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Enlargement and economic environmental change of Russia and Eastern Europe - From asymmetry and subsidiarity paradigm in industrial cooperative paradigm

EU의 동방확대에 따른 동유럽·러시아간의 경제 환경 변화 - 비대칭성 및 보완성 패러다임에서 산업협력 패러다임으로

  • Kim, Sang Won (Institute of Russian Studies, Hankuk Univ. of Foreign Studies)
  • 김상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 Received : 2009.02.28
  • Accepted : 2009.04.10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e two waves of EU enlargement in 2004 and 2007, have been milestones of European integration. Whi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to the impact of these events on both the European and the global economies,1 there have been few attempts to assess the effects of EU enlargement and the introduction of the euro on countries such as Russia, which neighbour the EU but currently have no perspective of accession.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 assessment of the effects that EU enlargement and the introduction of the euro have had on Russia, the largest country neighbouring the EU.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rade and investment links between the EU and Russia, as well as the use of the energy by Russian residents and authorities. Economic links between Russia and the EU are found to have strengthened considerably in the areas of trade, investment and other financial flows in recent years. Strong growth, particularly in Russia, as well as the high price of oil and gas, Russia's major export items, has facilitated this expansion of trade and finance. Moreover, available data do not suggest that EU enlargement has had a negative impact on Russia in terms of trade or investment diversion. Thus, the strategic partnership between Russia and the EU has been increasingly underpinned by an expansion of cross-border economic activities. Thus, the paper contributes to two broad strands of literature on this subject, namely the impact of regional trade and economic arrangements on non-member countries and the international role of currencies.

EU의 동방확대가 동유럽 국가들에 가져온 경제적 효과는 긍정적이지만, 동유럽의 경제규모는 EU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아직 미미한 편이다. 또한 동방확대에 의해서 경제적·사회적 불균형이 확대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동유럽의 EU 가입은 대외무역 활성화와 외국인 직접투자와 기술 이전에 의한 생산성 향상 그리고 경제개혁 진전 등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희망적이다. EU의 동방확대에 따른 경제 환경 변화는 러시아와 동유럽의 경제협력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형성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러시아와 동유럽 양자 경제교류 현실의 특징은 비대칭성이다. 현실을 반영한 보완성 패러다임 - 에너지·원료와 고부가 가치 제품의 교환 - 형성이 필요하다. 동유럽은 러시아의 일차상품에 의존한 렌트 경제인 상태이기에, 이러한 불안정성은 오히려 EU 경제에 손해를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무역을 통한 경제구조의 고도화를 가능하게 하는 산업 협력 패러다임에 - 산업의 분업화에 의한 수평무역, 위탁 가공 등 - 근거한 공통경제 공간 만들기가 필요하다. EU 확대에 따른 러시아와 동유럽의 대외무역과 외국인 직접투자 환경의 변화는 산업 협력을 촉진해 새로운 경제협력 체제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국제경제의 현 추세가 글로벌화와 지역화 경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러시아와 EU 간의 새로운 경제협력 패러다임 구상은 중요한 문제이다. CIS 서부지역 및 에너지 안전 보장 그리고 칼리닌그라드와 경제협력 등의 지역협력 키워드가 존재하기 때문에 산업협력 패러다임을 통한 경제협력 체제 구축이 가능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7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KRF-2007-327-B00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