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Model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Schema for Reading Education in School Libraries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에서 스키마 활성화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e research is intended to establish the importance of background knowledge in reading process and suggest a revitalization plan for the schema for reading education. The reading process as fundamental research and the schema conception have been studied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reading education in the school libraries has been inspected. This research reviewed the reading strategies which school libraries require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schema and based on this data, a method of SQ3R reading has been applied and a class model developed. As an outcome, a guidance plan for instruction was proposed and learning-activity materials applying graphic organizer have been produced. Subsequently, a class in school library was conducted. Following the outcome of the class and an expert's review of the class model, this research has developed a class model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schema for reading education in school libraries.

본 연구는 독서과정에서 배경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에서 스키마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초연구로서 독서의 과정과 스키마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학교도서관 독서교육의 현황을 점검해 보았다. 스키마 활성화를 위해 학교도서관에서 필요한 독서전략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SQ3R독서법을 적용하여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수업지도안을 설계하고 그래픽조직자를 활용한 학습 활동지를 제작하여 학교도서관에서 수업을 실시하였다. 전문가 검토의 결과를 수업모형에 반영하여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에서 스키마 활성화를 위한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상북도교육청. 2007. 교원능력개발평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구미]: 교원연수자료.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학교도서관운영편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교육인적자원부. 2008.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2)국어.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4. 교육인적자원부. 2007. 교원능력개발평가, 더 나은 교육을 위한 출발입니다.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5. 김소현. 2007. 독서지도 과정에서의 스키마 활성화를 위한 ICT 활용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6. 김현정. 1994. 읽기교육에서 스키마 활성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 국어교육전공.
  7. 노명완. 1987. 이해, 학습, 기억: 독서과정에 관한 인지심리학적 연구분석. 한국교육, 14(2): 29-55.
  8. 문희영. 2000. 스키마 활성화를 통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한국학.
  9. 변우열, 이병기. 2006.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4): 111-141.
  10. 손영은. 2006. 스키마 활성화를 통한 독서지도 방안 연구: 황순원의 소나기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11. 손정표. 2001. 신독서지도방법론. 서울: 태일사.
  12. 송기호. 2006. 학교도서관 교육의 실제.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3. 송기호. 2008. DLS기반 통합 정보활용교육프로그램 개발. [서울]: 영신고등학교
  14. 송기호, 이승길, 이상훈, 이수정. 2005. 독서를 통한 정보활용능력 가이드 개발: 초등학생용. 서울: (사)국민독서문화진흥회.
  15. 여금령. 2002. 스키마 활성화를 통한 읽기 지도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16. 이금희. 1989. 질문 자료의 삽입 위치와 질문 유형에 따른 학습 자료의 활용 효과.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전공.
  17. 이병기. 2008.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을 위한 독서전략 범주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9(3): 139-159.
  18. 장난희. 2004. 독서 교과서에 나타난 배경지식 활성화 연구: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독서교 과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19. 조미아. 2005.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기준작성특별위원회. 2003.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1. 한윤옥. 1997. 어린이 정보자료와 활용. 서울: 아세아문화사.
  22. 한철우, 박진용, 김명순, 박영민, 공편. 2001. 과정 중심 독서 지도. 서울: 교학사.
  23. Anderson, Richard C. & Pearson, P. David. 1984. A schematic-theoretic view of basic processes in reading comprehension. In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P. D. Pearson (Ed.), 255-291. New York: Longman.
  24. Anderson, Richard C. 1984. Role of the Reader's Schema in Comprehension, Learning, and Memory. In Learning to Read in American Schools: Basal Readers and Content Texts, ed. Richard C. Anderson, Jean Osborn, and Robert J. Tierney. Hillsdale, NJ: Erlbaum.
  25. Barringer, Crystal. 2006. "Teaching Beginning Reading Strategies in the School Library Media Center." LibraryMedia Connection, 25(1): 34-35.
  26. Bartlett, F.C. 1932. Remembering. Camridge: Cambredge University Press.
  27. Burke, Jim . 2002. Tools for Thought: Graphic Organizers for Your Classroom. Portsmouth, NH: Heinemann.
  28. Carrell, Patricia L. and Eisterhold, Joan C. 1983. "Schema theory and ESL reading Pedagogy." TESOL Quarterly, 17(4): 553-573. https://doi.org/10.2307/3586613
  29. Clark, Susan R. 1990. "Schema theory and reading comprehens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325802.
  30. Coleman, Pauline Anita Bigby. 1983. Effects of graphic organizers, text organization, and reading ability on the recall of text information. Ph.D. diss., The University of Michigan.
  31. Scraper, Katherine, and Vickie L. Scraper. 2006. Show Me: Graphic Organizers for Reading Comprehension across the Curriculum. Tucson: Good Year Books.
  32. Thorndyke, P.W., & Yekovich, F.R. 1980. "A critique of schema-based theories of human memory." Poetics, 9: 23-49. https://doi.org/10.1016/0304-422X(80)9001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