 중간다이아프램의 설계,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8권 5호, pp. 515-523.
  7. 이두성, 이성철(2008) 강곡선 플레이트거더 복부판의 전단좌굴계수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3A호, pp. 367-373.
  8. 한국도로공사(2004) 강도로교 설계합리화 방안.
  9.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2008) 강재 박스거더교의 부재 설계 개선 연구, 2007년도 연구보고서.
  10. 한국도로교통협회(2005) 도로교설계기준.
  11. ABAQUS/Standard (2002) Theory Manual version 6.2, Hibbit, Karlsson & Sorensen. Inc.
  12. 日本道路協會 (1980) 鋼道路橋設計便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