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 Shift and Media Empowerment

언론의 정치권력화 - 재벌 정책 보도의 정권별 비교 연구

  • Published : 2009.02.15

Abstract

The power of media has always been problematic in the countries of full press freedom. Originally, the media used to be an effective vehicle for communication within human beings. However, it exerts an overwhelming power toward human society. Through applying the well-known four dog models in terms of media function,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the press media in South Korea transformed themselves into another powerful independent organization or institution after regime shift in 1987. The whole editorials of four sampled newspapers were analyzed through frame analysis model. The ChosunIlbo, known as a conservative and pro-government paper, shows to take the role of supporting chaebol policies under Roh TaeWoo Administration. However, it criticizing sharply against the chaebol policies of Roh MooHyun Administration. The JoongangIlbo, known as a pro-chaebol paper, appears anti-government position through the entire four administrations in terms of chaebol policies. Particularly, it reveals hostile editorial coverage during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However, KyunghyangShinmun, currently known as a liberal paper, viewed somewhat complicated positions (see text in more detail) because of its ownership turbulence during the past twenty years. On the other hand, Hangyoreh, regarded as a progressive paper, keeps in supportive attitude consistently against the four sampled administrations as far as regulating each government policies for chaebols.

민주화 이후 한국 언론이 권력화하고 있다는 것은 이미 새로운 사실도 아니다. 연구는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4개 정부에 걸쳐서 한국 언론이 어떻게 권력화되고 있는지를 프레임 분석 등을 바탕으로 4마리 개 모델(watch/lap/guard/attack dog)을 통해 우회적으로 알아봤다. 분석 대상 언론은 조선, 중앙, 경향, 한겨레 등 4개 일간지이며 분석 내용은 해당 기간 동안의 정부의 재벌 규제정책에 관한 해당 신문의 전체 사설이다. 분석 결과 보수 성격의 조선일보는 1987년 민주화 초기에는 정부 재벌 규제정책에 찬성하는 논조를 보이다가 김대중 정부의 중립적인 논조에서 노무현 정부 시기에는 강력한 비판 프레임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중앙일보는 노태우 정부부터 노무현 정부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정부의 재벌 규제정책에 반대하는 모습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노무현 정부시기에는 반정부 프레임이 절대적이었으며 정부에 대해 공격견의 모습을 띠고 있다. 경향신문은 시기별로 친정부, 반기업 또는 친재벌, 반정부 등의 복합적인 면모를 보인다. 한때 소유주였던 한화그룹이 물러나고 우리 사주제가 정착됨에 따라 시기별로 다른 모습을 보인 것으로 추론할 수 있겠다. 한겨레신문은 재벌 규제정책에 관한 한 4개 정부 통틀어 일관되게 친정부적인 입장을 취해왔다. 특히 노무현 정부시기보다 김대중 정부시기 동안 더 절대적으로 정부의 재벌 규제정책을 옹호하는 모습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

Keywords