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ternative Evaluation Model i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Residential Land

택지개발사업의 환경친화적 대안평가모형 구축

  • 정인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정보연구실) ;
  • 이찬식 (인천대학교 건축공학과)
  • Published : 2009.01.31

Abstract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rojects are tending upwards recently. However, an indiscreet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has tended to damage environment by destroying existing green lands and trees of target lands and generating many cut slopes with transformation of its topography. There are Prior Environmental Review(PER) for district designation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before approval on development plans. PER is implemented after developing a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lan and EIA is implemented after completing a detail design. As the result, many of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rojects are passive to reduce potential environmental problems on the designated sites.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 evaluation system on alternatives in the early step of site designation for implementing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rojects with environment-friendly and sustainable way. For this, alternative evaluation model is constructed by using Fuzzy Inference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method based on Environmental Evaluation Factors of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roject, which are proposed in the precedent research. If a decision maker evaluates environment damage by ten-point method, the point is transformed Environmental Performance(EP) by Fuzzy Inference, and then, applying weight that is already calculated by AHP method, Total Environmental Performance(TEP) is calculated. After all, an alternative with the highest TEP is selected as the best one. Using this evaluation system, more than two alternatives of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roject site, which can hold location appropriateness in the early under undecided land use plan, can be evaluated quantitatively. As environmental damages, which can be generated by implementing a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roject, can be detected in the early step, environmental damages can be removed or reduced at the source.

최근 들어 택지개발사업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무분별한 택지개발은 개발대상 부지의 기존 녹지나 수목을 훼손시키게 되며 지형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와 절개지가 발생하게 하는 등 환경을 많이 훼손하고 있다. 택지개발 등 개발사업을 시행할 때 지구지정시 수행하는 사전환경성검토제도와 개발계획의 승인전 협의를 하게 되어 있는 환경영향평가제도가 있다. 사전환경성검토는 택지개발계획 수립 후에 시행하며 환경영향평가는 실시설계 완료 후에 수행하기 때문에 선정된 택지개발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문제에 대한 저감방안 강구 등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대처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의 목적은 초기 입지선정단계에서 택지개발사업을 환경친화적으로 지속가능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대안평가모형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택지개발사업의 환경평가요인을 바탕으로 퍼지추론과 AHP기법을 이용하여 대안평가 모형을 구축하였다. 의사결정자가 각 대안의 환경훼손도를 10점 척도법에 의해 평가하면 퍼지추론에 의해 환경성능(EP: Environmental Performance)으로 변환하고, AHP기법에 의해 미리 산정된 항목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통합환경성능(TEP: Total Environmental Performance)을 산정한다. 통합환경성능이 가장 높은 대안이 최적안으로 선택된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방법을 적용하면 토지이용계획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두 가지 이상의 택지개발 예정지역 대안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택지개발 사업시행으로 발생할 수 있는 환경훼손을 초기 입지단계에서 확인하여 환경오염을 원천적으로 제거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대홍 (2003). 택지개발 사전환경성검토의 환경성평가항목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영민 (2002). 철근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의 퍼지기반 상태평가. 서울대학교대학원 건축학과 박사학위논문
  3. 김지혜, 김재문, 차희성, 신동우 (2006).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행위 평가 툴 개발 : 1단계-폐기물 관리행위 요인 및 평가 툴 개념 구축.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7권 제6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12-120
  4. 정인수 (2007). 퍼지추론과 AHP기법을 이용한 택지개발 사업의 환경친화적 대안평가 방법론. 인천대학교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5. 정인수, 이찬식 (2008). 국내 택지개발사업의 입지선정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환경평가요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4, n8, 대한건축학회
  6. 황지선, 이찬식 (2004). 퍼지이론을 이용한 초기 건설공사의 리스크 관리 방법.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5권 제2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36-143
  7. 국가청렴위원회 (2007). 공공택지 개발사업의 공정성.투명성 제고방안
  8. CII (1986). Evaluation of Design Effectiveness, The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USA)
  9. Jung, I. S., Choi, J. G., and Lee, C. S. (2007). Establishment of an Assessment System for Environment-friendly Performance of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roject. 27th Annual Conferenc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Impact Assessment, p. 57
  10. Jung, I. S., Park, H. S., and Lee, C. S. (2007). Checklist for Environmental friendly Construction Management in Design Phas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E&M, 1-2 MAR 2007, p. 84
  11. Klir, G. J. and Folger, T. A. (1988). Fuzzy Sets, Uncertainty, and Information.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ew Jersey
  12. Saa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13. Zadeh, L. A. (1975). The concept of a linguistic variable and its application to approximate reasoning-I.. Inf. Sci. (N.Y.), 8, pp. 199-249 https://doi.org/10.1016/0020-0255(75)900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